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정한 교육 컨텐츠
2. 에듀넷 구조
3. 내용분석
1) 교사채널
2) 학생채널
4. 정리
2. 에듀넷 구조
3. 내용분석
1) 교사채널
2) 학생채널
4. 정리
본문내용
하단에는 선생님 모양 이모티콘이 어떤 활동을 하라는 지시를 해주기 때문에, 이 컨텐츠를 처음 이용하는 학생일지라도 사용법을 몰라서 헤매는 경우 없이 수월하게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있다.
3. 익히기
: 알아보기 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로 쉬운 문제를 풀어보면서 그 개념을 좀 더 명확히 한다.
4. 정리하기
: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에 대해서 중요 개념을 정리하고 반복하여 학습자들이 이해를 확실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평가하기
: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답을 학습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많은 수의 문제가 제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를 푼 후 정답을 확인하게 되면 정답유무와 풀이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문제를 풀지 않았을 경우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어 학습자는 문제를 반드시 풀어야 한다.
6. 더 알아보기
: 조금 더 심화된 문제가 제시되어 있다
7. 놀이하기
: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이 제시되어 있다.
몇 가지 항목별로 나누어 이 컨텐츠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해보았다.
항목
평가의 중점
척도평가(0-5)
적절성
학습대상과 학습목표에 맞는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4
편리성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쉬운지
5
조직화
내용 구성 및 전개에 균형이 있는지
5
조화의 정도
전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요소가 잘 조화되어 있는지
5
학습동기 유발
학습자의 호기심, 흥미, 동기를 유발시키는 정도
3
학습자료 분량
학습 자료의 분량이 적절한지
4
인터페이스
사용하기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지
5
보충, 심화학습
보충, 심화학습이 가능한지
3
도움말기능
컨텐츠 이용에 대한 도움말이 제공되는지
0
학습평가방법
학습 평가에 쓰인 방법이 올바른 평가 방법인지
3
이 컨텐츠의 경우 이용의 편리함이나 인터페이스, 조직화, 조화의 정도에서는 뛰어나다고 평가되어진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음 이용하는 학습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선생님 이모티콘을 통해 다음에 수행해야 할 행동을 지시해주고, 왼쪽 프레임에는 메뉴가, 오른쪽 프레임에는 실제적인 학습 내용이 제시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학습동기 유발 측면에서는 미약한 면이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제시한 초등학교 3학년 수학의 경우, 천의 크기를 알아본다는 학습 목표가 있다면, 실생활에서 이용하는 화폐를 이용해서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전략을 썼다면 학습자가 훨씬 학습내용을 받아들이기 쉬웠을 것이라고 본다. 보충, 심화학습에서도 내용의 양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제일 아쉬운 점은 도움말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이용 방법이 쉬워서 도움말이 실질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이진 않지만 컨텐츠 이용에 있어서 도움말은 꼭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점이 많이 아쉬운 부분이다. 학습 자료의 분량은 약간 적다는 느낌이 있고, 학습평가에 있어서는, 다시 학습을 하게 되어 다시 평가를 받게 되더라도 같은 문제가 제공되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4. 정리
에듀넷을 주제로 하여 교육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해보았다. 에듀넷에는 생각보다 방대한 자료가 있어 전체적인 내용을 모두 분석할 수는 없었다.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가 있겠지만, 에듀넷이 다른 사이트에 비해 좋은 점은 모든 컨텐츠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에듀넷에는 특히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는 대체적으로 튼튼한 구성을 기반으로 학습 내용이 짜여져 있는데, 이러한 학습자료를 잘 이용하기만 한다면 다른 유료의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 보다 훨씬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3. 익히기
: 알아보기 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로 쉬운 문제를 풀어보면서 그 개념을 좀 더 명확히 한다.
4. 정리하기
: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에 대해서 중요 개념을 정리하고 반복하여 학습자들이 이해를 확실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평가하기
: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답을 학습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많은 수의 문제가 제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를 푼 후 정답을 확인하게 되면 정답유무와 풀이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문제를 풀지 않았을 경우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어 학습자는 문제를 반드시 풀어야 한다.
6. 더 알아보기
: 조금 더 심화된 문제가 제시되어 있다
7. 놀이하기
: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이 제시되어 있다.
몇 가지 항목별로 나누어 이 컨텐츠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해보았다.
항목
평가의 중점
척도평가(0-5)
적절성
학습대상과 학습목표에 맞는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4
편리성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쉬운지
5
조직화
내용 구성 및 전개에 균형이 있는지
5
조화의 정도
전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요소가 잘 조화되어 있는지
5
학습동기 유발
학습자의 호기심, 흥미, 동기를 유발시키는 정도
3
학습자료 분량
학습 자료의 분량이 적절한지
4
인터페이스
사용하기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지
5
보충, 심화학습
보충, 심화학습이 가능한지
3
도움말기능
컨텐츠 이용에 대한 도움말이 제공되는지
0
학습평가방법
학습 평가에 쓰인 방법이 올바른 평가 방법인지
3
이 컨텐츠의 경우 이용의 편리함이나 인터페이스, 조직화, 조화의 정도에서는 뛰어나다고 평가되어진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음 이용하는 학습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선생님 이모티콘을 통해 다음에 수행해야 할 행동을 지시해주고, 왼쪽 프레임에는 메뉴가, 오른쪽 프레임에는 실제적인 학습 내용이 제시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학습동기 유발 측면에서는 미약한 면이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제시한 초등학교 3학년 수학의 경우, 천의 크기를 알아본다는 학습 목표가 있다면, 실생활에서 이용하는 화폐를 이용해서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전략을 썼다면 학습자가 훨씬 학습내용을 받아들이기 쉬웠을 것이라고 본다. 보충, 심화학습에서도 내용의 양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제일 아쉬운 점은 도움말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이용 방법이 쉬워서 도움말이 실질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이진 않지만 컨텐츠 이용에 있어서 도움말은 꼭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점이 많이 아쉬운 부분이다. 학습 자료의 분량은 약간 적다는 느낌이 있고, 학습평가에 있어서는, 다시 학습을 하게 되어 다시 평가를 받게 되더라도 같은 문제가 제공되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4. 정리
에듀넷을 주제로 하여 교육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해보았다. 에듀넷에는 생각보다 방대한 자료가 있어 전체적인 내용을 모두 분석할 수는 없었다.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가 있겠지만, 에듀넷이 다른 사이트에 비해 좋은 점은 모든 컨텐츠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에듀넷에는 특히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는 대체적으로 튼튼한 구성을 기반으로 학습 내용이 짜여져 있는데, 이러한 학습자료를 잘 이용하기만 한다면 다른 유료의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 보다 훨씬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웹기반의 원격교육시스템을 이용한 혈액투석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웹기반교육
웹기반 한국어 교육현황과 교재개발의 쟁점
수학에서 웹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효과적인가 아닌가
[국어교육][국어]국어과(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어교육)의 내...
국어과 원고지사용법, 수학과 도형영역 수업자료(교육자료), 과학과 지구영역, 사회과 웹기반...
미술과교육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술과교육 감상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술과교육 미...
[도덕교육][도덕교육자료]도덕과 이야기교육자료(수업자료), 도덕과 통일교육자료(수업자료),...
실과과 멀티미디어교육자료(교수자료), 영어과 멀티미디어교육자료(교수자료), 기술가정과 멀...
영어과교육 지도자료(교수자료)의 유형, 영어과교육 지도자료(교수자료)의 필요성, 영어과교...
경제활동습관 학습자료(수업자료), 약물오남용예방 학습자료(수업자료), 특별활동 학습자료(...
문제중심학습(PBL)의 개념과 특성, 문제중심학습(PBL)의 단계, 문제중심학습(PBL)의 시사점, ...
[문학교육][문학감상]문학교육의 성격, 문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문학교육의 지향점, 문학감...
(웹기반) 원격교육효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