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DMB의 개념과 특성
2 .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3 . 문제점
1. 위성 DMB 문제점 : 위성 DMB 컨텐츠
2. 지상파 DMB 문제점 : 방송3사의 뉴미디어 장악 가능성
3. DMB 상용화 관련 문제점 : 1) 안개 속 DMB 정책 2) 적극적인 홍보 부족
4. 제언
1. 위성 DMB 컨텐츠 문제 ⇨ 차별화된 컨텐츠 개발 필요
2. 지상파 DMB 문제점 ⇨ 신규 방송사업자를 대폭 확대하는 정책
3. DMB 상용화 ⇨ 법과 제도의 뒷받침, 적극적인 홍보 필요
5 . 결론
2 .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3 . 문제점
1. 위성 DMB 문제점 : 위성 DMB 컨텐츠
2. 지상파 DMB 문제점 : 방송3사의 뉴미디어 장악 가능성
3. DMB 상용화 관련 문제점 : 1) 안개 속 DMB 정책 2) 적극적인 홍보 부족
4. 제언
1. 위성 DMB 컨텐츠 문제 ⇨ 차별화된 컨텐츠 개발 필요
2. 지상파 DMB 문제점 ⇨ 신규 방송사업자를 대폭 확대하는 정책
3. DMB 상용화 ⇨ 법과 제도의 뒷받침, 적극적인 홍보 필요
5 . 결론
본문내용
요한 것은 여기서 단순히 지상파 방송의 얼굴만 바꾸는 정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신규방송사업자들이 기존의 방송사업자들의 견제를 받지 않고 활발히 사업에 참여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DMB 상용화의 문제 법과 제도의 뒷받침, 적극적인 홍보 필요
마지막으로 DMB상용화에 있어 법과 제도가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DMB 관련법과 제도가 현실 상황에 맞게 정비되어 DMB 상용화를 뒷받침 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방송위원회는 사안을 놓고 결정을 여러 번 번복하는 이때까지의 무기력한 모습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미디어 정책을 내놓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DMB관련 정책을 제대로 결정하지 못해 일본에게 세계 최초 위성DMB 상용화를 빼앗긴 것과 같은 일을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각 방송위원회와 사업체는 DMB 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소비자들의 욕구(Need)가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방송이란 결국 사람이 보는 것이다. 사람의 커뮤니케이션 욕구가 없다면 방송도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준비한 DMB 사업이 사람들의 외면 속에 좌초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용화 이전 정부와 DMB서비스 준비 사업자 중심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쳐 시민들의 인지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5. 결론
이 때까지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DMB란 방송과 통신이 융합 된 새로운 매체이다. 기존 매체의 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 만큼 DMB사업자들은 앞으로 다양한 컨텐츠 개발 통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법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상황은 기술 개발만 단독으로 앞서 나가고 나머지는 계속 쳇바퀴를 맴도는 상황이다. 앞으로는 서로간의 이익다툼에 열중하기보다 방송위원회와 각 사업자들 간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모든 사항을 신속하게 결정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준비 사업자들은 아무리 훌륭한 기술이라도 소비자들의 욕구(Need)가 없다면 상용화 될 수 없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하여 시민들의 DMB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켜 많은 자본을 투자한 DMB사업이 많은 수용자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고,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위성 DMB 시스템 개요 및 비교 / 최성진 / 한국방송공학회지 제8권 1호
위성 DMB 기술기준 및 상용화 현황 / 서종수 / 전자공학회지 제32권 제5호
지상파 DMB 서비스 / 김용한 / 정보처리학회지 제11권 제5호
지상파 DMB 기술 및 표준 현황 / 김용한 / 한국통신학회지 제21권 11호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도입 정책 / 한은영 / 정보통신정책 제16권 5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서비스 현황 및 분석 / 진희채 외 /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제5권 제2호
3. DMB 상용화의 문제 법과 제도의 뒷받침, 적극적인 홍보 필요
마지막으로 DMB상용화에 있어 법과 제도가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DMB 관련법과 제도가 현실 상황에 맞게 정비되어 DMB 상용화를 뒷받침 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방송위원회는 사안을 놓고 결정을 여러 번 번복하는 이때까지의 무기력한 모습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미디어 정책을 내놓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DMB관련 정책을 제대로 결정하지 못해 일본에게 세계 최초 위성DMB 상용화를 빼앗긴 것과 같은 일을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각 방송위원회와 사업체는 DMB 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소비자들의 욕구(Need)가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방송이란 결국 사람이 보는 것이다. 사람의 커뮤니케이션 욕구가 없다면 방송도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준비한 DMB 사업이 사람들의 외면 속에 좌초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용화 이전 정부와 DMB서비스 준비 사업자 중심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쳐 시민들의 인지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5. 결론
이 때까지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DMB란 방송과 통신이 융합 된 새로운 매체이다. 기존 매체의 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 만큼 DMB사업자들은 앞으로 다양한 컨텐츠 개발 통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법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상황은 기술 개발만 단독으로 앞서 나가고 나머지는 계속 쳇바퀴를 맴도는 상황이다. 앞으로는 서로간의 이익다툼에 열중하기보다 방송위원회와 각 사업자들 간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모든 사항을 신속하게 결정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준비 사업자들은 아무리 훌륭한 기술이라도 소비자들의 욕구(Need)가 없다면 상용화 될 수 없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하여 시민들의 DMB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켜 많은 자본을 투자한 DMB사업이 많은 수용자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고,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위성 DMB 시스템 개요 및 비교 / 최성진 / 한국방송공학회지 제8권 1호
위성 DMB 기술기준 및 상용화 현황 / 서종수 / 전자공학회지 제32권 제5호
지상파 DMB 서비스 / 김용한 / 정보처리학회지 제11권 제5호
지상파 DMB 기술 및 표준 현황 / 김용한 / 한국통신학회지 제21권 11호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도입 정책 / 한은영 / 정보통신정책 제16권 5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서비스 현황 및 분석 / 진희채 외 /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제5권 제2호
추천자료
홈쇼핑 마케팅 전략 분석(농수산TV)
[TV 코미디][코미디][웃음][개그][개그맨][방송문화][코메디]TV 코미디와 웃음 분석(코미디란...
한국 지상파TV 공익광고 분석
기업의 이미지 메이킹 사례분석 - TV 광고
TV홈쇼핑의 심리마케팅 전략분석
[미디어비평][미디어비평 방법][TV미디어비평][텔레비전 미디어비평][매스미디어][디지털미디...
디지털방송(디지털TV) 전송방식의 개념, 디지털방송(디지털TV) 전송방식의 변천과 변경 효과,...
[TV방송수신료][KBS수신료]한나라당의 KBS TV수신료에 대한 인식, 한나라당의 KBS TV수신료 ...
[기호학/매체비평A+] TV프로그램 안녕, 프란체스카 캐릭터와 텍스트분석 및 내용분석
[매체][교육매체][쌍방향매체][독서매체][인쇄매체][전자매체][TV매체][텔레비전매체][라디오...
텔레비전매체(TV매체)의 성격, 텔레비전매체(TV매체)의 변천, 텔레비전매체(TV매체)의 저널리...
TV 프로그램,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 분석, infortainment(비타민, 황금알 등)분석
[기술특성, 문화산업, 전자상거래, 네트워크, IPTV, 디지털TV, 모바일게임]문화산업의 기술특...
최근 자신이 본 TV광고 혹은 신문광고 중 특별히 기억나는 광고를 2개를 선정하여 소비자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