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환타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환타지란 무엇인가
1.1 환타지의 기원과 개념
1.2 넓은 의미의 환타지 - 환상 문학의 개념
1.3 환상성을 가진 서사 방식
1.3.1 경이적인 서사
1.3.2 환상적인 서사

2. S.F. ․ 신화 ․ 무협지의 환상성
2.1 S.F.에 나타나는 환상성
2.2 신화에 나타나는 환상성
2.2.1 그리스 로마 신화
2.2.2 일본 신화
2.2.3 중국 신화
2.3 무협지에 나타나는 환상성

3. 한국 문학에 나타나는 환상성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작가는 구운몽을 통해 세속적인 삶에서 벗어나 불교적으로 도를 닦는 삶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다. 여기서 작가는 이야기를 전개 하는데 있어서 재미와 내용 전개상의 필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환상성을 사용한다. 구운몽의 이야기 구조는 현실-꿈-현실 이렇게 세 부분으로 구성 된다. 전반적인 이야기는 중간부분인 성진이 꿈을 꾸면서 겪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꿈이라는 것 자체가 우리가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것을 이룰 수 있는 공간임과 동시에 작가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큰 제약 없이 적을 수 있는 공간이기에 환상성을 바탕으로 한 글을 쓰기에 구운몽의 삼단구조는 매우 적합한 이야기 구조이다. 작가는 불교적인 삶의 강조를 위하여 여러 가지 세속적 삶의 허무함과 불완전성을 말한다.
처음에 양생이 들어갈 때는 춘삼월이어서 화초가 만발하였는데 나올 때에는 국화가 만발하였기에 이상하게 여겨 행인에게 물으니 추팔월이었다. 어찌 도사와 하룻밤 잔 것이 이토록 오래인가, 헛된 것이 세상이로다. 양생이 나귀를 재촉하여 몰아 진어사 집을 찾아오니 양류는 간 데 없고 집이 다 쑥밭이 되어 있었다. "성진아, 인간 세상의 재미가 어떠하더냐?" 성진이 머리를 땅에 두드리며 눈물을 흘려 말하였다."이제야 깨달았습니다. 성진이 함부로 굴어 도심(道心)이 바르지 못하니 마땅히 괴로운 세계에 있어 길이 앙화(殃禍)를 받을 것을 사부께서 한 꿈을 불러 일으켜 성진의 마음을 깨닫게 하시니, 사부의 은덕은 천만 년이라도 갚지 못하겠습니다."대사가 말하였다. "네 흥을 띠어 갔다가 흥이 다하여 왔으니 내가 무슨 간섭하겠느냐? 또 네가 세상과 꿈을 다르게 아니, 네 꿈을 오히려 깨지 못하였구나." 김만중, James.S.Gale 옮김, 『The Cloud Dream of the Nine』, 원더e북, 2002.
이 부분은 세속적인 삶의 허무함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작가는 세속적인 인간의 삶을 한낱 꿈으로 치부한다. 그래서 마지막에 성진이 자신이 지은 죄가 많아 인간세상으로 윤회한다고 했을 때 노스승은 성진이 아직 인간세상이 곧 꿈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였다고 꾸짖는다.
양생이 눈물을 씻고 앉았는데 도사가 갑자기 벽 위의 거문고를 가리켜 말하였다."너는 저것을 하느냐?"생이 대답하여 말하였다. "소자가 좋아하지만 선생을 만나지 못하여 배우지는 못하였습니다." 도사가 동자를 시켜 거문고를 내려와 세상에 전해지지 않은 네 곡조를 가르치니, 그 소리는 청아하고 맑고 또렷하여 인간 세상에서 듣지 못하던 소리였다. 도사가 생에게 타라고 하자, 양생이 도사의 곡조를 본받아 타니 도사가 기특히 여겨 옥퉁소 한 곡조를 불며 생을 가르치니 생이 또 능히 따라하였다. 도사가 크게 기뻐하여 말하였다."이제 한 거문고와 한 퉁소를 네게 주니 잃어 버리지 말아라. 이후에 쓸 때가 있을 것이다." 생이 감사히 절을 하고 말하였다. "소생이 선생을 만나기도 부친의 인도하심이요, 또 선생은 부친의 친구이시니 어찌 부친과 다르겠습니까? 바라건데 선생을 모셔 제자가 되고 싶습니다." 도사가 웃으며 말하였다."인간의 공명이 너를 따르니 네 아무리 하여도 피하지 못할 것이다. 어찌 나와 같은 노부(老夫)를 쫓아 속절없이 늙겠느냐? 말년에 네 돌아갈 곳이 있으니 우리와 상대할 사람은 아니다." 김만중, James.S.Gale 옮김, 『The Cloud Dream of the Nine』, 원더e북, 2002.
글의 주제를 나타내는 부분 말고도 고전소설에서 부족한 개연성을 얻기 위하여 환상성을 사용하는 부분도 있다. 양소유가 정사도의 딸인 정경패를 만나는 장면인데 여기서 양소유는 정경패를 유혹하기 위한 악기를 일순간에 도사를 통해 배우게 된다. 배우지도 않은 악기를 제대로 다룰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배운다 하여도 이렇게 일순간에 높은 경지에 이르기가 힘든 것인데 도사를 통하여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한다.
4. 결론
이상 여러 작품에서 보았듯이 많은 문학 장르에서 환상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환상성을 가진 문학을 환타지 문학이라고 정의하기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환상성이라는 부분이 개연성을 조금만 확대 해석하더라도 모든 문학은 Fantasy 문학이라는 결론을 도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 Fantasy 문학이라는 용어와 환상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즉 Fantasy와 환상성은 같은 의미지만 Fantasy 문학과 환상문학은 서로 다른 개념이라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환상성의 요소는 거의 모든 문학의 전반에 존재하는 것이고 넓은 범주로 환상성은 거의 모든 문학 양식과 장르, 내용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J.F. 비얼레인, 현준만 옮김, 『세계의 유사신화』, 세종서적, 2000.
김선자,『중국신화 이야기』, 아카넷, 2004.
김만중, James.S.Gale 옮김, 『The Cloud Dream of the Nine』, 원더e북, 2002.
김용, 『영웅문』, 고려원, 1986.로즈메리 잭슨,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옮김, 『환상성 : 전복의 문학 (Fantasy :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문학동네, 2001.
김욱동,『문학을 위한 변명 (문학은 왜 필요한가)』, 문예출판사, 2002.
박철화,『우리 문학에 대한 질문 (한국문학의 갱신과 트임의 가능성에 대한 순정하고 열정적인 물음)』, 생각의 나무, 2002.
방민호 엮음, 『한국문학의 환과 몽(근대편)』, 향연, 2004.
방민호 엮음, 『 한국문학의 환과 몽(동시대편)』, 향연, 2004.
앤터니 버제스, 『뮤즈』, 도솔, 1993.
이기영, 「쥐이야기」, 『민촌 民村』, 건설출판사, 1927.
이영도, 『오버 더 네뷸러』, 황금가지, 2001.
이윤기, 『그리스로마 신화』, 웅진닷컴, 2000.
최서해, 「기아와 살육」, 『조선문단』, 1925. 6.
캐서린 윰, 한창엽 옮김,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네이버 지식인 검색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143565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1.0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