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야사란 무엇인가?
Ⅱ. 여성들이 보는 역사
1. 야사에 전하는 세자빈 김씨, 봉씨 이야기
2. 인종과 문정왕후
3. 권력을 탐한 옹주 이야기
Ⅲ.왕실의 이면을 보여주는 역사
Ⅳ.민중들이 바라본 역사
1. 고조선 건국신화
2. 견훤의 탄생신화
Ⅴ.야사의 효과, 및 기능
1. 배경 및 야사를 금기시했던 이유
2. 야사의 장점, 단점
3. 야사가 현대에서 갖는 의미 및 앞으로의 방향
Ⅵ.결론
*참고문헌
Ⅱ. 여성들이 보는 역사
1. 야사에 전하는 세자빈 김씨, 봉씨 이야기
2. 인종과 문정왕후
3. 권력을 탐한 옹주 이야기
Ⅲ.왕실의 이면을 보여주는 역사
Ⅳ.민중들이 바라본 역사
1. 고조선 건국신화
2. 견훤의 탄생신화
Ⅴ.야사의 효과, 및 기능
1. 배경 및 야사를 금기시했던 이유
2. 야사의 장점, 단점
3. 야사가 현대에서 갖는 의미 및 앞으로의 방향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김부식의 선택과는 달리 야사기록이나 전승, 신화까지 두루 섭렵했던 일연의 선택은 직설적인 야담까지 수록하고 있다.
셋째, 야사는 설화적인 분식이 다분한 내용도 있지만 정사에는 기록되지 못한 민초들의 투박한 삶의 모습, 정사에서 간과하기 쉬운 풍속이나 전설 등의 기사 등이 잘 수록되어 있다. 인간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패관문학에 심취하면서, 형식과 절차 등 외피적인 것에 치중했던 당시의 세태를 비난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역사 서술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가치기준에 따라 해석을 가하던 풍토에서 벗어나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서술을 강조함으로써 연구방법상의 발전도 하였다.
2.단점
야사는 정사에 비해서 객관성이 부족해서 신뢰도가 떨어진다. 야사를 뒷받침할만한 증거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다수 있다.
야사는 개인이 기술한 것이기 때문에 한쪽 측면에만 치우쳐져 있을 수 있다. 개인의 가치관, 생각에 입각하여 서술된 것이기 때문에 주관적이며, 그 시대 상황을 고루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재미있기는 하지만 음담패설로 분류될 내용이 있어 심심풀이로 여겨질 우려가 있다. 야사 자체가 정사에서 담을 수 없었던 이야기를 다룬 것이므로 쉽게 꺼낼 수 없는 이야기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다. 자료를 보는 자가 사료를 스스로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이 어느 정도 갖추어지지 못한다면 그야말로 음탕스러운 이야기가 될 것이다.
3. 야사가 현대에서 갖는 의미 및 앞으로의 방향
야사는 정사 못지않게 나름대로의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역사를 들여다보면 여러 가지 정황이나 여건으로 보았을 때 기록된 내용이 과연 사실일까 하는 의구심이 간혹 있다. 정보가 많이 공개되어 있다는 요즘에도 신문지상에 보도되는 정치적 사건들에 있어서 믿어지지 않는 대목이 현실인 것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하물며 추적하여 진실을 밝혀내기 쉽지 않은 과거의 일에 있어서 이설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야사는 정사의 결함을 보완하고, 오류를 시정하는 장점이 있다. 정사에서 기록되지 않은 내용이 야사에 수록되어 있다. 관의 입장과 규정, 원칙으로부터 구애됨이 없이 자신의 견문과 사관에 입각하여 편찬된 야사에는 정사에서 소홀하게 처리된 기사가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정사를 편찬할 수 없는 집단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며, 정치적인 평가 내용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성 부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야사에 수록된 내용을 맹신하거나, 정사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또 다른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반대로 흥미위주의 야사내용은 정사를 통해 수정될 필요성도 제기된다. 야사 역시 우리의 역사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정사에서 왜곡된 사실을 기술하였다면 야사를 통해서 보완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삼국사기도 취사선택하는가 하면 야사는 무조건 비판하는 성향이 있는 사람도 있고 정사면 무조건 믿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제는 정사와 야사 및 유적을 모두 인정하고 공통부분과 비공통부분으로 정리하고 전체가 우리역사이므로 하나 되는 역사를 정리해 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결론
정사가 국가의 존립기반이라는 명분을 세울 때에는 진실을 기록하지 않거나 왜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앞의 예에서 충분히 고찰해 보았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할 사실은 모든 정사가 사실을 곡해하거나 왜곡하여 서술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한 왕조가 바뀌거나 반정 등과 같은 큰 변혁이 일어나지 않는 시기에는 비교적 정확하게 역사가 쓰여진다는 것이다.
물론 평온한 시기라고 해서 왜곡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왕실에 있어서 왕위 계승문제, 세자 책봉문제, 왕비 책봉문제, 정쟁이 심할 때 등 때에 있어서 얼마든지 잘못 기록될 소지가 있다.
야사의 경우, 앞에서 객관성이 부족하고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했다. 그러나 이것도 정사와 마찬가지로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정사에서 간과하기 쉬운 전설이나 설화, 풍속 등은 야사가 아니고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거론하는 민중의 생활사 등은 야사를 찾아보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정사가 바람직하다든지 혹은 야사가 바람직하다는 등의 한쪽의 사관만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려는 태도는 우리의 역사를 객관적으로 고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즉, 역사를 바라보는 데 있어 정사와 야사를 서로 비교하고, 함께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떠한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정사에서는 현재성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진실과는 동떨어진 편찬이 이루어졌을 가정이 성립할 경우에는 이와는 정반대의 기록이 남겨진 야사와 견주어 볼 때 우리는 역사의 참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정사의 자료를 야사의 정신으로 분석, 비판하여 새로운 해석을 하려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형광, 『이야기삼국야사』, 시아출판사, 2003
최범서, 『야사로 보는 조선의 역사』, 가람기획, 2003.
최범서, 『야사로 보는 고려의 역사』, 가람기획, 2005.
황운룡. 「한국사 역사에 있어 정사, 야사의 위치」, 1989.
http://100.naver.com/100.nhn?docid=108758
http://www.yushin.or.kr/%40history/dvd-kbshistory/kbs059.htm
http://kin.naver.com/open100/r_entry.php?d1id=6&dir_id=602&eid=3X/Ww9SOhTdiMFh/124w/8NyYATUPZm6&qb=u++xub3DtOsgvt+75w==
http://blog.naver.com/quk2000/
*목 차
Ⅰ. 야사란 무엇인가?
Ⅱ. 여성들이 보는 역사
1. 야사에 전하는 세자빈 김씨, 봉씨 이야기
2. 인종과 문정왕후
3. 권력을 탐한 옹주 이야기
Ⅲ.왕실의 이면을 보여주는 역사
Ⅳ.민중들이 바라본 역사
1. 고조선 건국신화
2. 견훤의 탄생신화
Ⅴ.야사의 효과, 및 기능
1. 배경 및 야사를 금기시했던 이유
2. 야사의 장점, 단점
3. 야사가 현대에서 갖는 의미 및 앞으로의 방향
Ⅵ.결론
*참고문헌
셋째, 야사는 설화적인 분식이 다분한 내용도 있지만 정사에는 기록되지 못한 민초들의 투박한 삶의 모습, 정사에서 간과하기 쉬운 풍속이나 전설 등의 기사 등이 잘 수록되어 있다. 인간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패관문학에 심취하면서, 형식과 절차 등 외피적인 것에 치중했던 당시의 세태를 비난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역사 서술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가치기준에 따라 해석을 가하던 풍토에서 벗어나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서술을 강조함으로써 연구방법상의 발전도 하였다.
2.단점
야사는 정사에 비해서 객관성이 부족해서 신뢰도가 떨어진다. 야사를 뒷받침할만한 증거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다수 있다.
야사는 개인이 기술한 것이기 때문에 한쪽 측면에만 치우쳐져 있을 수 있다. 개인의 가치관, 생각에 입각하여 서술된 것이기 때문에 주관적이며, 그 시대 상황을 고루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재미있기는 하지만 음담패설로 분류될 내용이 있어 심심풀이로 여겨질 우려가 있다. 야사 자체가 정사에서 담을 수 없었던 이야기를 다룬 것이므로 쉽게 꺼낼 수 없는 이야기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다. 자료를 보는 자가 사료를 스스로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이 어느 정도 갖추어지지 못한다면 그야말로 음탕스러운 이야기가 될 것이다.
3. 야사가 현대에서 갖는 의미 및 앞으로의 방향
야사는 정사 못지않게 나름대로의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역사를 들여다보면 여러 가지 정황이나 여건으로 보았을 때 기록된 내용이 과연 사실일까 하는 의구심이 간혹 있다. 정보가 많이 공개되어 있다는 요즘에도 신문지상에 보도되는 정치적 사건들에 있어서 믿어지지 않는 대목이 현실인 것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하물며 추적하여 진실을 밝혀내기 쉽지 않은 과거의 일에 있어서 이설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야사는 정사의 결함을 보완하고, 오류를 시정하는 장점이 있다. 정사에서 기록되지 않은 내용이 야사에 수록되어 있다. 관의 입장과 규정, 원칙으로부터 구애됨이 없이 자신의 견문과 사관에 입각하여 편찬된 야사에는 정사에서 소홀하게 처리된 기사가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정사를 편찬할 수 없는 집단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며, 정치적인 평가 내용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성 부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야사에 수록된 내용을 맹신하거나, 정사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또 다른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반대로 흥미위주의 야사내용은 정사를 통해 수정될 필요성도 제기된다. 야사 역시 우리의 역사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정사에서 왜곡된 사실을 기술하였다면 야사를 통해서 보완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삼국사기도 취사선택하는가 하면 야사는 무조건 비판하는 성향이 있는 사람도 있고 정사면 무조건 믿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제는 정사와 야사 및 유적을 모두 인정하고 공통부분과 비공통부분으로 정리하고 전체가 우리역사이므로 하나 되는 역사를 정리해 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결론
정사가 국가의 존립기반이라는 명분을 세울 때에는 진실을 기록하지 않거나 왜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앞의 예에서 충분히 고찰해 보았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할 사실은 모든 정사가 사실을 곡해하거나 왜곡하여 서술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한 왕조가 바뀌거나 반정 등과 같은 큰 변혁이 일어나지 않는 시기에는 비교적 정확하게 역사가 쓰여진다는 것이다.
물론 평온한 시기라고 해서 왜곡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왕실에 있어서 왕위 계승문제, 세자 책봉문제, 왕비 책봉문제, 정쟁이 심할 때 등 때에 있어서 얼마든지 잘못 기록될 소지가 있다.
야사의 경우, 앞에서 객관성이 부족하고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했다. 그러나 이것도 정사와 마찬가지로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정사에서 간과하기 쉬운 전설이나 설화, 풍속 등은 야사가 아니고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거론하는 민중의 생활사 등은 야사를 찾아보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정사가 바람직하다든지 혹은 야사가 바람직하다는 등의 한쪽의 사관만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려는 태도는 우리의 역사를 객관적으로 고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즉, 역사를 바라보는 데 있어 정사와 야사를 서로 비교하고, 함께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떠한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정사에서는 현재성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진실과는 동떨어진 편찬이 이루어졌을 가정이 성립할 경우에는 이와는 정반대의 기록이 남겨진 야사와 견주어 볼 때 우리는 역사의 참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정사의 자료를 야사의 정신으로 분석, 비판하여 새로운 해석을 하려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형광, 『이야기삼국야사』, 시아출판사, 2003
최범서, 『야사로 보는 조선의 역사』, 가람기획, 2003.
최범서, 『야사로 보는 고려의 역사』, 가람기획, 2005.
황운룡. 「한국사 역사에 있어 정사, 야사의 위치」, 1989.
http://100.naver.com/100.nhn?docid=108758
http://www.yushin.or.kr/%40history/dvd-kbshistory/kbs059.htm
http://kin.naver.com/open100/r_entry.php?d1id=6&dir_id=602&eid=3X/Ww9SOhTdiMFh/124w/8NyYATUPZm6&qb=u++xub3DtOsgvt+75w==
http://blog.naver.com/quk2000/
*목 차
Ⅰ. 야사란 무엇인가?
Ⅱ. 여성들이 보는 역사
1. 야사에 전하는 세자빈 김씨, 봉씨 이야기
2. 인종과 문정왕후
3. 권력을 탐한 옹주 이야기
Ⅲ.왕실의 이면을 보여주는 역사
Ⅳ.민중들이 바라본 역사
1. 고조선 건국신화
2. 견훤의 탄생신화
Ⅴ.야사의 효과, 및 기능
1. 배경 및 야사를 금기시했던 이유
2. 야사의 장점, 단점
3. 야사가 현대에서 갖는 의미 및 앞으로의 방향
Ⅵ.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