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계몽사조의 정의
(1)역사적인 의미
(2)계몽사조의 사상적 특징
(3)계몽사조와 교육
(4) 계몽사조기의 각국의 교육
(5)계몽사조기의 교육사상가
(1)역사적인 의미
(2)계몽사조의 사상적 특징
(3)계몽사조와 교육
(4) 계몽사조기의 각국의 교육
(5)계몽사조기의 교육사상가
본문내용
조화로운 인간의 생활을 이루어나가는 데 역점을 둔 것이었다. 루소의『에밀』은 18세기에 발간된 교육에 관한 저서 중 가장 중요하며, 그것이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끼친 영향은 인류 역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중요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루소의 교육사상은 당시에는 물론 18세기 이후 바제도, 칸트, 페스탈로치, 프뢰벨, 톨스토이, 듀이, 엘렌 케이 등을 비롯한 많은 사상가들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교육사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
④바제도(p145~146) : -독일의 계몽사상가이자 교육 개혁가
-종파빈부계층의 차별 없이 박애정신으로 모든 아동을 사랑하고 가 르치기를 주장하는 범애주의교육을 이끈 대표자로서, 1771년에 ‘범애학교’를 설립하고 그의 교육계획을 실천
-교육목적은 아동으로 하여금 공익(公益)에 봉사하는 인간애와 애국 정신을 길러 행복한 시민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
-교육방법으로는 신체의 단련, 훈육,교수의 세가지 영역에 중점
-교육내용은 인간의 삶에 기초가 되는 가치 있는 지식을 모두 망라 하여 가르치도록 함. 또한 교육내용을 발달 단계에 따라 아동기소 년기청년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마련.
④바제도(p145~146) : -독일의 계몽사상가이자 교육 개혁가
-종파빈부계층의 차별 없이 박애정신으로 모든 아동을 사랑하고 가 르치기를 주장하는 범애주의교육을 이끈 대표자로서, 1771년에 ‘범애학교’를 설립하고 그의 교육계획을 실천
-교육목적은 아동으로 하여금 공익(公益)에 봉사하는 인간애와 애국 정신을 길러 행복한 시민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
-교육방법으로는 신체의 단련, 훈육,교수의 세가지 영역에 중점
-교육내용은 인간의 삶에 기초가 되는 가치 있는 지식을 모두 망라 하여 가르치도록 함. 또한 교육내용을 발달 단계에 따라 아동기소 년기청년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마련.
추천자료
서양교육사 또는 교육의 역사와 철학 요점정리 입니다.
서양교육사 연구 - 헬레니즘시대의 교육
서양교육-고대사회, 중세사회, 르네상스 시대, 현대 교육
교육철학 中 서양교육사 및 21세기 교육
19세기 서양의 교육사상(교육사조)과 사상가들
서양윤리학의 전통과 도덕교육, 서양윤리사상의 형성과 핵심요소, 근대 및 서양윤리학의 흐름...
한국전통유아교육과 서양교육의 비교
유아교과교육의 역사) 서양의 교과교육과 교수법과 동양의 교수학습
전태련_교육학_요약집 - 교육개념 정의의 의의, 서양의 두가지 교육관 주형관과 성장관
[서양교육사] 초기인류, 메스포타미아의 교육
로크(Locke)의 교육사상 [서양교육사] - 로크의 교육관, 형식도야설
서양의 전통적인 철학사상 - 관념론(이상주의)의 교육, 실재론(현실주의)의 교육, 프로그머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