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본예산의 의의와 그 과정
⑴ 자본예산의 기초 개념
⑵ 투자결정의 종류와 성격
⑶ 자본예산 편성의 과정
2. 투자안의 모색과 개발
⑴ 투자안의 분류
⑵ 투자의사결정 조직
3.자본 예산의 중요성
(1)투자자본의 대규모화 및 특화
(2)투자의 장기화 추세
(3)투자 소요자금의 조달전략
(4)경쟁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
4.투자안의 현금흐름의 추정
⑴ 현금흐름 추정 자료의 수집
⑵ 현금흐름 추정의 기본원칙
1)현금흐름과 회계이익
2)증분기준에 의한 현금흐름(on an incremental basis)
3)현금흐름의 추정식
⑴ 자본예산의 기초 개념
⑵ 투자결정의 종류와 성격
⑶ 자본예산 편성의 과정
2. 투자안의 모색과 개발
⑴ 투자안의 분류
⑵ 투자의사결정 조직
3.자본 예산의 중요성
(1)투자자본의 대규모화 및 특화
(2)투자의 장기화 추세
(3)투자 소요자금의 조달전략
(4)경쟁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
4.투자안의 현금흐름의 추정
⑴ 현금흐름 추정 자료의 수집
⑵ 현금흐름 추정의 기본원칙
1)현금흐름과 회계이익
2)증분기준에 의한 현금흐름(on an incremental basis)
3)현금흐름의 추정식
본문내용
working capital)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 순운전자본의 변화는 새로운 투자안의 수행으로 인한 부품 등의 재고자산이나 혹은 외상매출금 등의 유동자산의 증가에서 외상매입금 등의 유동부채의 증가를 뺀 차액이다. 대부분의 투자안은 순 운전자본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를 필요로 한다. 매년의 순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는 그 해의 현금유출이 되지만, 투자기간이 만료될 때 순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를 회수하게 되므로 현금유입으로 잡힌다.
3)현금흐름의 추정식
일반적으로 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연도별 순현금흐름(net cash flows)은 다음 식 (6-1)에 의해 추정한다. 현금흐름의 추정식 (6-1)은 앞에서 설명한 현금흐름의 추정 원칙을 근거로 도출된 것이다. 이 식에서, ΔCF는 순현금흐름(net cash flow), ΔEBIT는 영업이익(혹은 이자 및 세금전 이익)의 증감분, ΔDep는 감가상각비의 증감분, tc는 법인세율을 각각 의미한다.
ΔCF = (1-tc) ΔEBIT + ΔDep ----------1)
부채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자본으로만 구성된 ABC기업의 추정손익계산서(pro-forma income statement)인 아래 표을 이용하여 기업의 현금흐름이 어떻게 위의 식 1)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가를 살펴 보자.
항 목
기호
금액 (억원)
매출액의 증가
ΔR
145
변동 현금비용의 증가
ΔV
-90
고정 현금비용의 증가
ΔF
-10
감가상각비의 증가
ΔDep
-15
영업이익(EBIT)의 증가
ΔEBIT
30
이자비용의 증가
ΔI
0
법인세차감전이익(EBT)의 증가
ΔEBT
30
법인세(tc=40%)의 증가
ΔTax
12
순이익(NI)의 증가 ΔNI
ΔNI
18
[표] 추정 손익계산서
위의 추정손익계산서를 기초로, 세후 현금흐름의 증감분에 대한 추정식 1)은 앞에서 배운 현금흐름의 추정 원칙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것이다.
ΔCF = 현금유입의 증가분 - 현금유출의 증가분
= ΔR - (ΔV+ΔF+ΔTax)
= (ΔR-ΔV-ΔF) - ΔTax
= (ΔR-ΔV-ΔF) - tc(ΔR-ΔV-ΔF-ΔDep)
= (ΔR-ΔV-ΔF-ΔDep) - tc(ΔR-ΔV-ΔF-ΔDep) + ΔDep
= (1-tc)(ΔR-ΔV-ΔF-ΔDep) + ΔDep
= (1-tc) ΔEBIT + ΔDep ----------1)
현금흐름의 추정식 1)은 때로는 아래와 같은 식 2)와 같이 변형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이 식에서 두 번째 항을 감가상각비의 감세효과라고 한다.
ΔCF = (1-tc)(ΔR-ΔV-ΔF) + tc ΔDep ---------- 2)
ABC기업의 추정손익계산서를 기초로 이 기업의 순현금흐름을 구해 보자. 우선, 순현금흐름의 추정식 1)를 이용하여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식 2)에 의해서도 동일한 순현금흐름을 추정할 수 있는가를 확인해 보라.
ΔCF = (1-tc) ΔEBIT + ΔDep
= (1-0.4) (145-90-10-15)+15
= 33 (억원)
3)현금흐름의 추정식
일반적으로 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연도별 순현금흐름(net cash flows)은 다음 식 (6-1)에 의해 추정한다. 현금흐름의 추정식 (6-1)은 앞에서 설명한 현금흐름의 추정 원칙을 근거로 도출된 것이다. 이 식에서, ΔCF는 순현금흐름(net cash flow), ΔEBIT는 영업이익(혹은 이자 및 세금전 이익)의 증감분, ΔDep는 감가상각비의 증감분, tc는 법인세율을 각각 의미한다.
ΔCF = (1-tc) ΔEBIT + ΔDep ----------1)
부채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자본으로만 구성된 ABC기업의 추정손익계산서(pro-forma income statement)인 아래 표을 이용하여 기업의 현금흐름이 어떻게 위의 식 1)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가를 살펴 보자.
항 목
기호
금액 (억원)
매출액의 증가
ΔR
145
변동 현금비용의 증가
ΔV
-90
고정 현금비용의 증가
ΔF
-10
감가상각비의 증가
ΔDep
-15
영업이익(EBIT)의 증가
ΔEBIT
30
이자비용의 증가
ΔI
0
법인세차감전이익(EBT)의 증가
ΔEBT
30
법인세(tc=40%)의 증가
ΔTax
12
순이익(NI)의 증가 ΔNI
ΔNI
18
[표] 추정 손익계산서
위의 추정손익계산서를 기초로, 세후 현금흐름의 증감분에 대한 추정식 1)은 앞에서 배운 현금흐름의 추정 원칙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것이다.
ΔCF = 현금유입의 증가분 - 현금유출의 증가분
= ΔR - (ΔV+ΔF+ΔTax)
= (ΔR-ΔV-ΔF) - ΔTax
= (ΔR-ΔV-ΔF) - tc(ΔR-ΔV-ΔF-ΔDep)
= (ΔR-ΔV-ΔF-ΔDep) - tc(ΔR-ΔV-ΔF-ΔDep) + ΔDep
= (1-tc)(ΔR-ΔV-ΔF-ΔDep) + ΔDep
= (1-tc) ΔEBIT + ΔDep ----------1)
현금흐름의 추정식 1)은 때로는 아래와 같은 식 2)와 같이 변형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이 식에서 두 번째 항을 감가상각비의 감세효과라고 한다.
ΔCF = (1-tc)(ΔR-ΔV-ΔF) + tc ΔDep ---------- 2)
ABC기업의 추정손익계산서를 기초로 이 기업의 순현금흐름을 구해 보자. 우선, 순현금흐름의 추정식 1)를 이용하여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식 2)에 의해서도 동일한 순현금흐름을 추정할 수 있는가를 확인해 보라.
ΔCF = (1-tc) ΔEBIT + ΔDep
= (1-0.4) (145-90-10-15)+15
= 33 (억원)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자본
외국자본유입의 실태와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잉여가치][잉여가치율][이윤율][자본주의]자본가의 개념, 자본주의의 개념, 가치의 구성요소...
사회적자본의 중요성과 함양
[한국정부론]한국에서 사회자본형성을 위한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을 논의하시오-사회자본형...
기업의 자본 운용과 조달(자본조달의 원칙과 방법, 자본의 운용)
국제자본투자와 자본조달
자본자산가격 결정모형
한국자본주의의 역사(한국현대사레포트)
주식회사의 자본금제도
[상업][상업 역사][상업과 교육][상업과 자본][상업과 고려시대상업][조선시대상업][중세시대...
[기업가이득][경영자이득]기업가이득(경영자이득)의 의미, 자본주의 생산, 기업가이득(경영자...
새로운 10년을 움직일 제3의 자본, 사회적 자본
신바젤협약(국제결제은행, BIS) 자기자본비율규제의 배경, 주요내용, 신바젤협약(국제결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