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9주차 실증주의와 현재주의
1절,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의 개괄적 이해
1. 실증주의(postivism)
2. 현재주의(presentism)
3. 실증주의와 역사주의
2절, 실증주의
1. 실증주의 역사관
2. 실증주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
3절. 현재주의 역사관
1. 현재주의 역사관
2. 현재주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
4.절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1.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에서 취할 만한 관점
2.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의 핵심적 차이
3. 실증주의와 역사주의의 견해차에서 본 역사가의 과제
1절,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의 개괄적 이해
1. 실증주의(postivism)
2. 현재주의(presentism)
3. 실증주의와 역사주의
2절, 실증주의
1. 실증주의 역사관
2. 실증주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
3절. 현재주의 역사관
1. 현재주의 역사관
2. 현재주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
4.절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1.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에서 취할 만한 관점
2. 실증주의와 현재주의의 핵심적 차이
3. 실증주의와 역사주의의 견해차에서 본 역사가의 과제
본문내용
것을 자연의 개발 및 이용에 적용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역사적 사실을 인식하고자 하는 자세를 뜻한다고 한다. 이러한 실증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역사가가 랑케이다. 그는 역사가의 임무는 과거를 평가하거나 동시대인들에게 교훈을 주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과거의 사건을 ‘본래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 이다. 또 랑케는 역사가의 임무는 “과거에 있었던 그대로의 사실을 묘사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펼쳤으며, 역사적 사실의 왜곡에 대한 반발하였다. 그리고 그는 역사적 사실은 자연계의 사물과 동일하다는 생각하였으며 이는 자연과학자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인식해야 하는 것처럼 역사학자도 역사적 사실 하나하나를 있었던 그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가가 역사를 멋대로 해석하는 것은 마치 인간이 자연을 개발한다면서 파괴하고 오염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여긴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런 실증주의 역사학이 올바른 해석인 것일까? 여기서 의문이 드는데 그 이유는 있는 그대로의 역사 서술이 가능한가에 대한 것이다. 먼 과거의 역사는 서술로서 전해지며 그것이 현재까지 오게 되면서 사실이 아닌 허구의 서술이 되었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역사를 서술한 역사가가 역사적 사실을 기록함에 있어서 한 치의 거짓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다.
실증주의 역사관 자체는 객관적인 사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해서 역사 사료 수집 및 이용에는 좋겠지만, 역사적 사실에만 그 가치를 부여하여 역사를 서술하는 역사가의 행동 및 사고의 행위에 대해서는 역사가 스스로 움직인다는 것을 간과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런 실증주의 역사학이 올바른 해석인 것일까? 여기서 의문이 드는데 그 이유는 있는 그대로의 역사 서술이 가능한가에 대한 것이다. 먼 과거의 역사는 서술로서 전해지며 그것이 현재까지 오게 되면서 사실이 아닌 허구의 서술이 되었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역사를 서술한 역사가가 역사적 사실을 기록함에 있어서 한 치의 거짓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다.
실증주의 역사관 자체는 객관적인 사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해서 역사 사료 수집 및 이용에는 좋겠지만, 역사적 사실에만 그 가치를 부여하여 역사를 서술하는 역사가의 행동 및 사고의 행위에 대해서는 역사가 스스로 움직인다는 것을 간과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실주의 표현주의 영화 자료
미술사(인상주의)와 드가...
자유주의 - 공동체 주의 논쟁과 그 정치적 성격
줄기세포의 현재, 미래 및 문제점 (심장내과)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가 현재에 미치는 영향
브라질 일본 이민사와 현재
리비스 주의의 논지
막스(K.Marx)와 베버(M.Weber)의 이론적 차이
[열린사회와21세기]현재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여러나라들이 열린사회로 가는 ...
it와경영정보과제물(앨런튜링 과 튜링머신)
해체 주의
영유아 발달이론 중 성숙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 상호작용주의 이론을 비교분석하고, 각 ...
npv 와 irr의 비교 분석
[가족이론] 구조기능주의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교환이론 갈등이론 가족발달이론 가족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