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발생동기
3)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몇가지 정의
4)특징
5)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 비교
6)필립 잭슨의 아동의 교실생활
7)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력
8)한국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2) 발생동기
3)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몇가지 정의
4)특징
5)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 비교
6)필립 잭슨의 아동의 교실생활
7)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력
8)한국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본문내용
대부분 남학생으로 구성.
(나)교과서에서의 여성
첫째. 교과서에서 인물로 등장하는 남성의 수(60~83%)는 여성보다 훨씬 많다.
둘째. 교과서에서 기술되고 있는 여성의 역할은 전통적인 가정에서의 주부가 담당 했던 책임과 비슷한 것으로 소개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찾을 수 있는 예 ①여성의 역할은 항상 앞치마를 두르고 있거 나, 청소를 하고 있거나, 남편과 자식들 옆에서 과일을 깎고 있는 것으로 묘사 ②배 웅하는 모습은 거의가 어머니이며 아버지에게는 신물을 어머니에게는 가사일 도구를 들고 있다.
(다)학급관리에서의 여성
①성별에 따른 집단의 구성
: 1학년 때부터 물리적으로 성별집단분리→교사가 사용하는 다양한 비교와 경쟁의 방법을 통하여 한 차원 높은 심리적/대립적 공간으로 승화
②교실의 일에서 여성
: 자신이 남성/여성으로서 해야 하는 역할은 어떤 것이 있는가를 내면화 시키는 역할사회를 담당. 교실의 일의 할당과 분업은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대한 성고정적 인 해석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음. (청소, 사무적인 일은 여성에게 부여)
③교사의 신념
: 교사의 여성에 대한 특정한 신념(사랑스러운, 여성다운, 절제된 여성)
④차별의 탄생 : 성차별적 수업 상호작용
: 여학생의 수업참여에서의 기회의 차별
3. 비교와 실패
우리 초등학교의 중요한 생활의 특징으로서 평가 지향적 수업방법, 학생간의 비교, 학생의 성적에 보답하는 보상 등이 잔재하고 있음. 이에 학교는 아동으로 하여금 학교공부에서 중요한 것은 ‘경쟁에서 이기는 것’, ‘남들보다 더 잘하는 것’의 생활심리학을 내면화시킴. 이를 통하여 실패감과 무능감이 학교생활의 또 다른 잠재적 학습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줌
(가)성공과 실패의 명시화
초등학교의 일상적인 평가가 갖는 특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고 그에 근거 하여 적합한 범주나 명칭을 부여하는 선발과 분류의 성격을 띠고 있음. 교실생활의 상당량을 할애하며 교사의 학생들의 성취정도와 능력을 공개적으로 평가하고 점수로서 확인시키며 지나칠 정도로 교실의 모든 학생들에게 주의집중하게 하고 판별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음.
(나)실패와 공개화
교사의 검사와 확인 작업이 갖는 공개화는 곧바로 학생의 실수와 실패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이름호명, 의자 위나 앞에 일어서도록 함, 부적절한 자질 이나 성격을 비난, 수업참여의 권리나 기회 박탈, 체벌 등)
(다)차별적 보상
교실에서의 교사의 평가 작업은 평가 자체로 끝나기보다는 학생의 과제성취가 성공적 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보상이 제공된다. 성공집단의 학생들에게는 호의 적 기회를 경험 반면에 성공적이지 못한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이익에 제한을 가 하는 방법을 사용
(라)관리와 수업의 방법으로서 경쟁과 비교
성공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형식의 비교와 경쟁을 부추기는 방법(다양한 형태의 상벌제도)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와 경쟁은 학습효과를 목적으로 하기도 하지만 그 범위가 교실관리와 학생생활의 지도의 영역에까지 확대되었다.
(나)교과서에서의 여성
첫째. 교과서에서 인물로 등장하는 남성의 수(60~83%)는 여성보다 훨씬 많다.
둘째. 교과서에서 기술되고 있는 여성의 역할은 전통적인 가정에서의 주부가 담당 했던 책임과 비슷한 것으로 소개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찾을 수 있는 예 ①여성의 역할은 항상 앞치마를 두르고 있거 나, 청소를 하고 있거나, 남편과 자식들 옆에서 과일을 깎고 있는 것으로 묘사 ②배 웅하는 모습은 거의가 어머니이며 아버지에게는 신물을 어머니에게는 가사일 도구를 들고 있다.
(다)학급관리에서의 여성
①성별에 따른 집단의 구성
: 1학년 때부터 물리적으로 성별집단분리→교사가 사용하는 다양한 비교와 경쟁의 방법을 통하여 한 차원 높은 심리적/대립적 공간으로 승화
②교실의 일에서 여성
: 자신이 남성/여성으로서 해야 하는 역할은 어떤 것이 있는가를 내면화 시키는 역할사회를 담당. 교실의 일의 할당과 분업은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대한 성고정적 인 해석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음. (청소, 사무적인 일은 여성에게 부여)
③교사의 신념
: 교사의 여성에 대한 특정한 신념(사랑스러운, 여성다운, 절제된 여성)
④차별의 탄생 : 성차별적 수업 상호작용
: 여학생의 수업참여에서의 기회의 차별
3. 비교와 실패
우리 초등학교의 중요한 생활의 특징으로서 평가 지향적 수업방법, 학생간의 비교, 학생의 성적에 보답하는 보상 등이 잔재하고 있음. 이에 학교는 아동으로 하여금 학교공부에서 중요한 것은 ‘경쟁에서 이기는 것’, ‘남들보다 더 잘하는 것’의 생활심리학을 내면화시킴. 이를 통하여 실패감과 무능감이 학교생활의 또 다른 잠재적 학습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줌
(가)성공과 실패의 명시화
초등학교의 일상적인 평가가 갖는 특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고 그에 근거 하여 적합한 범주나 명칭을 부여하는 선발과 분류의 성격을 띠고 있음. 교실생활의 상당량을 할애하며 교사의 학생들의 성취정도와 능력을 공개적으로 평가하고 점수로서 확인시키며 지나칠 정도로 교실의 모든 학생들에게 주의집중하게 하고 판별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음.
(나)실패와 공개화
교사의 검사와 확인 작업이 갖는 공개화는 곧바로 학생의 실수와 실패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이름호명, 의자 위나 앞에 일어서도록 함, 부적절한 자질 이나 성격을 비난, 수업참여의 권리나 기회 박탈, 체벌 등)
(다)차별적 보상
교실에서의 교사의 평가 작업은 평가 자체로 끝나기보다는 학생의 과제성취가 성공적 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보상이 제공된다. 성공집단의 학생들에게는 호의 적 기회를 경험 반면에 성공적이지 못한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이익에 제한을 가 하는 방법을 사용
(라)관리와 수업의 방법으로서 경쟁과 비교
성공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형식의 비교와 경쟁을 부추기는 방법(다양한 형태의 상벌제도)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와 경쟁은 학습효과를 목적으로 하기도 하지만 그 범위가 교실관리와 학생생활의 지도의 영역에까지 확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