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민 - 탈식민, 신식민
#2. 제국주의의 종류
#3. 타자화 전략
#4. 지배담론과 저항담론
#5. 탈식민주의 독법
#2. 제국주의의 종류
#3. 타자화 전략
#4. 지배담론과 저항담론
#5. 탈식민주의 독법
본문내용
때문이다. 하지만, 탈식민주의 논의가 제 3세계가 아닌 서구에서 먼저 나왔다는 점에서 볼 때, 그들 스스로가 반성하는 탈식민주의 논의가 우리들을 동정하고 이해해주는 듯 하지만 결국 서구 내에서의 자체 비판 및 성찰에 불과하다는 것은, 그 속에서 동양은 여전히 배재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우리의 갈 길이 아직도 멀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이 책에서 저자는 탈식민주의는 강대국 혹은 지배권력의 본질을 조명하고 주권과 자율성을 지키는 데 꼭 필요한 담론이요, 해방, 독립,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미래 지향적 프로젝트라고 말한다. 이 책은 우리는 탈식민주의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며, 지금도 우리에게 깊숙이 침투해 있는 서양의 제국주의에 어떻게 대응해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을 하도록 해 준다.
추천자료
자기고장의 민속조사하기
국제문화교류의 바람직한 방향
[영화분석]포스트모더니즘과 블래이드러너
문화개방 - 대중매체에 의한 문화제국주의
[성매매특별법]성매매 여성의 노동, 인권 문제
한국 정치의 문제
정보통신 윤리
국제문화의 특성과 수용방안
친일인명사전에 대한 견해와 사례로 본 시사점
[민주시민교육][민주시민]민주시민교육의 개념, 민주시민교육의 목표, 민주시민교육의 방침, ...
역사와 인간 중간고사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전개 - 우리나라사회복지법의 형성과 발전 및 사회복...
[세계 역사] 21세기 길목에서 돌아보는 지구의 역사 - 1945년 이전의 세계(서양의 지리적 팽...
[책 요약] 젠더 불평등 (페미니즘 이론과 정책) - 주디스 로버 저 - 일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