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를 외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은 흔히 삼강에 대해서도 근본을 두고 있다고도 말한다. 그러나 위에서 말했듯이 삼강은 그 출처가 유교 경전도 아니며, 더구나 공자(孔子)나 맹자(孟子)의 사상도 아니다. 그리고 권위에 대해서도 임금은 성인다움을 표방하게 하였으며 천의와 민의를 통일적인 것으로 파악하여 천민일치관으로 말미암아 순천명의 정치원리를 빙자한 군주의 자의성을 방지하고자 한 것과 덕치정치를 주장하였다는 것에서 아니라는 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인본 적 도덕원리를 정치원리로 제시함으로써 치자의 권력 남용으로 인한 인민에의 강압정치를 예방할 수 있었다는 점과 유자들은 권세나 물욕에 흔들리지 않는 강인한 정신적 가치관을 추구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교는 인간을 중시하고 남녀관계라든지 신분관계라든지 그 시대와 사회제도에 따라 신축성 있게 변화되어 왔다. 이렇게 변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윤리는 항상 인류문화의 발달을 뒷받침해 주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점 때문에 현재에 와서는 가부장적인 요소나 남성우월주의 등이 많이 사라졌다고 볼 수 있었다. 이렇듯 우리가 유교를 보수ㆍ권위주의의 상징으로만 본다는 것은 올바른 유교신앙의 결핍과 잘못된 판단으로밖에 볼 수 없다. 우리는 유교를 바로 알고 권위주의와 보수주의에 대하여 반성과 비판적 견해를 가지고 현실을 바로 보며 진취적인 성격을 형성해 가야 할 것이다.
-출처
http://user.chol.com
http://www.kungree.com/kreye/kreye41.htm
네이버, 백과사전, http://blog.naver.com/okbadac
-출처
http://user.chol.com
http://www.kungree.com/kreye/kreye41.htm
네이버, 백과사전, http://blog.naver.com/okbadac
추천자료
유교민주주의에 있어서 유교
유교와 사회복지
유교에 대해서
유교에 대한 오해, 그리고 유교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유교윤리][전통윤리][가정윤리][윤리설]유교윤리의 목표, 유교윤리의 조건, 유교윤리의 한계...
[윤리][불교 윤리][기독교 윤리][유교 윤리][유대교 윤리][이슬람교 윤리]불교 윤리, 기독교 ...
[유교][의료성][도덕교육][인권논의][가족주의][민주주의][경험성문제][유교 관련 제언]유교...
[유교][유교의 흐름][유교의 인간관][유교의 종교화][유교의 교화론][유교의 위상][중국 유교...
[유교윤리][전통윤리][사회윤리][공존윤리][생명윤리]유교윤리의 정의, 유교윤리의 기능, 유...
[유교][유교 특징][유교 경험성][유교의 흐름][유교의 사생관][유교의 교화][유교와 향교][유...
[교화][기독교 교화][불교 교화][원불교 교화][유교 교화][북한 교화][삼동윤리 교화][기독교...
[경제관][기독교][유교][소태산 대종사][원불교 송정산][소태산][대종사][원불교][송정산][경...
[기업 자본][기업 지식자본][기업 외국자본][기업 유교자본][기업 불완전자본][기업 차입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