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반응
암석의 생성과정
화성암의 유무
사암
반응이 없다.
하천 중류에서 모래와 같은 퇴적물이 쌓여서 이루어진 암석
X
규암
반응이 없다.
사암이 변성된 암석
X
석회암
반응이 생긴다.
석회물질이 오랜 시간 퇴적되어 이루어진 암석
X
대리암
반응이 생긴다.
석회암이 변성된 암석
X
화강암
반응이 없다.
화성암의 종류. 마그마가 땅속에서 서서히 식은 암석
O
편마암
반응이 없다.
화강암이 지구내부의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서 변성된 암석
O
※화성암의 생성과 특징
화산 활동에서 생긴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암석이다.
-분출: 화성암(현무암)
-지하: 심성암(화강암)
화성암은 다른 암석에 비하여 성분이 일정하고 고르며, 성분이 쉽게 변하는 일이 없다.
화성암은 지층을 이루지 않는다.
화성암에는 화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변성암의 분류
변성암은 원암과 변성 작용이 일어날 때 온도와 압력의 정도에 따른 구조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같은 종류의 암석이라도 변성 정도가 다르면 서로 다른 변성암이 만들어지므로 변성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셰일 같은 점토질 암석이 접촉 변성 작용을 받으면 구조가 치밀하고 견고한 혼펠스가 되지만, 광역 변성 작용을 받으면 변성 정도에 따라 슬레이트, 천매암, 편암, 편마암이 된다.
O답사에서 확인되어질 것이라 예상되는 계획
색깔
무늬
암석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그 밖의 특징
사암
규암에 비해 밝은 편이다.
사암과 규암은 모두 줄무늬가 없다.
사암은 알갱이의 경계가 뚜렷하고 그 경계에 따라 깨진다.
못으로 긁으면 쉽게 긁힌다.
규암
사암에 비해 어두운 편이다.
규암은 알갱이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못으로 긁어도 잘 긁혀지지 않는다.
색깔
무늬
암석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그 밖의 특징
석회암
백색 또는 회색인데, 불순한 것은 암회색이나 흑색 등을 띤다.
석회암과 대리암 모두 줄무늬가 없다.
석회물질의 퇴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알갱이가 크지 않고 세밀하다.
공통점으로 묽은 염산과 같은 산에 반응한다.
대리암
색이 곱고 무르다. 그러나 약간 어두운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변성작용으로 알갱이의 크기가 석회암보다 크다.
색깔
무늬
암석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그 밖의 특징
화강암
단단하고 알갱이의 색깔이 다양하다. 주로 흰바탕에 검은 알갱이가 많다.
줄무늬가 보이지 않으며 지층을 이루지 않아서 단단하다.
알갱이의 크기는 크지 않으며 알갱이의 모양이 둥글지도 않다.
화성암의 종류. 마그마가 땅속에서 서서히 식은 암석
편마암
어두운 색과 밝은 색이 번갈아 가면서 있다.
검은색 줄무늬가 나타난다.
알갱이의 크기가 화강암보다 크다. 그리고 작은 입자들이 설탕모양으로 뭉쳐져 있는 듯한 모양이다.
편마암은 밝은 색과 짙은색이 섞여 있는데 이것을 편마 구조라한다.
※ 편마암과 퇴적암의 비교
일반적으로 퇴적암은 층리가 나타난다. 따라서 학생들은 줄무늬가 나타나면 대체로 퇴적암이라 인식한다. 편마암도 줄무늬가 나타나기 때문에 퇴적암으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퇴적암의 줄무늬는 단속적(중간중간이 끊어짐)이기 때문에 구분 된다.
암석의 생성과정
화성암의 유무
사암
반응이 없다.
하천 중류에서 모래와 같은 퇴적물이 쌓여서 이루어진 암석
X
규암
반응이 없다.
사암이 변성된 암석
X
석회암
반응이 생긴다.
석회물질이 오랜 시간 퇴적되어 이루어진 암석
X
대리암
반응이 생긴다.
석회암이 변성된 암석
X
화강암
반응이 없다.
화성암의 종류. 마그마가 땅속에서 서서히 식은 암석
O
편마암
반응이 없다.
화강암이 지구내부의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서 변성된 암석
O
※화성암의 생성과 특징
화산 활동에서 생긴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암석이다.
-분출: 화성암(현무암)
-지하: 심성암(화강암)
화성암은 다른 암석에 비하여 성분이 일정하고 고르며, 성분이 쉽게 변하는 일이 없다.
화성암은 지층을 이루지 않는다.
화성암에는 화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변성암의 분류
변성암은 원암과 변성 작용이 일어날 때 온도와 압력의 정도에 따른 구조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같은 종류의 암석이라도 변성 정도가 다르면 서로 다른 변성암이 만들어지므로 변성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셰일 같은 점토질 암석이 접촉 변성 작용을 받으면 구조가 치밀하고 견고한 혼펠스가 되지만, 광역 변성 작용을 받으면 변성 정도에 따라 슬레이트, 천매암, 편암, 편마암이 된다.
O답사에서 확인되어질 것이라 예상되는 계획
색깔
무늬
암석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그 밖의 특징
사암
규암에 비해 밝은 편이다.
사암과 규암은 모두 줄무늬가 없다.
사암은 알갱이의 경계가 뚜렷하고 그 경계에 따라 깨진다.
못으로 긁으면 쉽게 긁힌다.
규암
사암에 비해 어두운 편이다.
규암은 알갱이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못으로 긁어도 잘 긁혀지지 않는다.
색깔
무늬
암석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그 밖의 특징
석회암
백색 또는 회색인데, 불순한 것은 암회색이나 흑색 등을 띤다.
석회암과 대리암 모두 줄무늬가 없다.
석회물질의 퇴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알갱이가 크지 않고 세밀하다.
공통점으로 묽은 염산과 같은 산에 반응한다.
대리암
색이 곱고 무르다. 그러나 약간 어두운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변성작용으로 알갱이의 크기가 석회암보다 크다.
색깔
무늬
암석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그 밖의 특징
화강암
단단하고 알갱이의 색깔이 다양하다. 주로 흰바탕에 검은 알갱이가 많다.
줄무늬가 보이지 않으며 지층을 이루지 않아서 단단하다.
알갱이의 크기는 크지 않으며 알갱이의 모양이 둥글지도 않다.
화성암의 종류. 마그마가 땅속에서 서서히 식은 암석
편마암
어두운 색과 밝은 색이 번갈아 가면서 있다.
검은색 줄무늬가 나타난다.
알갱이의 크기가 화강암보다 크다. 그리고 작은 입자들이 설탕모양으로 뭉쳐져 있는 듯한 모양이다.
편마암은 밝은 색과 짙은색이 섞여 있는데 이것을 편마 구조라한다.
※ 편마암과 퇴적암의 비교
일반적으로 퇴적암은 층리가 나타난다. 따라서 학생들은 줄무늬가 나타나면 대체로 퇴적암이라 인식한다. 편마암도 줄무늬가 나타나기 때문에 퇴적암으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퇴적암의 줄무늬는 단속적(중간중간이 끊어짐)이기 때문에 구분 된다.
추천자료
'교육측정과 교육평가'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방향 고찰
[교육평가론]평가인정모형의 이해
[교육평가론]평가인정모형의 이해
교육평가에 대한 자신의 견해
일제고사의 시행에 대한 찬.반의견과 교육관 & 교육평가방법의 이해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정찬기오) 중간고사 레포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정찬기오) 기말고사 레포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주요 내용 정리
[유아교육평가]유아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관찰 방법(관찰법의 개념, 관찰의 종...
[단위학교][외국 단위학교 사례][단위학교의 개선 과제]단위학교의 교육과정, 단위학교의 교...
[교육평가] 교사평가에 관하여
(유아교육평가B형)유아교육현장에서 관찰을 사용할 경우 어떤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 논의
[유아교육평가 B형] 유아교육현장에서 관찰을 사용할 경우 어떤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