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건강 다이어트와 비만관리 - 연령별 비만관리 - 소아청소년 비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소아, 청소년 비만의 진단

●소아, 청소년 비만의 유병률

●소아, 청소년 비만 중요성과 원인

●소아, 청소년 비만 관리와 유의사항

●평가하기

●정리하기

본문내용

해서는 안 된다
②소아 및 청소년 비만 치료 시 가족의 관심과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③비만한 어린이는 심폐지구력을 비롯한 체력이 떨어져 있기 쉬우므로 높은 강도의 운동으로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강도를 낮추어야 한다
④소아 및 청소년 비만 치료 시 무조건 체중 감량을 시키는 것이 우선적인 목표가 아니라 나이, 성별과 비만 정도에 따라 치료 목표가 다르다
●정리하기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을 진단할 때 체질량수와 표준 체중표를 이용한 비만도 측정을 많이 사용한다
-체질량지수는 성인처럼 절대수치로 진단하는게 아니라 소아 및 청소년의 신체발육 표준치를 이용하여 같은 연령, 성별과 비교하여 백분위수를 토대로 비만을 진단한다
-과거와 비교하여 모든 연령에 걸쳐 소아, 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남녀 모두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원인으로는 패스트푸드 섭취, 놀이공간의 부족, 텔레비전 시청시간 증가 등 주위환경과 생활 습관이 살이 찌기 쉽게 변했기 때문이다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이 중요한 이유는 비만에 이환될 경우 열등감, 우울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 심인성의 정신적 장애를 받기가 쉽고 고혈압, 동맥경화증, 당뇨병, 고지혈증과 지방간 등과 같은 성인병이 조기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골관절질환, 호흡장애, 수면 장애 등 여러 질환이 이환되기도 쉽다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의 치료는 나이, 비만 정도와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치료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하게 치료를 해야 한다. 2~7세 사이의 소아일 경우 BMI가 85~94 백분위수에 해당하면 체중 유지를 목표로, 95백분위수를 넘을 경우 합병증이 있으면 체중 감량, 없으면 체중 유지를 목표로 한다. 또 7세 이상일 경우 BMI가 85~94 백분위수에 해당하고 합병증이 없으면 체중 유지를, 합병증이 있으면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해야 하고, 95백분위수를 넘을 경우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한다
-소아 및 청소년 시기는 신체발육과 성장을 하는 시기이므로 비만 치료를 할 때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심하게 열량을 제한하거나 무리한 운동을 해서는 안 된다
-단순히 식사제한이나 운동만으로는 일시적인 효과 밖에 얻을 수 없고, 체중을 유지하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부적당한 식습관과 생활양식을 바로 잡음으로써 행동수정을 하고 주위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소아 및 청소년 비만 치료 시 부모의 영향이 중요하므로 가족의 관심과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 가격13,8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