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이 어떤 행위에 관한 찬반양론에 대해서 도덕적 근거를 제시하거나 또는 어떤 도덕 판단에 관한 수용과 거부에 대해서 정당화하려고 할 대에 수반되는 논리적 규칙을 명백히 하는 것이다. 마치 과학철학이 과학적 방법의 근저에 있는 논리적 구조를 밝히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메타윤리학도 도덕적 신념이 어떻게 참 또는 거짓으로 확증될 수 있으며, 또 어떠한 근거에서 참 또는 거짓이 되는지를 안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를 밝히려고 한다. 요컨대 메타윤리학자들은 도덕적 추리의 논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덕 판단이 참 또는 거짓으로 확증될 수 있는 방법 또는 그러한 방법이 도대체 가능한가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메타윤리학과 규범윤리학의 논리적 관계는 무엇일까? 한 마디로 말해서 메타윤리학은 규범윤리학의 전제를 탐구한다고 할 수 있다. 도덕 판단에서 ‘안다’, ‘참인’, ‘타당한’, ‘정당화될 수 있는’과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메타윤리학의 문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단어들이 규범윤리학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분명하고 주의 깊게 분석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용어들을 분석하는 것이 바로 메타윤리학의 과제다. 따라서 메타윤리학 또는 분석윤리학은 규범윤리학에 논리적으로 선행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메타윤리학의 문제는 규범윤리학의 완전한 발전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리학의 이러한 두 분야는 20세기 중반까지 구분되지 않았으며 이전의 도덕철학자들은 이 두 분야의 문제를 함께 탐구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추천자료
초등 보건교육의 형성과 전개
교육사상(진보주의,본질주의,향존주의,재건주의,실존주의,분석철학)
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이해
[율곡][이이][사상][철학]율곡 이이의 사상과 철학에 관한 심층 고찰(율곡 이이 생애와 저서 ...
[동양사상][서양사상][사상가]동양사상과 사상가 및 서양사상과 사상가 심층 분석(동양사회체...
서양의 유아교육사상
서양 중세사회의 사상과 교육
19세기 서양의 교육사상(교육사조)과 사상가들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교육사상
2007 개정교육과정 연구
플라톤의 생애와 사상(이데아론,동굴의비유,인간론,국가론,윤리학,교육론,신론),철학이란
[사회 윤리학 등장배경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