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도계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방출 되어 총담관을 통해 장에 흘러들어감
담낭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 농축
지방 음식이 작은창자로 들어와 콜레시스토키닌(CCK)의 분비를 자극할 때까지 담즙 저장
CCK - 담낭의 수축자극
담낭은 장의 움직임과 분비를 자극하는 콜린성 신경섬유에 의해서도 자극 → 지방음식이 없으면 거의 비워지지 않지만 적절한 지방 음식 섭취시 1시간 내에 비워짐 → 담즙산은 재흡수되고 다시 간으로 돌아와 재생됨
oddi조임근 - 총담관이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부위에 위치
- 공복시나 식간에 수축
가스트린(gastrin)은 담즙의 흐름을 자극하여 담도압을 감소시킴
음식섭취 → 담낭 수축 → oddi조임근 이완 →십이지장으로 담즙배출
glucagon → 담낭 수축 → oddi조임근 이완 → 담즙 증가
소화성궤양 환자 - 담즙분비 빠름
음식 상상, 냄새 등 → 담즙분비 자극 / 공포, 흥분 등 → 담즙의 흐름 감소
미주신경 차단제 - 담낭의 긴장력 감소, oddi조임근의 경련 감소
Morphine - 조임근의 경련증가
Nitrate - 담낭과 oddi조임근 이완, 담낭의 긴장력 감소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上 Ⅱ - 수문사 / 서문자 외 / 2004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9.1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5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