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종환 시인의 「담쟁이」에 대한 인지시학적 논고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개관
3. 연구대상 및 방법
결론
참고문헌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개관
3. 연구대상 및 방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은 [담쟁이는 살아있다]는 의인화를 통해 존재론적 은유를 보여주어 ‘담쟁이’를 우리라고 인식하였다. 이외에도 [벽은 어쩔 수 없다] [벽은 아무것도 살아남을 수 없다] [절망을 푸르게 덮다] [벽은 넘을 수 없다] 가 존재론적 은유로 사용되었다.
또한 구조적 은유로 [벽은 절망이다] [한 뼘은 조금의 정도이다] [물 한 방울과 씨앗 한 톨은 생명이다]가 사용되고 있다.
지향적 은유로는 [오른다] [나아간다] [올라간다] [놓지 않는다] [떨구다] [넘는다]를 사용되고 있다. 담쟁이 의 텍스트는 지향적 은유가 전체 구조의 밑바탕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담쟁이의 ‘오른다’, ‘나아간다’의 반족적인 운동 양상을 통하여 상승 → 전진 → 상승의 도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식적 구조는 시에 나타난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담쟁이에서 도종환의 시 세계는 절망고난시련을 극복하려는 의지로 가득 차 있으며 그러한 성향은 지향적 은유로 구체화 되어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은유 이론을 인지언어학적 측면을 통해 살펴보면서 도종환의 시에 형상화된 시인의 의식과 지향을 고찰하였다. 도종환의 시 담쟁이의 내면에 형상화된 시인의 의식의 지향과 그 실체 파악에는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이론을 통한 해명이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본다.
그러나 부족한 부분이 많고 다루지 못한 것들도 있다. 도종환의 문학에 관한 학술적 연구와 비평적 논의 등이 무척 적고 단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기에 필자가 자료 부족으로 기존 연구를 많이 살피지 못하였다. 부족한 면이 많으며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과제로 돌린다.
또한 이 시대 가장 대중적 인지도를 가진 도종환 시인의 다른 시편들도 지금까지 못지않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만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그 시편들을 면밀히 고찰해 도종환 시인의 시적 가치가 다시금 재조명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자료>
도종환, 당신은 누구십니까, 창작과비평사, 1993.
<단행본>
김명인, 희망의 문학, 불빛, 1990.
G. 레이코프 M. 존슨,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유성호 外 2人, 대표시 대표평론 Ⅱ, 실천문학사, 2000.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2, 우리교육, 2002.
<논문 및 평론>
김명천, 도종환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소훈덕, 안도현과 도종환 시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또한 구조적 은유로 [벽은 절망이다] [한 뼘은 조금의 정도이다] [물 한 방울과 씨앗 한 톨은 생명이다]가 사용되고 있다.
지향적 은유로는 [오른다] [나아간다] [올라간다] [놓지 않는다] [떨구다] [넘는다]를 사용되고 있다. 담쟁이 의 텍스트는 지향적 은유가 전체 구조의 밑바탕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담쟁이의 ‘오른다’, ‘나아간다’의 반족적인 운동 양상을 통하여 상승 → 전진 → 상승의 도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식적 구조는 시에 나타난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담쟁이에서 도종환의 시 세계는 절망고난시련을 극복하려는 의지로 가득 차 있으며 그러한 성향은 지향적 은유로 구체화 되어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은유 이론을 인지언어학적 측면을 통해 살펴보면서 도종환의 시에 형상화된 시인의 의식과 지향을 고찰하였다. 도종환의 시 담쟁이의 내면에 형상화된 시인의 의식의 지향과 그 실체 파악에는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이론을 통한 해명이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본다.
그러나 부족한 부분이 많고 다루지 못한 것들도 있다. 도종환의 문학에 관한 학술적 연구와 비평적 논의 등이 무척 적고 단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기에 필자가 자료 부족으로 기존 연구를 많이 살피지 못하였다. 부족한 면이 많으며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과제로 돌린다.
또한 이 시대 가장 대중적 인지도를 가진 도종환 시인의 다른 시편들도 지금까지 못지않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만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그 시편들을 면밀히 고찰해 도종환 시인의 시적 가치가 다시금 재조명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자료>
도종환, 당신은 누구십니까, 창작과비평사, 1993.
<단행본>
김명인, 희망의 문학, 불빛, 1990.
G. 레이코프 M. 존슨,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유성호 外 2人, 대표시 대표평론 Ⅱ, 실천문학사, 2000.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2, 우리교육, 2002.
<논문 및 평론>
김명천, 도종환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소훈덕, 안도현과 도종환 시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추천자료
도종환의 부드러운 직선을 읽고
조지훈 시에 등장하는 꽃 이미지 분석
한용운의 시를 3편이상 선택후 시세셰 분석
[국문학] 윤동주의 서시 분석
김현승의 시 세계를 세 시기로 나누고 작품을 분석 주제의식을 논하시오jo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의 작품 '검은고양이(The Black Cat)' 분석보고서
낯설게 하기 [적용과 실제 작품 분석]
[시인 김기림][시인 김기림 생애][시인 김기림 작품연구][시인 김기림 작품 기상도][작품 바...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의 인지시학적 분석 _ 고은 저
기형도를 바탕으로 이연주, 곽재구, 정현종, 남진우의 시적 성향과 시세계 분석
커피전문점시장현황-국냐외커피브랜드시장,카페베네 VS 스타벅스,국내 커피 산업의 변천사,브...
문태준『가재미』의 시세계 분석 - 번져라 번져라 서정(抒情)이여
이육사(李陸史)의 삶과 시구조 - 이육사의 삶과 시세계 및 선비정신, 이육사의 시 구조분석, ...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