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의 발견과 근대적 주체-염상섭의 <만세전>을 통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풍경은 어떻게 발견 되는가

2.만세전과 풍경의 발견

3.동경: 풍경의 의도적 외면

4.현해탄: 풍경과 마주할 수밖에 없는

5.부산, 김천 역: 식민지 조선, 풍경의 발견

6.서울: 비로소 근대적 주체로

7.다시 동경: 진정한 근대인으로

8.풍경의 발견과 근대적 주체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꾸어 나가기 위해 동경으로 돌아간 것이다. 이때 이인화가 돌아가는 동경은 처음 그가 떠나왔던 동경과 다르다. 그는 조선에서는 그의 길을 스스로 찾을 수 없다. 그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갈 수 있는 동경으로 돌아간다. 오히려 이것은 적극적인 자기 행위이다. 김윤식이 그냥 소설이 아닌 근대 소설의 첫머리에 염상섭의 만세전을 놓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p.209.
8. 풍경의 발견과 근대적 주체
동경에서 출발하여 현해탄, 부산을 거쳐 서울에 도착하고 다시 동경으로 떠나는 이인화의 여로는 식민지 조선 풍경의 발견과 그의 수용, 또한 내면의 변화를 통해 진정한 근대적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이다. 단순히 근대적 정신으로만 무장했던 이인화는 풍경의 발견을 통하여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자기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헤쳐 나가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이인화가 편지에서 말한 신생이며 풍경의 발견을 통해 이인화가 얻은 것이다.
*참고문헌
가라타니 고진, 『일본 근대 문학의 기원』, 박유하 옮김, 민음사, 1997.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김윤식, 『한국근대소설사연구』,을유문학사, 1986.
이효덕, 『표상공간의 근대』,박성관 옮김. 소명출판, 2002
김종욱, 「만세전의 시간-공간 구조 연구」,『한국현대문학연구』제 7권, 한국현대문학회,1999.
이훈, 「『만세전』의 근대성에 대한 연구-주체의 근대적인 의식과 식민지적 근대성에 대한 반영양상을 중심으로」,『한국언어문학』제45집., 한국언어문학회, 2000.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3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