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장배경과 교육
2. 데카르트의 주요저서와 그 사상
3. 데카르트의 철학과 도덕관
4. 방법적 회의
5.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
6. 이원론의 여러 변형들
7. 결론
2. 데카르트의 주요저서와 그 사상
3. 데카르트의 철학과 도덕관
4. 방법적 회의
5.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
6. 이원론의 여러 변형들
7. 결론
본문내용
을 느낀다. 그 둘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도 없다. 단지 정확한 시간적 일치만 있을 뿐.
③ 기회원인론 : 정신과 육체가 서로 인과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신이 모든 것에 영향을 준다. 정신과 육체가 서로 작용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매 순간마다 실제로 거기에서 작용하는 것은 신의 섭리이다. 예컨대 망치가 나의 엄지손가락을 때릴 때 그 사건은 나에게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는다. 단지 신이 그 순간 섭리해서 내가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만들며 동시에 내 입에서 지독한, 독신적인 욕지거리가 나오도록 만드는 것이다.
④ 부수현상론 : 이 입장은 우주가 완벽하고 철저하게 작동하는 기계라는 점을 인정한다. 우주의 모든 작용은 물리적인 것이다. 정신이나 의식이란 우주의 작동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그것들은 기계가 돌아갈 때 나는 소리들과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작용의 부산물에 불과하다. 즉 물질은 정신을 산출하고 그것에 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의식이나 사고, 정신은 물질에 아무런 영향도 기치지 못한다. 우리의 정신은 세계가 진행되는 것을 지켜볼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진행에 끼어들 수는 없다.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믿음은 환상에 불과하다.
7. 결론
데카르트가 죽은 뒤, 경건한 가톨릭교도였던 클레르슬리에가 유고를 입수하여 선별 간행함으로써 데카르트를 성인의 반열에 올리는 작업을 개시했다. 이 윤색작업은 교부 아드리앵 바예가 1691년 방대한 데카르트 전기를 펴내면서 절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정말 그리스도교 교리를 지지하는 데 주된 관심을 쏟은 로마 가톨릭교 옹호론자였는지, 아니면 결정론적기계론적유물론적 물리학을 확립하면서도 경건한 자세로 자신을 보호한 무신론자였는지는 그가 살아 있을 때도 확실하지 않았다. 이 문제는 클레르슬리에와 바예가 이용한 데카르트의 많은 원고들이 현재로선 유실된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도 대답하기 어렵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1667년 데카르트의 유골이 파리 주느비에브뒤몽 성당에 안치되던 바로 그날에 그의 책들을 금서목록에 올렸다. 한편 네덜란드 프로테스탄트교 목사들은 데카르트 생전에 줄곧 그를 예수회회원이자 교황예찬론자 즉 무신론자라고 불렀다. 1930경까지만 해도 대다수의 학자들은 데카르트의 주요관심이 형이상학적 종교에 있었다고 믿었으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그가 태생이나 정치면에서 프랑스인이자 왕정주의자였다는 점에서 가톨릭교도였다고 믿게 되었다.
③ 기회원인론 : 정신과 육체가 서로 인과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신이 모든 것에 영향을 준다. 정신과 육체가 서로 작용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매 순간마다 실제로 거기에서 작용하는 것은 신의 섭리이다. 예컨대 망치가 나의 엄지손가락을 때릴 때 그 사건은 나에게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는다. 단지 신이 그 순간 섭리해서 내가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만들며 동시에 내 입에서 지독한, 독신적인 욕지거리가 나오도록 만드는 것이다.
④ 부수현상론 : 이 입장은 우주가 완벽하고 철저하게 작동하는 기계라는 점을 인정한다. 우주의 모든 작용은 물리적인 것이다. 정신이나 의식이란 우주의 작동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그것들은 기계가 돌아갈 때 나는 소리들과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작용의 부산물에 불과하다. 즉 물질은 정신을 산출하고 그것에 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의식이나 사고, 정신은 물질에 아무런 영향도 기치지 못한다. 우리의 정신은 세계가 진행되는 것을 지켜볼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진행에 끼어들 수는 없다.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믿음은 환상에 불과하다.
7. 결론
데카르트가 죽은 뒤, 경건한 가톨릭교도였던 클레르슬리에가 유고를 입수하여 선별 간행함으로써 데카르트를 성인의 반열에 올리는 작업을 개시했다. 이 윤색작업은 교부 아드리앵 바예가 1691년 방대한 데카르트 전기를 펴내면서 절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정말 그리스도교 교리를 지지하는 데 주된 관심을 쏟은 로마 가톨릭교 옹호론자였는지, 아니면 결정론적기계론적유물론적 물리학을 확립하면서도 경건한 자세로 자신을 보호한 무신론자였는지는 그가 살아 있을 때도 확실하지 않았다. 이 문제는 클레르슬리에와 바예가 이용한 데카르트의 많은 원고들이 현재로선 유실된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도 대답하기 어렵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1667년 데카르트의 유골이 파리 주느비에브뒤몽 성당에 안치되던 바로 그날에 그의 책들을 금서목록에 올렸다. 한편 네덜란드 프로테스탄트교 목사들은 데카르트 생전에 줄곧 그를 예수회회원이자 교황예찬론자 즉 무신론자라고 불렀다. 1930경까지만 해도 대다수의 학자들은 데카르트의 주요관심이 형이상학적 종교에 있었다고 믿었으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그가 태생이나 정치면에서 프랑스인이자 왕정주의자였다는 점에서 가톨릭교도였다고 믿게 되었다.
추천자료
그래도 나무를 심는 것은
플라톤의 체육관이 현대체육에 미친 영향
기독교 교육 과정
미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과정
초등 사회과 탐구수업
칸트의 철학
사회과 교육에 관한 조사
[비교행정론B형]비교행정의 방법상의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 접근방법과 이론, 비교행정 ...
프레네의 업적과 프레네 교육운동
[영지주의, 그노시즘]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 그노시즘)의 기원,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 그...
[EC]기계산업 전자상거래(EC), 보험산업(보험사) 전자상거래(EC), 금융산업 전자상거래(EC), ...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공통유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 9장 17세기 대륙의 철학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