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계
▶소화기장애 : 없음
7. 순환기계
▶순환기장애 : 없음
▶부종 : 없음
8. 신경계
▶동공크기 : 대칭
▶빛반사 : 좌-반응, 우- 반응
▶시력장애 : 없음
▶청력장애 : 없음
▶신경근육 : 정상
▶마비 : 없음
9. 의식상태
▶지남력 : 사람-있음, 시간-있음, 장소-있음
▶의식 : 명료
10. 정서상태 : 안정
▶낙상위험 척도 검사
연령 : 15~59세 의식상태 : 정상전신상태 : 정상
낙상력 : 없음 약물복용 : 없음시력상태 : 정상
균형력 : 있음만성질환 : 없음정서상태 : 정상
배설상태 : 정상
▶병리 검사
1) 응급 전혈구 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WBC
4.5~11×/dl
7.74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M:4.6~6.2×10/dl
F:4.2~5.4×10/dl
4.29
심한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혈증
빈혈, 골수기능부전, 용혈성빈혈,Addison\'disease, 출혈, Rheumatic fever
Hb
M:13.5~18g/dl
F:12~16g/dl
13.1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Hct
M:40~54%
F:38~47%
40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급성 중증출혈, cirrhosis
Plt
130 ~400/dl
318
감염,폐렴,알러지,급성 백혈병,재생 불량성 빈혈,대형 수술후
2) 전해질 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Na
Random:135~145mEq/L
24hr:40~220mEq/L
141
혈액농축, 신염, 유문부 협착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Random:3.5~5.5mEq/L
24hr:25~120mEq/L
3.79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당뇨성 산증, 설사, 구토
Cl
Random:98~110mEq/L
24hr:110~250mEq/L
108
신염, 요관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협착, 열성상태
3) ABGA 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pH
7.35 ~ 7.45
7.407
Respiatory Alkalosis
-
pCO2
35 ~ 45mmHg
40.7
Respiatory Alkalosis,
Metabolic acidosis
-
pO2
80 ~100mmHg
82.5
-
-
O2sat
95 ~100%
96.2
-
-
4) 일반화학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BUN
5 ~25mg/dl
11.7
-
-
Albumin
3.5 ~ 5.0g/dl
3.9
-
Malnutrition, Hemorrhage, Liver 내의 합성기전 파괴.
▶투약
약물명
표준 사용량
부작용
간호시 주의사항
1차약
isoniazid
0.2~0.5g/일을 경구로 1회 복용
말초신경염
간장애
처음 3달 동안과 50세 이상, 알콜중독자에게 간효소검사
Ethambutol
1.0~0.75g/일을 경구로 1회 복용
시력장애
피부발진
투여전과 치료 중 주기적으로 시력검사
Rifampin
10mg/kg/day를 경구로 식사전에 투여
위장장애,
열성반응
소변변화
소변,대변,침,객담,땀,눈물이 오렌지색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린다.
Streptomycin
15mg/kg/day 혹은
1g/일 IM
청신경손상
신장장애
치료전과 치료중 주기적으로 청력검사, 신장장애 증상 관찰
Pyrazinamide
1.5~2.0g/일 경구로 매일 투여
간장애
요산혈증
간독성 증강 관찰
간기능과 요산 검사 결과 관찰
2차약
Viomycin
1.0g/day로 주 2일 IM
청각장애
신장장애
노인과 신장질환대상자에게 주의하여 사용
Capreomycin
최초 2개월은 1g/day IM, 그후1g/day주 2일
IM
청신경손상
신장장애
신장장애와 청력장애 증상 관찰
주사 부위에 농양증상 관찰
Kanamycin
2.0g/day wn 2일 IM
청각장애
신장장애
사용중 청력 관찰
신장장애 증상 관찰
Ethionamide
처음에는 0.3g/day,이후점점늘려 0.5~0.7/g
day를 경구로 2,3회에 나누어 투여
위장장애
간효소의 일시적증가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 시간을 바꾸어 위장장애 증상 최소화함
PAS
10~15g/day 경구로 1회 투여
위장장애,
간장애
수분이 닿으면 정제가 변한다.
Cycloserine
0.5g/day를 경구로 매일 1회 투여
정신이상
경련발진
경련 관찰
간질이 있을땐 금기
▶약물 복용의 원칙
식전에 한꺼번에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속쓰림등 부작용이 심하면 리팜핀만 식전에 들고 나머지는 식후에 먹어도 된다. 복용후 소변은 붉은 색으로 나오지만 약 때문이므로 걱정할 필요 없다. 피부가 거칠어지고 붉은 반점이나 두드러기가 날 수 있다. 심하면 복용을 중지해야한다.
감기 몸살을 앓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약물 복용을 계속하다보면 적응되며 서서히 호전된다. 특히 처음 2개월간은 피부가 햇볕에 쉽게 타므로 일광노출을 주의해야한다. 통풍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절통을 느끼거나 시력이 저하될 수 있으니, 시력저하를 느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그외 간기능장애, 신기능 장애, 혈소판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어서 약물 투여후 보통 1-2주째와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받아야 한다. 결핵성 흉막염의 경우 병이 치유되어가는 중에도 깊은 숨에 가끔씩 흉통이 있을 수 있다.
결핵약 복용중의 식욕부진, 위장장애, 권태감이나 피로감, 메스꺼움이나 구토, 황달, 피부발진, 시력이나 청력의 감퇴, 귀에서 매미우는 소리같은 이명, 어지러움 손발이 저리는 증세가 발생하며 주치의와 상의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Ⅱ / 서문자 외 / 수문사 / 2004년
최신 임상 간호 메뉴얼 / 고일선 외 / 현문사 / 2003년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주용식 / 수문사 / 1990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naver.com
daum.com
▶소화기장애 : 없음
7. 순환기계
▶순환기장애 : 없음
▶부종 : 없음
8. 신경계
▶동공크기 : 대칭
▶빛반사 : 좌-반응, 우- 반응
▶시력장애 : 없음
▶청력장애 : 없음
▶신경근육 : 정상
▶마비 : 없음
9. 의식상태
▶지남력 : 사람-있음, 시간-있음, 장소-있음
▶의식 : 명료
10. 정서상태 : 안정
▶낙상위험 척도 검사
연령 : 15~59세 의식상태 : 정상전신상태 : 정상
낙상력 : 없음 약물복용 : 없음시력상태 : 정상
균형력 : 있음만성질환 : 없음정서상태 : 정상
배설상태 : 정상
▶병리 검사
1) 응급 전혈구 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WBC
4.5~11×/dl
7.74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M:4.6~6.2×10/dl
F:4.2~5.4×10/dl
4.29
심한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혈증
빈혈, 골수기능부전, 용혈성빈혈,Addison\'disease, 출혈, Rheumatic fever
Hb
M:13.5~18g/dl
F:12~16g/dl
13.1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Hct
M:40~54%
F:38~47%
40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급성 중증출혈, cirrhosis
Plt
130 ~400/dl
318
감염,폐렴,알러지,급성 백혈병,재생 불량성 빈혈,대형 수술후
2) 전해질 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Na
Random:135~145mEq/L
24hr:40~220mEq/L
141
혈액농축, 신염, 유문부 협착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Random:3.5~5.5mEq/L
24hr:25~120mEq/L
3.79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당뇨성 산증, 설사, 구토
Cl
Random:98~110mEq/L
24hr:110~250mEq/L
108
신염, 요관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협착, 열성상태
3) ABGA 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pH
7.35 ~ 7.45
7.407
Respiatory Alkalosis
-
pCO2
35 ~ 45mmHg
40.7
Respiatory Alkalosis,
Metabolic acidosis
-
pO2
80 ~100mmHg
82.5
-
-
O2sat
95 ~100%
96.2
-
-
4) 일반화학검사
검사
정상치
6/2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BUN
5 ~25mg/dl
11.7
-
-
Albumin
3.5 ~ 5.0g/dl
3.9
-
Malnutrition, Hemorrhage, Liver 내의 합성기전 파괴.
▶투약
약물명
표준 사용량
부작용
간호시 주의사항
1차약
isoniazid
0.2~0.5g/일을 경구로 1회 복용
말초신경염
간장애
처음 3달 동안과 50세 이상, 알콜중독자에게 간효소검사
Ethambutol
1.0~0.75g/일을 경구로 1회 복용
시력장애
피부발진
투여전과 치료 중 주기적으로 시력검사
Rifampin
10mg/kg/day를 경구로 식사전에 투여
위장장애,
열성반응
소변변화
소변,대변,침,객담,땀,눈물이 오렌지색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린다.
Streptomycin
15mg/kg/day 혹은
1g/일 IM
청신경손상
신장장애
치료전과 치료중 주기적으로 청력검사, 신장장애 증상 관찰
Pyrazinamide
1.5~2.0g/일 경구로 매일 투여
간장애
요산혈증
간독성 증강 관찰
간기능과 요산 검사 결과 관찰
2차약
Viomycin
1.0g/day로 주 2일 IM
청각장애
신장장애
노인과 신장질환대상자에게 주의하여 사용
Capreomycin
최초 2개월은 1g/day IM, 그후1g/day주 2일
IM
청신경손상
신장장애
신장장애와 청력장애 증상 관찰
주사 부위에 농양증상 관찰
Kanamycin
2.0g/day wn 2일 IM
청각장애
신장장애
사용중 청력 관찰
신장장애 증상 관찰
Ethionamide
처음에는 0.3g/day,이후점점늘려 0.5~0.7/g
day를 경구로 2,3회에 나누어 투여
위장장애
간효소의 일시적증가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 시간을 바꾸어 위장장애 증상 최소화함
PAS
10~15g/day 경구로 1회 투여
위장장애,
간장애
수분이 닿으면 정제가 변한다.
Cycloserine
0.5g/day를 경구로 매일 1회 투여
정신이상
경련발진
경련 관찰
간질이 있을땐 금기
▶약물 복용의 원칙
식전에 한꺼번에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속쓰림등 부작용이 심하면 리팜핀만 식전에 들고 나머지는 식후에 먹어도 된다. 복용후 소변은 붉은 색으로 나오지만 약 때문이므로 걱정할 필요 없다. 피부가 거칠어지고 붉은 반점이나 두드러기가 날 수 있다. 심하면 복용을 중지해야한다.
감기 몸살을 앓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약물 복용을 계속하다보면 적응되며 서서히 호전된다. 특히 처음 2개월간은 피부가 햇볕에 쉽게 타므로 일광노출을 주의해야한다. 통풍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절통을 느끼거나 시력이 저하될 수 있으니, 시력저하를 느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그외 간기능장애, 신기능 장애, 혈소판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어서 약물 투여후 보통 1-2주째와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받아야 한다. 결핵성 흉막염의 경우 병이 치유되어가는 중에도 깊은 숨에 가끔씩 흉통이 있을 수 있다.
결핵약 복용중의 식욕부진, 위장장애, 권태감이나 피로감, 메스꺼움이나 구토, 황달, 피부발진, 시력이나 청력의 감퇴, 귀에서 매미우는 소리같은 이명, 어지러움 손발이 저리는 증세가 발생하며 주치의와 상의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Ⅱ / 서문자 외 / 수문사 / 2004년
최신 임상 간호 메뉴얼 / 고일선 외 / 현문사 / 2003년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주용식 / 수문사 / 1990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naver.com
daum.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