[A+]언어와 문화(인문지리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언어와 문화의 관계

본론
1. 언어와 문화의 연관성
2. 문화적인 관심의 반영으로서의 의미구조
3. 문화의 발전단계를 반영한 어휘 의미의 변천
4. 대중매체와 의사소통 경로
5. 인터넷 언어 N세대만의 규칙

결론

본문내용

유력한 기관이 대중매체이다. 이들 매체를 형성하는 언론기관에 종사하는 이들이 투철한 사실보도 정신이 부족하다면, 이는 그대로 권력의 선전수단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5. 인터넷 언어 N세대만의 규칙
LAYER end -->A: 어제 슈퍼모델대회 봤어?
B: ㅇㅇ 다덜 슴가가 ㄷㄷㄷ... 특히 완소 7번∼
A: 근데 어떤 앤 겨털 보이더라. 캐안습야∼
인터넷 채팅방에 오른 이런 대화를 100% 이해한다면 N세대(Net generation)라고 할 만하다. 슴가, 완소, 겨털, 캐안습 등은 인터넷이 생활의 중심이 된 N세대 사이에서 통용되는 말이다.
직찍(디지털 카메라로 직접 찍어 인터넷 등에 게재한 사진), 스샷(컴퓨터 화면을 그림파일로 저장한 것) 등 KBS 2TV ‘상상플러스’에도 소개된 ‘10대들의 말’은 어른들에게는 외국어나 다름없다. 일부에서는 ‘국어 파괴’의 사례로 지적하지만 N세대는 인터넷에서 상호 소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국어를 새롭게 변형시킨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들만의 국어와 문법에는 어떤 비밀이 담겨 있을까.
N-그래머(Grammar)의 숨겨진 5가지 비밀=N세대의 조어 방식을 살펴보면 ‘축약’ ‘자음 연결’ ‘순서 변화’ ‘신형 접두사’ ‘혼합형 조어’ 등 대략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단어 축약’은 말 그대로 단어나 문장을 축약한 형태다. ‘완소’는 ‘완전(정말) 소중하다’, ‘겨털’은 ‘겨드랑이 털’이라는 뜻이다.
‘자음 연결’은 모음과 받침을 생략하고 자음만 연결하는 방식이다. ‘ㅇㅇ’은 긍정을 뜻하는 ‘응’, ‘ㄷㄷ’은 무섭거나 놀랍다는 표현의 ‘덜덜’을 의미한다. 원래 있는 단어의 글자 순서를 바꾸는 ‘글자 변화’ 방식도 흥미롭다. ‘슴가’는 ‘가슴’을 거꾸로 읽은 것.
‘신형 접두사’의 경우 접두사를 새로 만들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바꾸는 사례다. 대표적인 ‘캐-’는 ‘굉장히’ ‘매우’라는 뜻이다. ‘캐공감’(매우 공감한다) 같은 단어에서 쓰이며 ‘급질’(긴급한 질문)의 ‘급-’(급하다) ‘초섹시’의 ‘초-’(매우)도 자주 사용된다.
‘혼합형 조어’는 이런 방식을 다양하게 섞어 만든 단어를 뜻한다. ‘캐안습’은 신형 접두사 ‘캐-’와 자음 연결형 조어 ‘안습(안구에 습기차다·눈물이 고이다)’을 합친 말.
3S 방식=N세대가 조어를 만드는 배경을 분석해 보면, 자판 편의성(Speedy) 표현 완화(Softening) 전문화(Specialized) 등 3S로 요약할 수 있다.
자판 편의성은 N세대의 주요 생활환경인 인터넷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어를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캐안습’과 ‘ㄷㄷ’이라고 적는 것이, 같은 의미의 단어를 빠르고 쉽게 표현하는 방법이란 게 N세대의 생각.
조어를 만드는 두 번째 이유는 ‘표현 완화’. ‘슴가’ ‘겨털’처럼 성적(性的) 의미를 지닌 단어나 비속어의 경우 글자나 형태를 바꾸면 시각적 거부감을 줄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
사회의 전문화 추세로 인한 영향도 있다. 황상민(44·심리학과) 연세대 교수는 “한국 사회가 다양한 집단과 영역으로 분화하고 전문화되면서 말과 글도 다양해지고 있다”며 “사이버 공간이 다양한 커뮤니티나 모임 등 사적인 소통의 공간을 많이 만들어내면서 이 같은 언어를 쓰는 기회나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슬옹(45·국어교육) 목원대 겸임교수는 “이런 말들은 이미 널리 쓰이는 만큼 좋다 나쁘다는 가치 평가를 내리기보다 타인을 배려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결론
언어는 사회의 진전을 따라 변화한다
첫째, 언어라는 것은 사회조직의 부산물로서 사회의 발전을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사회적 의식형태의 하나로 보아야만 한다.예컨대 “fee”의 경우 이에는 가축을 재산으로 인식하던 목축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으며, “t'tet”가 “부싯대”로부터 “성냥”이라는 뜻으로 변화된 모습으로부터 이에는 “부싯대로써 불을 사용했던” 아타바스카족들의 생활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高黎) 공산(貢山)지역의 치우즈 족들과 북미 인디언인 누트카 족들은 “결혼하다”는 말을 “여자를 산다”고 표현함으로써, 그들의 사회에서 이러한 풍속이 지금은 이미 사라지고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풍습이 존재했던 이전의 흔적을 끝내 덮어 버리지 못하고 있다
[설문해자]에 수록된 “貝[조개 패]”자를 부수로 삼고 있는 글자들이 모두 돈과 관계 있다는 사실로부터, 이들 글자에는 “진나라에 이르러 조개화폐를 폐지하고 동전화폐를 시행”하기 전까지“조개화폐와 거북껍데기로 만든 화폐”가 사용되었던 중국의 화폐제도가 반영 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볼 때, 한 시대의 객관적인 사회생활이 그 시대의 언어내용을 결정지으며, 언어의 내용 또한 한 시대의 사회생활의 갖가지 측면을 반영해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경제생활로부터 전체적 사회의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회현상이 언어의 각 측면에 녹아 있다. 마르학파의 야훼티언어학의 특징은 의미론을 매우 중요시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그 들이 의미론을 중시했던 것은 의미의 변화는 바로 사회적 환경과 경제적 조건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이는 동태적인 것이지 정태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의미의 발전사는 사회생활의 변천사와 땔래야 텔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책을 가지고 조사하면서 언어가 우리사회에 여러모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단순히 언어는 변화하지 않고 예전부터 그대로 내려오는 줄 만알고 있었지만 사회의 변화와 문화의 변화와 함께 같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너무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에 따라 언어가 변화한다면 세대간에 언어의 장벽이 생길 것이므로 기본적인 언어의 틀을 갖춘 체 필요와 시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변화 하였으면 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박종철,오충연(2004) [언어와 문화,그리고 삶],월인
Claire Kramsch/장복명 외 역(2001), [언어와 문화], 박이정
나상배/하영삼 역(2002), [언어와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http://blog.naver.com/yulee1228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9.1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