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체벌과 그 대안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체벌의 개념

Ⅲ. 체벌의 긍정적인 면
1. 체벌의 효과
2. 체벌을 긍정하는 판례

Ⅳ. 체벌의 부정적인면
1. 체벌의 문제점
2. 체벌을 부정하는 판례

Ⅴ. 체벌 운영상의 유의점

Ⅵ. 체벌의 대안
1. 교사의 역할
2. 체벌의 교육적 대안 모형

Ⅶ. 결 론

Ⅷ.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재이고 배울 수 있으며, 또한 스스로의 행동을 책임질 수 있는 존재로 믿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즉흥적인 체벌을 피하도록 노력하며, 사랑과 인내를 가지고 학생을 지도해야 한다. 학생은 이해되고 존중되어야 하는 인격체이며, 어른들의 따뜻한 보살핌과 사람 속에서 교육받아야 할 권리를 가진다.
② 의사소통은 평가의 차원에서 보다는 기술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Ginitt에 의하면, “비꼬는 투의 말은 학생들에게 좋지 않다. 이는 그들의 자신감과 자존심을 저해한다. 언어적 질책은 학습향상과 인간발달을 왜곡시킨다. 한 학생이 고통을 느낄 때 그의 불만과 요망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상황에 관해서만 언급해야지 인성과 성격에 관한 언급을 삼가는 것이 의사소통의 중요원리이다.”
③ 학생들의 느낌을 반영해 줌으로 해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Gorden은 의사소통을 원활히 촉친케하는 방법으로 수동적인 듣기, 인정하기, 말문을 터주기, 그리고 능동적인 듣기 등을 제시하였다.
④ 자기의중전달(I-message) 기술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 된다. 나전달(I-message)기술은 교사로 하여금 그 자신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실망, 갈등, 우려 등을 표현하지만 교사들은 학생들을 개인적으로 공격한다든가 벌하지 않는다. 이런 기술은 학생이 받을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사전에 배제하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교사의 실망, 갈등, 우려의 원인들을 고려하여 자발적으로 문제행동을 삼가게 한다. 이러한 교사의 자기의중전달 방법은 학생의 부정적인 평가를 최소화하면서 좋은 인간관계를 저해하지 않는다. Gorden에 의하면 자기의중전달 기술은 세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교사를 고민스럽게 하는 문제행동의 기술과, 그 행동으로 말미암은 가시적인 결과, 그리고 그로 인해 교사가 가지는 느낌 등이다.
Ⅶ. 결 론
교육심리학적 입장에서는 벌의 효과는 강화의 결과보다 훨씬 복잡한 것이어서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예언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벌의 효과는 강화의 결과보다 덜 영속적이라는 것이다. 올바른 인격형성 교사와 아동 및 학부모와의 바람직한 인간관계형성을 위해서는 체벌이 갖는 역기능적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보는 쪽이 많다.
분명 교육현장에서 체벌은 없어서는 안 될 훈육 방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과밀 학급, 대학 입시등과 같은 환경은 교사가 체벌 없이 교육을 하도록 하는 것을 방해한다. 판례를 보더라도 체벌에 관한 판시내용은 교육상의 목적, 필요, 부득이성, 객관적 타당성 인격존중등과 같은 요건 하에서 체벌은 행해질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요건들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체벌과 폭력의 차이를 판단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보다 엄격한 기준과 법적인 절차가 필요하며, 체벌의 방법이나 체벌의 도구등도 명확히 정해놓아야 한다. 그리고 체벌을 교사 개인에 한정된 문제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체벌 없이도 교사가 자신의 소신을 가지고 교육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사회적 차원에서 제공 해주어야 할 것이다.
Ⅷ. 참 고 문 헌
송용수 (2004) 학교체벌에 대한 아동의 지각특성과 공격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정재훈 (2006) 교사의 체벌실태를 통한 인식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신득균 (2004) 학생 체벌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식 비교 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주영숙 (1998) 학생체벌의 교육적 고찰,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敎育硏究, Vol.6, 1-42 (42쪽)
이영준 (2001) 아동 체벌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釜山敎育大學, 學生生活硏究所, Vol.21, 133-146 (14쪽)
이원희, 박창언 (2000) 체벌과 교사의 권한, 大邱敎育大學校, 論文集, Vol.35, 351-371 (21쪽)
권인탁 (1999) 주요국의 체벌과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 韓國敎員敎育學會, 韓國敎師敎育, Vol.16, 239-262 (24쪽)
신동로, 이국행 (1999) 체벌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과 그 대안, 한국교원교육학회
이수미 (2004) 체벌의 쟁점 분석 연구 : 체벌의 문제점과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학위논문(석사)
이영준 (1997) 체벌의 교육학적 고찰,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육연구, Vol.10, 297-315 (19쪽)
장명림 (1979) 아동심리학, 서울 : 제일문화사
李星珍 (1974) 學敎에서의 行動修正". 서울 : 培英社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