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예방을 위한 식습관과 비만도 측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비만의 정의와 비만의 종류
2. 신장과 체격에 대한 남녀 체중의 기준표

II 본론
1. 비만도 측정(신체 구성 측정)
2. 여러 종류의 방법으로 비만도 측정
3.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습관

III 결론
1. 발췌 자료 및 느낀점

본문내용

데 각 동물성 단백질마다 아미노산의 결합배열이 달라 사람의 음식으로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 육류는 농축된 단백질이어서 소화효소를 많이 써야 하고 소화시간이 많이 걸려 위장계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며, 신진대사의 최종산물이 질소화합물이기 때문에 이들을 처리하기 위해 간과 신장에도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또 육류를 먹을 때 불가피하게 포화지방인 동물성 지방을 함께 섭취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육류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노화가 촉진되고 각종 성인병의 발생이 훨씬 많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식물성 단백질은 농축돼 있지 않아 소화하기 쉬우며, 결합된 아미노산의 수가 적어 우리 몸에 맞게 단백질의 합성을 쉽게 해준다. 식물성 단백질인 콩단백질이 질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모두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셋째, 흰 쌀밥보다는 현미나 잡곡밥을 주로 먹자.
옛날 쌀이 귀했던 시절에는 부드럽고 먹기 좋은 흰 쌀밥을 배불리 먹는 것이 소원이었다. 그러나 흰 쌀밥은 소화가 너무 빨라 혈당을 급격하게 상승시킨다.그러면 췌장은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인슐린을 분비해야 하고, 세포들도 갑자기 높아진 혈당을 처리하기 위해 긴급히 많은 일을 강도높게 해야 한다. 이것은 결국 췌장세포를 비롯해 모든 장기와 조직의 세포에 과중한 부담을 준다. 설탕을 많이 먹으면 해로운 이유와 비슷한 이치다.
현미나 잡곡밥은 서서히 소화되기 때문에 혈당도 서서히 증가해 세포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오랫동안 씹어야 하기 때문에 잇몸을 튼튼하게 해준다. 40세 이상된 사람들의 거의 대부분이 치주질환으로 고통을 받는 이유의 하나로 저작(씹는 행위)을 적게 하는 것을 들고 있다.
현미나 잡곡밥은 섬유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을 줄이고 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며 변비를 막는다. 이밖에도 단백질과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같은 양이라도 흰 쌀밥보다 열량이 훨씬 낮다. 따라서 현미나 각종 잡곡밥을 오래 잘 씹어 먹도록 하자.
넷째, 지방의 섭취를 줄이자.
우리 몸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산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방산 중에는 필수 지방산이 있어 지방의 섭취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과다한 지방은 건강에 대단히 해롭다. 원래 우리 음식은 다른 나라 음식에 비해 지방질이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동물성 지방은 물론 식물성 지방도 음식맛을 좋게 해주기 때문에 삼겹살 등심 차돌박이,그리고 튀긴 음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식물성 지방과 같은 불포화 지방은 항상 안전하다는 생각도 옳지 않다. 식물성 지방도 가공하거나 가열하면 변형되어 해로운 지방이 될 수 있으며, 조리한 후 오래 두면 지방 자체가 산화하는 산패현상이 일어난다. 이제 우리는 모든 성인병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지방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다섯째, 싱겁게 먹자.
우리의 식사는 밥과 반찬으로 구성돼 있다.반찬의 목적은 밥을 먹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가난했을 때에는 반찬을 많이 만들 수 없어 짜게 했고, 심하면 소금 국물만으로 밥을 먹기도 했다. 우리 음식에는 김치나 젓갈류처럼 발효식품이 많아 그 어느 나라 사람들보다 소금을 섭취할 기회가 많다. 우리 몸에 필요한 나트륨 양은 일반 식품을 통해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따로 소금을 섭취할 필요가 없다. 음식을 조리할 때 소금을 넣으면 전부 필요이상의 소금이 되는 것이다.
생리학적으로 하루에 필요한 소금의 양은 3∼5g이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20g 안팎의 소금을 섭취함으로써 4∼6배나 많은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 과다한 소금의 섭취는 고혈압 위암 그리고 뇌출혈의 원인이 되며, 신장에 부담을 준다.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위암발생률이 가장 높고 뇌출혈의 발생률도 대단히 높다는 사실은 우리의 과다한 소금 섭취가 원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여섯째, 채소와 과일을 많이 섭취하자.
채소와 과일은 각종 비타민과 섬유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식물성 단백질 및 화학물질, 그리고 식물성 호르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식물의 종류와 다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식물성 화학물질 속에는 항산화물질, 항암물질, 항돌연변이성물질들이 들어 있다. 따라서 암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과 노화 방지에 큰 도움을 준다.
과일과 채소는 다양하게 여러 종류를 고르게 먹는 것이 좋다. 몸에 좋다고 해서 양파만을, 버섯만을, 마늘만을 골라 편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채소마다 각각 다른 종류의 식물성 화학물질들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III 결론
1. 발췌 자료
트레이닝과 컨디셔닝 < 태 근 도 서 출 판 > 이 병 근 저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 < 대한 미디어 > JACK H WILLMORE, DAVID L COSTILL
상명대학교 사회체육학부 건광관리학과 자료
비만탈출 놀라운 밥상 < 동아일보사 펴냄 >
운동처방과 비만 < 청주대학교 출판 >
http://blog.naver.com/inthesf.do?Redirect=Log&logNo=20005772043
http://user.chollian.net/~yca1425/nutr/n07.htm
www.ACSM.org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65380
협조인 :
2. 느 낀 점
이번 레포트를 작성 하면서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지하게 계산도 해보고 측정도 해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쉽지않고 여건도 따라주지 않아서 힘든것도 많았지만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여러 서적들의 정보와 수업의 필요성 그리고 여러 기관을 다니면서 알게 된 자료들이 참으로 많은 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도표를 그려 비교대상으로 한명을 더추가 할 생각도 했었지만 한명도 저에겐 아직은 실력이 없어서 인지 벅차 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레포트의 완성도는 떨어지지만 그래도 얻은게 많은 과제물이었습니다.
올바른 식사와 비만의 대처 그리고 측정 마지막으로 처방 건강관리 학과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들을 이번 과제물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해본것이 무엇보다 즐거웠고 저희 어머니에게 협조를 하여 대상자를 정한것 역시 실질적인 체험되어서 인지 다음엔 더잘할수 있는 자신감 마저 생겼습니다.
읽어주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1.14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