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성인식의 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성인식 사례
① 마사이 족
②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성인식
③ 아마존강 유역 티구나 족의 성인식
④ 뉴기니 카마노족들의 성인식
2) 두 가지 관점
① 보편적 가치관
② 상대주의 관점

3. 결론

본문내용

문화를 만들었지만, 보편적 가치를 기준으로 이를 배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글을 통해 필자가 강조하고자 함은 ‘문화’ 란 보편적 가치위에 상대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4. 후기
필자는 처음에는 다양한 세계의 성인식 문화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려 했었다.
그러던 중 아프리카 일대를 중심으로 일부 부족의 성인식문화를 접하게 되었는데, 너무나
큰 충격을 받았었다. 다음은 필자를 자극 시킨 모 신문기사의 일부 내용이다.
아프리카의 여성할례도 ‘문화’로 봐야 할까
유엔의 추정에 따르면 전 세계 1억3000만명의 여성들이 ‘할례’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 지금도 매년 200만명이 할례를 받아야 하는 위험에 노출돼 있다. 여성 할례는 1·2·3유형이 있는데, 제1유형은 클리토리스만 제거하는 것이고 제2유형은 클리토리스와 내음순을, 제3유형은 외음순까지 모두 제거한 후 배뇨와 생리를 위한 작은 구멍만 남기고 꿰매버리는 방식이다.
제3유형은 주로 소말리아와 수단 등지에서 행해지는데 할례 과정에서 매우 심각한 고통을 준다. 이런 할례를 당한 여성들은 남편과의 섹스에도 어려움을 겪으며 임신한 여성이 연필구멍만한 질 때문에 개봉수술을 하기도 한다.
이들은 ‘딸을 사랑하기 때문에’ 끼니를 거르는 한이 있어도 이런 할례를 받게 한다. 할례를 받아야 ‘순결해지는’ 이들의 전통 문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전통이라는 미명 하에 행해지고 있는 이런 무자비한 성적 폭력과 반인륜적 관습을 그냥 두어야 할까.
문화란 오랜 기간에 걸쳐 변동한다고 들었다. 하루 빨리 이런 보편적 가치기준에 어긋나는 문화는 없어졌으면 좋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0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