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수매체의 개념과 특성 및 활용방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유아교육 기관
(1) 유아원
(2) 유치원
(3) 탁아소

3. 교수매체의 개념

4. 학습 유형에 따른 교수매체

5. 교수매체의 분류
(1) 동원되는 감각에 따른 분류
(2) 기재의 성격에 따른 분류
(3) 기재의 종류에 따른 분류판
(4) 경험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른 분류

6. 각 교수매체의 특성
(1) 그림 자료
(2) 융판
(3) 게시판
(4) 사진
(5) 실물(입체적 교수매체)
(6) 표본
(7) 모형
(8) 인형
(9) 디오라마(Diorama)
(10) 녹음자료
(11) OHP(투시물 환등기)

7. 교수학습 3매체의 준비
(1) 교수매체의 수집 선택 기준
(2) 응용 - 제작

8.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
(1) 자료의 제시
(2) 자료의 교체
(3) 자료의 보관

9. 언어 영역에서의 환경구성
(1) 배치 : 햇빛이 잘 드는 밝은 곳에 위치
(2) 기구
(3) 활동의 설계

10. 미술 영역에서의 환경구성
(1) 배치
(2) 기구
(3) 활동의 설계

11. 과학 영역에서의 환경구성
(1) 배치
(2) 기구
(3) 활동의 설계

12. 교수매체의 효과에 대한 소고

13. 참고자료

본문내용

① 제목 : 발바닥 찍기
② 목표 : 다양한 도구의 사용과 우리 인체도 훌륭한 재료가 됨을 안다.
발운동을 함으로써 신체활동을 돕는다.
③ 자료 : 큰종이(전지, 조금 두꺼운 것) 포스터 컬러 물감
④ 활동과정(활용방법)
ㆍ 종이를 바닥에 펴놓는다.
ㆍ 발바닥에 물감을 고루 칠하고 농도는 진한편이 좋다.
ㆍ 종이의 이곳 저곳을 돌아다닌다.
ㆍ 다 끝나면 발바닥을 닦는다.
ㆍ 연계활동 : 손바닥 찍기와 손가락 지문 찍어 무늬만들기, 여러 가지 물건 찍기, 신발바닥 찍기를 한다.
⑤ 기대되는 학습경험
ㆍ 다양한 표현력을 기른다.
ㆍ 여러 가지 도구와 재료를 이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11. 과학 영역에서의 환경구성
(1) 배치
유아들은 자기 주위 환경에 대하여 무한한 호기심을 갖고 있으므로 생물, 무생물, 과학기구 및 자료 등 모든 것이 과학영역에 비치될 수 있다.
과학놀이 영역은 실외나 유치원 밖에서도 이루어지고 문제가 있을 때 끝까지 해결해 보려는 태도를 길러준다.
(2) 기구
① 기르는 동물과 동물집 : 토끼, 물고기, 강아지, 모르모트, 달팽이, 개구리(올챙이) ② 곤충과 곤충집 : 개미, 쓰르라미, 매미 ③ 식물 : 기르기에 적절한 콩, 고구마, 나팔꽃 등의 식물과 기타 식물 ④ 식물 기르기 도구 ⑤ 열대어와 열대어 어항 ⑥ 여러 가지 수집품 : 조개류, 돌 ⑦ 새와 새집 ⑧ 확대경 ⑨ 테라리움 ⑩ 자석 : 말굽자석, 막대자석, 동그란 자석 기계류 : 손목시계, 탁상시계, 라디오, 드라이버, 송곳, TV 부속 날씨판 측정도구 : 측정용 컵과 스푼, 저울, 에그 타이머, 실내ㆍ실외 온도계 프리즘 낡은 배터리 소리내는 물체들
(3) 활동의 설계
① 제목 : 기계와 도구 중에서 모터 실험
② 목표 :
여러 가지 기계와 도구를 안다.
기계와 도구는 우리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게하며 사용방법을 익힌다. 다양한 사고와 창의력을 기른다.
기계와 도구의 다양성
모터를 실험 해본다.
③ 자료 : 모터, 선풍기 실제 모형
④ 활동과정
ㆍ 건전지와 모터를 연결하여 작은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지 본다.
ㆍ 유아가 가지고 온 것을 직접 해 본다.
ㆍ 건전지 사이에 다른 것(돈, 철사, 반지 등)을 대보고 프로펠러가 돌아가는지 실험하여 본다.
ㆍ 교사가 선풍기를 만든 실제 모형으로 선풍기를 조작해 본다.
ㆍ 바람이 나오는지 관찰한다.
⑤ 선풍기 제작과정
(준비물 : 합판, 나무막대, 건전지케이스, 스위치, 배선조금, 날개, 모터, 사포, +글로건, 나사못, 드라이버)
ㄱ. 적당한 크기로 합판을 이용하여 선풍기 밑판을 만든다.(30×22Cm)
ㄴ. 적당한 크기의 나무막대를 자른다.(26Cm)
ㄷ. 나무막대의 끝에 홈을 파서 모터를 끼울 자리를 만든다.
ㄹ. 나무 밑판과 나무기둥을 사포를 이용하여 매끈하게 다듬는다.
ㅁ. 기둥을 나무 밑판에 고정한다.
ㅂ. 스위치를 단다.
ㅅ. 건전지 케이스를 단다.
ㅇ. 모터를 홈파인 나무기둥 끝에 끼우고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 (글로건 사용)
ㅈ. 모터 끝에 날개를 단다.
ㅊ. 배선을 이용하여 전체회로를 형성한다.
ㅋ. 모터가 제대로 작동하는 지 시험한다.
그림. 선풍기의 모형도
⑥ 기대되는 학습 경험
ㆍ 기계와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생활이 편리해 짐을 안다.
ㆍ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실험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한다.
ㆍ 다른 도구(믹서)의 원리를 안다.
12. 교수매체의 효과에 대한 소고
교수매체의 효과성에 대한 논쟁의 주요 논점은“과연 교수매체가 학습에 영향을 줄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에 있다. "매체의 학습효과는 존재한다“는 긍정론적 입장과 ”매체는 결코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부정론적 입장으로 크게 나뉘어지고 있다.
매체의 효과성을 부정하는 Clark은 식품운송용 트럭이 소비자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듯이 교수매체는 학습에 효과를 주지 않는다고 하면서 교수매체를 단순한 전달수단에 불과하다고 하며 교수매체의 교육적 효과를 부정한다. 반면에 Kozma와 같은 매체의 효과성에 대한 긍정론자들은 교수매체를‘식품운송용 트럭’에 비유할 것이 아니라‘사무실 건물’에 비유하여야 한다고 하면서 그 상징적 절차적 차원이 서로 달라서 학습에 영향을 준다는 긍정론을 주장한다.
현대는 과거와는 달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빠르고 동시 다발적인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대표적인 변화라 할 수 있는 정보화 세계화에 발맞춰 교수매체 또한 디지털화, 고화질화과 고선명도의 특징을 띠는 등 급속한 기술적 발전을 하고 있으며, 디지털 문화의 발달, 특히 컴퓨터에 의한 네트워크 기능의 발달에 따라 교수매체를 통한 자료에의 접근 속도가 급속히 빨라지고 있다. 더 나아가 여러 매체들의 기능이 한 개의 매체를 통해 나타나도록 하는 종합매체까지 등장하였다.
교수매체는 교육과정을 도와주는 역할과 더불어 그 자체를 형성하고 결정지어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수매체는 교사의 보조물로서 사용된다기 보다는 주요 정보전달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과 밀접한 역할을 하도록 그 위상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하고 새롭고 풍부한 교수매체를 준비하고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교수매체란 "목표로 하는 교수 또는 학습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교사의 교수기술 및 학습 분위기까지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교수 학습 자료를 포함한 교육환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교수매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학습자에게 풍부한 환경을 제공해 주기 위한 방법은 학습자의 감각을 이용한 풍부한 학습경험의 제공이다. 이를 위하여 교수매체를 사용해야한다.
요컨대, 교수매체의 효과는 분명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그것을 찾아내고 있지 못할 뿐이며 교수매체를 연구하는 방식 즉 교수방법을 개선한다면 효과를 분명히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교수매체의 효과성에 있어서 긍정적인 입장을 부각시켜야한다.
13. 참고자료
공인숙, 영유아보육론, 교육과학사
유혜령, 유아교수매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주영주 곽은순, 유아교육과 교수매체, 남두도서
이영자 이기숙,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창지사
  • 가격1,4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1.3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