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대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청소년 문제의 개념과 관련 요인
1. 개념과 정의
2. 청소년범죄와 지위비행
3. 우리나라의 분류
4. 청소년범죄의 성격
5. 청소년문제의 유래와 관련요인
6. 우리나라 청소년문제의 관련요인

제2절 청소년문제의 실태와 유형
1. 청소년문제의 실태
2. 청소년문제의 경향
3. 청소년 문제의 유형
4. 청소년문제의 국제적 경향

제3절 생물학적 이론, 정신분석학적 이론, 학습 이론, 사회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2. 정신분석학적 이론
3. 학습이론
4. 사회적 이론

제4절 비행청소년의 처리와 대책

본문내용

롬브로조 (Cesare Lonbroso, 1836~1909)
1)범죄는 출생시절부터 가지고 나오는 생물학적인 특징.
2)범죄자의 신체적 특징은 인간의 진화과정 중 초기모습.
(2) 쉘턴 (William H. Sheldon)
1)근육이 강하고, 활동적인 사람들을 비행자가 되기 쉽다고 주장.
2)범죄를 낮은 지능과 관련시켜 생각하는 경향.
(3) 이론의 한계점: 신체적 모습이나 지능지수와 범죄와의 관계는 매우 희박하여 인간관계를 발견하기 힘들다고 오늘날의 사회과학자들이 주장.
2. 정신분석학적 이론
(1) 프로이드 (Sigmund Freud, 1856~1939): 어렸을 때 적절한 자아(ego)가 발달하지 못하면 비행에 빠지게 된다고 주장.
1) 비행은 어렸을 때의 성장과정에서 본능을 통제할 수 있는 자아나 초자아가 적절하게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2) 1세 이전의 어린이와 부모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잠재의식을 중요시 함.
3) 구강기항문기남근기 등의 욕구가 정상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고 주장.
⇒ 일관성이 없는 부모의 태도는 정신분열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
이 이론은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어린 시기가 갖는 중요성을 제기하는 데 큰 공헌을 했고 비행의 지도과정에서 잠재의식에 중점을 두는 상담을 발달 시켰다.
4) 이론의 한계점: 모든 비행을 어린 시절의 성장과정으로 설명하려는 점과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3. 학습이론
(1) 현대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이나 사회적 학습이론 주장자들에 의하여 발달: 인간의 모든 행동은 자극과 반응의 경과에 따라서 발달하는 것으로 봄. ⇒ 모든 비행은 ‘학습’의 결과로 나타남.
(2) 강화 (reinforcement)
1) 긍정적 강화: 행동을 발달시킨다.
2) 부정적 강화: 행동을 억제 소멸 시킨다.
이 이론은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으며, 비행으로 여겨지는 행동이 긍정적 강화의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비행이 발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3) 이론의 한계점: 인간의 이념적 지향이나 판단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 점과 결정론적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4. 사회적 이론
(1) 긴장이론
1) 머튼(Robert K. Merton)의 아노미 이론, 코헨(Albert Cohen)의 부분문화이론, 오린(Lloyd Ohlin)의 기회구조 이론.
2) 사회계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곤이나 사회생활에서 불공평하게 제공되는 기회의 제약으로 인한 하류계층의 부적응이 비행과 일탈의 원인이 됨.
(2) 통제이론: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는 통제력과 자제력 사이의 균형이 깨어져서 통제력이 약화되는 경우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1) 허쉬(Travis Hirsch)
:청소년들이 전통적인 사회질서와의 유대가 끊어질 때 비행에 빠진다고 주장하면서 애착 (attachment), 참여(commitment), 관여(involvement)의 세 가지 통제 요인.
(3) 문화적 일탈이론(cultural deviance theory)
1) 비행을 격려하는 사회규범이나 신념, 가치 등에 대한 청소년들의 반응이 비행임.
2)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가치의 반응.
3) 쇼(Clifford Shaw), 맥케이(Henry D. Mckay)
:시카고 근처의 비행청소년을 연구, 그들의 주거지역의 생태적 환경이나 빈곤, 청소년문화 등이 비행을 저지르기에 알맞다는 점을 발견.
(4) 낙인이론(labeling theory)
:사회나 집단이 한번 일탈이라 규정해 버리면 그러한 규정을 당한 개인은 정말로 비행자나 일탈자로 발전한다고 주장.
제 4 절 비행청소년의 처리와 대책
비행청소년에 대한 대책은 크게 강제적으로 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자력갱생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1) 전통적 대책
1) 전통적인 처리방법: 경찰이나 검찰, 법원 사법기관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격리됨
① 소년법원에서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을 소년원
② 형사처벌을 받은 청소년은 소년교도소로 보내어 진다.
2) 비판적인 시각
:보복이나 인과응보의 의미로 비행자에게 벌을 준다는 것이 인간존중의 사상에 맞지 않고도, 격리수용에 의하여 갱생을 기대하기는커녕 오히려 더 많은 비행을 학습하게 된다는 것이 조사결과가 밝혀졌다.
(2) 새로운 대안
1) 이상과 같이 청소년 비행을 전통적인 강제 격리수용 이외의 교육적인 방법으로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강력하게 대두되었다.
2) 1960년 미국 대통령 자문기구인 법률 집행 및 사법행정위원회는 비행청소년을 재판 이외의 방법으로 교육할 것을 거의 이것을 “재판전환이론” 이라고 함.
①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 선도의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지방유지급인 선도위원이 일정기간 선도함으로써 교정이 끝난 것으로 한다.
② 소년 법원: 소년원에 보내는 대신 보호자나 교회, 사찰, 청소년단체의 지도에 위탁하 는 보호처분을 내리는 것.
⇒ 보호관찰제도: 1988년 12월 보호관찰법이 제정되어 1989년 7월 서울 가정법원을 처음으로 비행소년 5명을 소년원 대신 가정과 사회복지시설에 보내 일정기간 교육을 받게 하는 보호 관찰제도를 실시.
⇒ 보호프로그램: 직업교육은 물론 위기관리 상담, 극기와 절제, 인간관계의 개선 등 정신과 요법이나 심리적 치료법을 전문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3)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과제
청소년 문제에 대한 사회, 심리, 문화, 교육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가정, 학교, 사회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기 시작.
1) 가정
:청소년들이 참다운 사랑을 느낄 수 있고, 인간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사회규범을 확 고하고 일관성 있게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2) 학교
:청소년들이 즐겁고 명랑하게 시간을 보내고 자신의 장래를 준비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3)사회
①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을 위하여 스포츠, 복지시설의 확대와 텔레비전 등 대중매체의 교육성 증대
② 1991년 청소년기본법이 제정 청소년 개발원 등 청소년을 올바르게 육성 체계적인 움직임이 일고 있다.
참고문헌
최충옥 외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2002
이영자 진규철 공저 <교육사회학>, 학문사, 2000
석태종 저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4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2.13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