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신현실주의
Ⅲ. 신자유주의
Ⅴ. 지구화에 대한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견해
Ⅱ. 신현실주의
Ⅲ. 신자유주의
Ⅴ. 지구화에 대한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견해
본문내용
은 모두 현상유지를 지향하는 합리주의 이론이다. 두 이론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국제정치이론을 합리주의와 성찰주의 또는 비판이론과 문제해결이론으로 분류할 때는 그 차이가 근소하다.
월츠는 체제구조를 강조하고 그것이 국가 행위에 주는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국제관계란 국가 내부를 들여다보는 일로는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신현실주의자들은 또 국제정치를 미시경제학적인 합리적 선택이나 도구적 사고로 환원시켜 살펴본다. 최근 신현실주의는 냉전의 종식을 설명하지 못하고 국제체제가 급격하게 변혁되는 현상을 제도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신현실주의는 문화, 전통, 정체성 요인이 갖는 중요성을 최소화한다. 이들 요인들은 소련 제국의 붕괴를 가져온 새로운 공동체 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변수들이다.
안보연구 중에서도 신현실주의는 정책분야에 커다란 공헌을 해왔다. 안보 연구 분야의 신현실주의는 공세현실주의와 수세현실주의로 나뉜다. 이 신현실주의자들은 세계가 여전히 경쟁적이면서 불안하다는 사실과 국제체제 구조가 힘에 의한 정치를 지배적인 정책 패러다임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확실히 수세현실주의자들은 공세현실주의자들보다 다소 온건한 입장을 보인다.
최근 몇 년사이에는 미국 외교정책이 인권, 환경, 사회정의보다는 거래를 늘리고 시장을 확대하는 데 집중해왔다. 이처럼 워싱턴을 지배하는 신자유주의 사고와 전략은 많은 강대국과 소규모 무역국가들로부터 꾸준하게 동의를 얻어왔다. 신자유주의의 한 갈래인 신자유제도주의는 협력, 제도, 레짐 문제에 관심의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다른 신자유주의 이론보다 학계나 정책 결정자 집단에 비교적 폭넓은 의제와 아이디어를 제공해준다. 신자유제도주의자들은 국제레짐과 국제제도가 국내정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하지만 신자유제도주의가 신현실주의와 많은 가정을 공유한다는 점이 국제정치의 의제를 더욱 협소하게 만드는 원인의 하나이다.
어떤 이론도 모든 국제정치 현상을 다루지는 못한다. 특정 이론이 세계현상을 완벽하게 그릴 수는 없다. 그래서 어떤 이론도 진실에 배타적 주장을 고집할 수 없다.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제도주의는 현상유지를 지향하는 의제만을 다룬다. 이 두 이론은 지배적인 신념 체계나 권력의 불평등한 배분 상태에 대한 질문을 던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제정치학에 관심을 갖고 계속 공부한다면 어떤 이론이든지 비판적으로 보아야 한다.
월츠는 체제구조를 강조하고 그것이 국가 행위에 주는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국제관계란 국가 내부를 들여다보는 일로는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신현실주의자들은 또 국제정치를 미시경제학적인 합리적 선택이나 도구적 사고로 환원시켜 살펴본다. 최근 신현실주의는 냉전의 종식을 설명하지 못하고 국제체제가 급격하게 변혁되는 현상을 제도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신현실주의는 문화, 전통, 정체성 요인이 갖는 중요성을 최소화한다. 이들 요인들은 소련 제국의 붕괴를 가져온 새로운 공동체 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변수들이다.
안보연구 중에서도 신현실주의는 정책분야에 커다란 공헌을 해왔다. 안보 연구 분야의 신현실주의는 공세현실주의와 수세현실주의로 나뉜다. 이 신현실주의자들은 세계가 여전히 경쟁적이면서 불안하다는 사실과 국제체제 구조가 힘에 의한 정치를 지배적인 정책 패러다임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확실히 수세현실주의자들은 공세현실주의자들보다 다소 온건한 입장을 보인다.
최근 몇 년사이에는 미국 외교정책이 인권, 환경, 사회정의보다는 거래를 늘리고 시장을 확대하는 데 집중해왔다. 이처럼 워싱턴을 지배하는 신자유주의 사고와 전략은 많은 강대국과 소규모 무역국가들로부터 꾸준하게 동의를 얻어왔다. 신자유주의의 한 갈래인 신자유제도주의는 협력, 제도, 레짐 문제에 관심의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다른 신자유주의 이론보다 학계나 정책 결정자 집단에 비교적 폭넓은 의제와 아이디어를 제공해준다. 신자유제도주의자들은 국제레짐과 국제제도가 국내정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하지만 신자유제도주의가 신현실주의와 많은 가정을 공유한다는 점이 국제정치의 의제를 더욱 협소하게 만드는 원인의 하나이다.
어떤 이론도 모든 국제정치 현상을 다루지는 못한다. 특정 이론이 세계현상을 완벽하게 그릴 수는 없다. 그래서 어떤 이론도 진실에 배타적 주장을 고집할 수 없다.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제도주의는 현상유지를 지향하는 의제만을 다룬다. 이 두 이론은 지배적인 신념 체계나 권력의 불평등한 배분 상태에 대한 질문을 던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제정치학에 관심을 갖고 계속 공부한다면 어떤 이론이든지 비판적으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