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통증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금단증상을 촉진하고 통증을 증가시키므로 마약효능제(opioid agonist)를 투여받는 환자에게 마약 효능길항제(agonist-anatagonist)를 함께 투여해서는 안된다.
-지속적으로 통증조절이 필요하다고 예상될 경우에는 meperidine (pethidine, Demerol)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마약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마약에 대한 내성과 신체적 의존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을 마약에 대한 중독(심리적 의존성)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 경구로 마약을 투여하는 것은 투약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므로 가장 좋은 방법이다. 환자가 경구로 약을 복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직장내 투여나 피부접착형 진통제가 상대적으로 덜 침습적이므로 이 두가지 방법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약물의 근육내 주사는 주사로 인한 통증을 유발하고 흡수도 불확실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한다.
-마약성 진통제와 보조진통제를 최대 용량으로 사용했는데도 효과가 없을 경우에 척수강으로 진통제 투여법을 고려해야 한다.
-마약의 부작용에 대한 민감도는 개인차가 상당히 크므로 의료진은 이러한 부작용에 대해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변비는 마약을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에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므로 미리 예상하고 예방책을 시행하고 계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마약에 의한 호흡억제를 역전시키기 위해 Naloxone을 사용할 경우에는 호흡억제를 역전시킬 정도의 충분한 용량을 투여해야 한다. 진통효과만 역전시킬 정도의 용량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암환자의 통증조절을 위해 위약(placebo)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통증조절 계획은 환자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한다.
-환자가 진료받다가 다른 기관으로 이송될 경우에는 통증관리에 대한 내용도 반드시 인계되어야 한다.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특정 집단(매우 어리거나 나이가 많은 환자, 인지능력장애가 있는 환자,약물중독이 의심되거나 약물중독으로 밝혀진 자, 언어 문제가 있는 환자)을 치료할 경우에 의료진은 통증 사정과 치료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영유아에 있어서는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 주된 통증 사정 방법이며 말을 할 줄 아는 어린이나 인지능력 장애가 있는 성인환자에게는 행동 관찰이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마약을 투여받고 있는 영유아는 약물 배출 시간이 길어지고 뇌혈관으로의 흡수가 용이해져서 진정작용과 호흡억제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노인환자는 진통제 대사가 나이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므로 약물축적이 일어나기 쉽다. 통증사정과 관리에 있어 소아에서처럼 적극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통증 조절이 안될 때 새로운 정신과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환자들이 무력감, 자살 의도, 안락사를 요구하는 행위를 하는 주된 이유가 통증조절의 실패일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의 적극적인 사정과 치료가 요구된다.
-재발성의 약물중독환자는 암으로 인한 통증을 과소치료 받을 위험이 있으므로 통증관리와 약물 남용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많은 전문가가 이들을 관리해야 한다.
-마약중독이 의심되거나 밝혀진 환자라고 해서 마약성 진통제 대신에 마약 이외의 방법으로 통증 조절을 해서는 안된다.
-통증사정이나 통증조절을 계획할 때 의료인은 개인의 종교 및 지방색에서 오는 독특한 요구와 상황을 인식해야 한다.
2)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통증을 호소하는 호나자들에게 가장 먼저 처방되는 약이며 류마티스병이 많은 노인 연령에서는 더운 많이 복용하게 된다. 비 마약성분의 진통작용, 항염증 작용, 해열 작용과 혈소판 억제 작용 등을 가지고 있다. 통증의 원인에 따라 진통 효과가 다르지만 경도 혹은 중등도 이하의 통증에 유효하며 중증도 이상이나 격심한 통증에는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하는 것이 좋다.
NSAIDs는 일발적으로 반감기가 길면 약의 효과가 늦게 나타 나므로 급성 통증을 위해서는 반감기가 짧은 약물을 서택하여 최고 허용량으로 투여하면 작용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진통 효과가 상승되여 작용 시간도 오래 간다.
*NSAIDs 화학적 분류
Carboxylic acids
Nonacetylated
Acetic acids
Propionic acids
Fenamic acids
Enolic acids
Nonacidic compounds
Para-aminophenol compounds
Acetylated : aspirin
choline magnesium trisalicylate, diflunisal
indomethacin, ketorolac, diclofenac, etodolac, sulindan, tolmetin
ibuprofen, ketoprofen, naproxen, fenoprofen
mefenamic acid
phenylbutazone, piroxicam, meloxicam
nabumetone
acetaminophen
*부작용
: 위산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점액과 중탄산나트륨의 분비를 감소시켜 소화불량을 가장 많이 일으키고 다음으로 위궤양을 유발한다. 약제를 식사와 함게 복용하거나, 많은 물을 같이 복용하며, 복용 후 30분 이내에는 눕지 말도록 권유하면 부작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 제산제를 복용하거나 프로스타글란딘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cytoteec)을 같이 사용하면 위장관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정상적인 신기능을 가진 사람에서는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저하가 신수질의 허혈을 초래하며, 신혈류의 자가조절, 사구체 여과 및 신세뇨관의 이온과 수분의 이동을 저하시키므로 신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장기간 복용하는 환자에게는 주의가 요망된다.
3)마약성 진통제
①일반 약리
-중추 신경계 작용 : 대뇌나 척수의 특별한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서 진통 작용을 나타낸다.
-심혈관계 작용 : 정상인에서는 치료 용량에서 심근에 대한 영향이 없으나 관상동맥 질환자에서는 산소 소모량, 심작업, 좌심실압과 이완기 혈압을 감소시킨다.
-호흡기계 작용 : 아편양제제는 사용량에서 호흡 억제를 일으키는데, 호흡수와 일회 환기량 모두를 억제시켜 분시환기량을 감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10.0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