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독점구조를 통해 본 포털 사이트의 권력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포털사이트의 개념 변화
- 왜 네이버인가??

Ⅱ. 본론
ⅰ. 대한민국 제 1의 포털사이트 네이버
ⅱ. 지식검색 - 네이버 1위의 주요인
1. 정보화 시대의 지식의 의미
2. 네이버와 구글
ⅲ. 네이버뉴스의 언론기능
- 게이트키핑과 네이버 뉴스의 의제설정

Ⅲ.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리고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 사이트들은 뉴스를 제공받을 때 기사의 제목을 수정하는 일이 대다수여서 이 또한 포털 사이트들이 편집 등의 언론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직접적인 사례들을 살펴보면, “성인여성 남성보다 일 많이 하고 여가시간은 적어”라는 기사 제목을 “서류가방이냐 기저귀가방이냐”라고 바꾸어 보다 압축적으로 변경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김대업씨 명의 사과상자 한나라당에 전달”을 “‘사과박스’ 장난하냐!”라고 바꾸어 원래의 기사제목과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보다 자극적
포털이 기사제목을 전면수정한 사례(애초 기사제목과 전혀 다른 의미일 경우) '포털뉴스, 제공받은 기사 85.4% 제목 바꿨다', 안홍기 기자, 오마이 뉴스, 2005.07.19.
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발한다. 포털 사이트의 페이지뷰와 사용자 체류 시간은 곧 그 포털 사이트의 가치를 가늠하는 하나의 척도로 작용하기 때문에, 포털 사이트들은 보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그래서 사이트 방문객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그 기사를 클릭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많은 포털 사이트들이 뉴스 서비스를 할 때에, 기사 제목을 수정하는 등의 편집 과정을 거친다. 이것은 경계할 만한 현상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즉, 포털 사이트들이 하나의 언론으로써 권력을 점유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포털 사이트들의 기사 편집과 관련하여, 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즉 조중동의 기사 편집과도 동일선상에 있는 문제로 볼 수 있다. 즉,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 사이트의 기사편집은 충분히 그 자체로 언론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다른 사이트로 가기 위해 거치는 하나의 관문이라는 포털 본연의 목적에서 벗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Ⅲ. 결 론
본론에서 네이버가 가장 영향력 있는 포털 사이트가 된 배경과 검색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이어진 네이버 안의 콘텐츠가 어떠한 함의를 가지고 기능하는지 살펴보았다.
네이버가 가지는 독점적인 위치는 사람들이 정보화시대에 요구하는 목소리에 귀 기울인 결과이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이 가지는 부정적인 측면은 네이버 안에서 구조화되어 사람들의 의식을 정체시킨다. 결과적으로 네이버의 네모난 검색창은 그 안에 사람들의 사고를 가두어버리게 한다. 검색은 인간 문화를 주도하는 무한한 자원인 지식 사이를 누비는 방법이다. 정보가 넘쳐날수록 그 중에서 옥석을 가려내주는 역할이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검색은 단순히 찾아주는 서비스가 아니라 골라주고 연결해주는 서비스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보사회에서 검색이라는 행위는 단순히 자료를 찾거나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우리 자신을, 세계를, 그리고 우리가 있는 공간을 이해하는 매커니즘이 된다는 것이다.『검색으로 세상을 바꾼 구글 스토리』, 존 바텔 지음, 전병국 감수, 이진원·신윤조 옮김, 랜덤하우스중앙, 2005, p.423
또한 오늘날, 하나의 언론으로써의 위치를 점하려 하는 포털 사이트들의 움직임은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TV와 신문을 통해 접하던 뉴스를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게 된 지금,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는 이미 일종의 언론 권력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식검색과 뉴스 서비스를 통해 한국 사회 속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네이버는 또 다른 권력을 가지고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미 우리의 일상 속에 보이지 않게 들어와 버린 네이버. 네이버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틀로서 작용하고 있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네이버에 주목해야 할 이유이다.
《참고자료》
『네이버 스토리』, 장정훈, NEWRUN, 2007
『네이버, 빛과 그림자』, 김태규·손재권, KT문화재단, 2006
『지식·정보 사회학: 이론과 실제』, 서이종,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인터넷에서는 무엇이 뉴스가 되나』, 구본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디지털이 세상을 바꾼다』, 백욱인, 문학과지성사, 1998
『검색으로 세상을 바꾼 구글 스토리』, 존 바텔 지음, 전병국 감수, 이진원·신윤조 옮김, 랜덤하우스중앙, 2005
[e세상] 네이버, 친절한 지식인? 정보독재 권력?, 김해용 기자, 매일신문, 2007.02.26
[콘텐츠가 블루오션] <3> 멋진 신세계를 향해, 특별취재팀=정구영차장(팀장)·정승량·한영일·권경희·최광 기자, 서울경제, 2006.04.18.
[세상만사-김상온] 언론과 정치, 김상온 논설위원, 국민일보, 2000.11.08.
[2006 IT 대탐사] 포털, 저널리즘 실현하는 미디어인가, 단순한 뉴스 전달자인가 (2), 유윤정 기자, ZDNet Korea, 2007.01.02.
"포털뉴스, 제공받은 기사 85.4% 제목 바꿨다", 안홍기 기자, 오마이뉴스, 2005.07.19
"네이버의 독점을 말한다", 이정환, 이정환닷컴, 2006.06.02
[보도그다음]'끈적끈적한' 네이버와 그 한계, 이정환 기자, economy21, 2006.03.06
[커버] 포털 '지식장터' 실험, 이희욱 기자, economy21, 2004.05.14
"포털은 영혼을 잠식한다", 원용진, 한겨fp21, 2006.04.12
"네이버 제국은 영원할 것인가", 김영배, 한겨레21, 2006.01.18
"'지식인 맹세론자'가 된 그 날", 김수현, 한겨레21, 2006.01.18
"포털 권력화 막아야 인터넷 생태계 산다", 한겨레 사설, 2007.02.20
[심층진단 포털을 말한다 - 2] 검색, 세상을 여는 새로운 창, 정진호 기자, 아이뉴스24, 2006.01.06
"지식검색, 이제는「양보다 질!", ZDNer Korea 뉴스, 김효정 기자, 2006.01.05
*목 차
Ⅰ. 서론
- 포털사이트의 개념 변화
- 왜 네이버인가??
Ⅱ. 본론
ⅰ. 대한민국 제 1의 포털사이트 네이버
ⅱ. 지식검색 - 네이버 1위의 주요인
1. 정보화 시대의 지식의 의미
2. 네이버와 구글
ⅲ. 네이버뉴스의 언론기능
- 게이트키핑과 네이버 뉴스의 의제설정
Ⅲ. 결론
* 참고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9.1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