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크의 교육관
2. 형식도야설
2. 형식도야설
본문내용
이다.
형식도야이론과 Bruner의 지식의 구조 및 피터스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은 교과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형식 도야이론은 교과의 형식, 즉 마음의 일반적인 능력을 강조한 나머지 교과가 담고 있는 내용 그 자체의 의미를 소홀히 취급함으로써 교과에 들어 있는 객관적인 측면을 도외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는 교과의 객관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루소의 형식도야설과 구분된다. 또한 진보주의 학자인 존 듀이는 형식도야설을 비판하였다. 아동의 발달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형식도야설에 의하면 학습의 순서가 역전되기 때문에 점진적 발달의 원리에 위배된다. 이는 아동의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며, 진정한 학습효과를 거둘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형식도야이론과 Bruner의 지식의 구조 및 피터스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은 교과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형식 도야이론은 교과의 형식, 즉 마음의 일반적인 능력을 강조한 나머지 교과가 담고 있는 내용 그 자체의 의미를 소홀히 취급함으로써 교과에 들어 있는 객관적인 측면을 도외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는 교과의 객관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루소의 형식도야설과 구분된다. 또한 진보주의 학자인 존 듀이는 형식도야설을 비판하였다. 아동의 발달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형식도야설에 의하면 학습의 순서가 역전되기 때문에 점진적 발달의 원리에 위배된다. 이는 아동의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며, 진정한 학습효과를 거둘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