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기구
3. 방법
4. 이론
5. 결론
2. 기구
3. 방법
4. 이론
5. 결론
본문내용
과라 불리우지만, 이와같은 경우 에는 바른 막두께를 구한다고 말할 수 없다. 이것보다도 측정되는 막두께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결과
실험횟수
b(mm)
a(mm)
h(nm)
1
0.42
0.45
254.8327
2
0.47
0.5
256.6529
3
0.5
0.52
262.5337
4
0.43
0.46
255.2284
5
0.44
0.5
240.2708
6
0.46
0.49
256.3186
7
0.48
0.53
247.277
8
0.46
0.5
251.1922
9
0.47
0.51
251.6205
10
0.47
0.52
246.7816
0.46
0.498
252.2708
파장: 546.07nm
이번 실험을 하면서 박막의 손상과 오염, 그리고 버니어 게이지를 읽는 과정에서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범위를 측정하는데 대한 오차등에 의해서 오차가 좀 발생했지만 우리의 실험기구로 나노의 범위를 측정할수 있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는 실험이었다.
실험기구의 정확한 데이터를 뽑을수 있는 장비가 있었음 하는 점이 아쉬운 점이었고 눈으로 측정하는데 한계를 느꼈지만 많은 반복을 하면 좀 나은 데이터를 얻을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과
실험횟수
b(mm)
a(mm)
h(nm)
1
0.42
0.45
254.8327
2
0.47
0.5
256.6529
3
0.5
0.52
262.5337
4
0.43
0.46
255.2284
5
0.44
0.5
240.2708
6
0.46
0.49
256.3186
7
0.48
0.53
247.277
8
0.46
0.5
251.1922
9
0.47
0.51
251.6205
10
0.47
0.52
246.7816
0.46
0.498
252.2708
파장: 546.07nm
이번 실험을 하면서 박막의 손상과 오염, 그리고 버니어 게이지를 읽는 과정에서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범위를 측정하는데 대한 오차등에 의해서 오차가 좀 발생했지만 우리의 실험기구로 나노의 범위를 측정할수 있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는 실험이었다.
실험기구의 정확한 데이터를 뽑을수 있는 장비가 있었음 하는 점이 아쉬운 점이었고 눈으로 측정하는데 한계를 느꼈지만 많은 반복을 하면 좀 나은 데이터를 얻을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