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엘리어트의 현대적인 시 인식이 우리 나라에서도 그로서 그 빛을 발하게 된 첫 케이스가 된 것이다.
③ 김기림의 시론(詩論)
김기림은 시인으로서 시론에도 남다른 관심을 기울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詩論] (1947),[시의 이해](1950) 등이 있으며
특히 [시론]에는 30년대의 우리 시에 대한 그의 폭넓은 관심이 체계적으로 서술된 글이 많다.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시의 모더니티](1933),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8), [기교주의 비판](1935) 등이 있으며 앞의 두 시론을 중심으로 시에 대한 그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시의 모더니티](1933)
첫째, 감상적인 낭만주의와 격정적 표현주의의 재래시를 비판하였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시가 비판되는 것은 이들이 강조하는 감정이 구체적 현실과의 관련성을 상실한 상태에서 독자에게 눈물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새로운 시적 감성을 강조하였는데, 재래의 시가 보여주는 지나친 주관성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과거의 시와 새로운 시를 비교하였다.
나.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9)
첫째, 우리 신시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문학사의 개념을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과학적 문학사를 강조하였다.
둘째, 모더니즘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앞 시대의 낭만주의와 경향파를 비판하였다.
셋째, 모더니즘은 이상의 두 가지 문학적 태도를 비판하면서 나타나며 그것은 시가 무엇보다도 언어의 예술임을 자각하고 동시에 문명에 대한 일정의 감수 (感受)를 기초로 한다.
넷째, 모더니즘의 위기를 주장하였다. 30년대 중반이 되면서 우리 시가 모더니즘의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은 말의 중시로 인한 언어의 말초화와 문명의 부정적 양상 때문이라고 보았다.
다.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 정리
ㄱ.현대시의 회화성
시의 회화성 강조는 곧 그의 모더니즘 시론의 중심 지주를 이룬다. 이런 회화성 중시는 전시대의 시들이 지나친 리듬 의존에 의한 것으로 단정하고 이를 극복하고 회화체의 내재적 리듬에 의한 새로운 시작법을 건설하려는데 기인한 것이다.
ㄴ.과학적 태도
그가 시도한 과학적 시론의 요점은 과학적인 문학 이론과 비평 용어를 통하여 통일된 문법 체계를 세운다면 구체적인 작품에 관한 실제적 비평이 한층 더 높고 완성된 단계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현대시란 의식적인 시의 제작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새로운 가치 창조를 위해 객관성. 시의 과학화. 문학의 과학화를 주장했다.
ㄷ.전체적 사상
서구 모더니즘시의 이념을 도입하고 시의 본질적인 요소인 形, 音, 意 味를 고립적으로 강조한 입체파, 로멘티시즘, 상징주의의 시적 태도를 비판하고, 유기적으로 혼합된 전체로서의 시를 강조하였다.
앞에서 말했듯이 김기림은 시의 모더니즘을 주장하며 합리적인 문학을 지향하였으며 당 시대에 시를 보는 시각이 비판적이었으며 학문적 체계를 세우려는 원론적인 경향이 강했습니다. 우리 시에 문학적이고 모더니즘 적인 기틀을 마련했기에 더욱 의미가 있는 시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③ 김기림의 시론(詩論)
김기림은 시인으로서 시론에도 남다른 관심을 기울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詩論] (1947),[시의 이해](1950) 등이 있으며
특히 [시론]에는 30년대의 우리 시에 대한 그의 폭넓은 관심이 체계적으로 서술된 글이 많다.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시의 모더니티](1933),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8), [기교주의 비판](1935) 등이 있으며 앞의 두 시론을 중심으로 시에 대한 그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시의 모더니티](1933)
첫째, 감상적인 낭만주의와 격정적 표현주의의 재래시를 비판하였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시가 비판되는 것은 이들이 강조하는 감정이 구체적 현실과의 관련성을 상실한 상태에서 독자에게 눈물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새로운 시적 감성을 강조하였는데, 재래의 시가 보여주는 지나친 주관성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과거의 시와 새로운 시를 비교하였다.
나.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9)
첫째, 우리 신시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문학사의 개념을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과학적 문학사를 강조하였다.
둘째, 모더니즘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앞 시대의 낭만주의와 경향파를 비판하였다.
셋째, 모더니즘은 이상의 두 가지 문학적 태도를 비판하면서 나타나며 그것은 시가 무엇보다도 언어의 예술임을 자각하고 동시에 문명에 대한 일정의 감수 (感受)를 기초로 한다.
넷째, 모더니즘의 위기를 주장하였다. 30년대 중반이 되면서 우리 시가 모더니즘의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은 말의 중시로 인한 언어의 말초화와 문명의 부정적 양상 때문이라고 보았다.
다.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 정리
ㄱ.현대시의 회화성
시의 회화성 강조는 곧 그의 모더니즘 시론의 중심 지주를 이룬다. 이런 회화성 중시는 전시대의 시들이 지나친 리듬 의존에 의한 것으로 단정하고 이를 극복하고 회화체의 내재적 리듬에 의한 새로운 시작법을 건설하려는데 기인한 것이다.
ㄴ.과학적 태도
그가 시도한 과학적 시론의 요점은 과학적인 문학 이론과 비평 용어를 통하여 통일된 문법 체계를 세운다면 구체적인 작품에 관한 실제적 비평이 한층 더 높고 완성된 단계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현대시란 의식적인 시의 제작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새로운 가치 창조를 위해 객관성. 시의 과학화. 문학의 과학화를 주장했다.
ㄷ.전체적 사상
서구 모더니즘시의 이념을 도입하고 시의 본질적인 요소인 形, 音, 意 味를 고립적으로 강조한 입체파, 로멘티시즘, 상징주의의 시적 태도를 비판하고, 유기적으로 혼합된 전체로서의 시를 강조하였다.
앞에서 말했듯이 김기림은 시의 모더니즘을 주장하며 합리적인 문학을 지향하였으며 당 시대에 시를 보는 시각이 비판적이었으며 학문적 체계를 세우려는 원론적인 경향이 강했습니다. 우리 시에 문학적이고 모더니즘 적인 기틀을 마련했기에 더욱 의미가 있는 시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추천자료
모더니즘 시인연구
강은교 시인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
[인문과학] 서정주 시인의 작품세계
위반의 시, 해체적 징후 - 80년대 시인 황지우, 이성복
오장환 시인
처용을_통해_본_자화상_-화,_시인연구-
[릴케(시인, 독일), 릴케(시인, 독일)와 사물, 릴케(시인, 독일)와 공포, 릴케(시인, 독일)와...
[이상(시인, 소설가), 언어세계, 텍스트, 날개, 거울]이상(시인, 소설가)의 생애, 이상(시인,...
김미성 시인의「모든 길이 내게로 왔다」
도종환 시인의 「담쟁이」에 대한 인지시학적 논고
당(唐)대 시인(詩人) 「백거이(白居易)」에 대하여
노동자 시인 박노해
류시화 시인 작품세계
‘정현종’시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