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옥 개념 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옥 이전의 저승
1) 고대의 상상 세계 2) 고중세 : 교의의 침체와 상상 세계의 확대

2. 12세기 : 연옥의 탄생
1) 정화하는 불 2) 로쿠스 푸르가토리우스 : 정화를 위한 장소
3) 시칠리와 아일랜드 사이의 연옥 4) 연옥의 논리

3. 연옥의 승리
1) 스콜라적 체계화 2) 사회적 승리 : 목회와 연옥
3) 시적인 승리 :「신곡」

본문내용

것이었다. 연옥 발전의 결과들 중 하나는 영적으로 취약한 사회-직업적 범주들을 다시금 구원의 구도 속에 복원시키고 그들의 사회적 상승을 종교적으로 지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3) 시적인 승리 : 「신곡」
1265년 피렌체에서 태어난 단테 덕분에 연옥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부동의 자리를 얻게 되었다. 단테는 「신곡」의 처음 두 편, 즉 지옥편과 연옥편을 통하여 연옥이라는 주제들의 대부분을 거대한 교향악으로 완성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 연옥편은 교회가 근본적으로 연옥 교의를 긍정하면서도 기독교인들의 감수성과 상상력에 내맡겨두었던 연옥의 가능하고 때로는 경쟁적인 이미지들 가운데서, 인간 정신이 낳은 연옥의 가장 고귀한 표현이기도 하다. 단테는 연옥이 희망의 장소라는 것을 강조하는 반면 구원의 확신이 기도로 나타나고 기도로 입증되며 재촉되어야 한다. 이 희망은 정결함과 희망의 빛깔인 흰색과 녹색으로써 상징된다. 단테는 연옥의 시간이 역사적 시간 내에 자리함을 상기시키며, 연옥 체류의 최장기간은 죽음에서 최후 심판까지이다. 연옥에서 시간은 흐름이 빨라지기도 늦어지기도 하고, 산 자들의 기억과 죽은 자들이 조바심 사이를 넘나들기도 하며, 그러면서 여전히 역사에 결부된 시간인가 하면 이미 종말론에 편입된 시간이다. 연옥에서는 시간이 가는 것도 영혼들의 전진에 의해 드러난다. 연옥은 전적으로 위를 향해 있는데, 이때 악은 잊혀지고 오직 인간에게 있는 불명의 것, 즉 선의 기억만이 남는다. 이렇게 단테는 진정한 빛을 만나게 된다.
☆ 참고 문헌 : 자크 르 코프, 최애리 역, 『연옥의 탄생』, 문학과지성사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0.2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