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커뮤니케이션사’를 위하여 : 연구방법론에 관한 성찰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논문의 목적, 새로운 역사학,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활성화 위한 방법론적 고려사항

본론 1. 새로운 역사학 이후의 커뮤니케이션사 쓰기
2. 새로운 역사학의 도전
3. 사료수집과 생산 : 범위와 종류의 확장
4. 사료비판 : 구성주의적 시각의 영향
5. 사료의 해석-중요성과 위험성
6. 글쓰기-분석가와 이야기꾼

결론 1.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사를 위해서
2. 맺음말 및 논문에 대한 비평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간 재단, 시간성이
각 시대 어떤 식으로 구현되었는지 구명하기 위함
연구대상에 고유한 체험된 시간을 점진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예측 불가능한 항수와 변수들을 식별해 내려함
‘객관주의적 비서사’를 대치
‘주관주의적 혹은 대화주의적 서사’
3. 서사 역사 ‘진실을 말하는 이야기’
- 통제 가능, 확인 가능, 반복 가능한 연구활동 통해 구축
- 연구 절차, 사료의 한계, 설득기법, 해석적 구성물을 통합
- 새로운 역사학은 서사와 글쓰기 방식을 모색하는 단계
결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사’를 위하여
-새로운 역사학이 국내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에 영향 미치지 못한점을 지적
연구의 확성화를 위해 새로운 역사학의 함의를 수용 필요 강조(방법론적 차원)
1. 새로운 역사학이 국내 커뮤니케이션사에 주는 함의
- 비공식사료, 시각자료, 구술자료 등을 광범위하면서도 체계적으로 활용 필요
- 개념, 통계범주, 비공식사료 등에 대해 좀더 면밀하고 자기성찰적인 비판 수행 필요
- 사료의 상징적 요소들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추구 동시 과잉 해석 위험 통제 필요
- 역사가와 독자 간 대화적 성격을 강조하는 새로운 실험과 대안적 시도 요청
2.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사를 위하여
- 보다 많은 학제적 접근 요구
- 새로운 역사학의 문제틀과 연구대상을 비판적으로 검토 필요
- 새로운 이론과 접근의 모색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맺음말 및 논문에 대한 비평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사 연구를 적극, 발전 시키기 위해 더 많은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며, 새로운 역사학이 보여준 문제틀과 연구대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 또한 의미 있을 것이라 주장하며 10년간 언론학계의 주요학술지에 실린 커뮤니케이션사 관련논문들의 방법론을 분석했다. 전통적인 패러다임 안에 머물러 있는 커뮤니케이션사의 다양한 발전가능성을 자극하려는데 기본의도를 엿볼 수 있었는데 랑케식 역사라는 전통적 패러다임에 대한 의도적인 반발을 공유하는 새로운 역사학에 대해 알려준다. 즉, 새로운 역사학이 국내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방법론에 구체적으로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검토하기 위함이다.
커뮤니케이션사의 지평을 확장하고 또 다양화하기 위해 매우 긴요한 과제는 상대적 폐쇄성을 극복하는 일이다.
참고문헌
곽차섭, 김기봉, 김영희, 김응종, 김태수, 노영택, 마동훈, 박천홍, 백승종, 서명직, 안병직, 유선영, 윤택림, 이경민, 이기훈, 이민호, 이상길, 임종수, 정진석, 조지형 등의 논문 및 서적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2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