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사 화법의 개념
1) 개념
2. 교사 화법의 범주
3. 유형별 교사화법
<수업 중 교사화법>
1) 수업대화의 본질
2) 수업대화의 변인
3) 변인에 따른 수업 대화 방법
(1) 교사
(2) 학생입장
(3) 학습 과제
< 수업 외 교사 화법 >
1) 관계유형별 의사소통 방법
(1) 교사-학생
(2)교사-교사
(3)교사-학부모
4. 교사화법의 개선 방향
1) 관계의 회복
2) 소통의 활성화
1) 개념
2. 교사 화법의 범주
3. 유형별 교사화법
<수업 중 교사화법>
1) 수업대화의 본질
2) 수업대화의 변인
3) 변인에 따른 수업 대화 방법
(1) 교사
(2) 학생입장
(3) 학습 과제
< 수업 외 교사 화법 >
1) 관계유형별 의사소통 방법
(1) 교사-학생
(2)교사-교사
(3)교사-학부모
4. 교사화법의 개선 방향
1) 관계의 회복
2) 소통의 활성화
본문내용
1. 교사 화법의 개념
1) 개념
- 교원(교사, 교수)의 교육활동에서 말하기와 듣기에 관련한 언어활동
-교육 상황에서 상호교섭적 의사소통의 원리, 과정, 방법 등을 다루는 학문
2. 교사 화법의 범주
교원화법 > 교육화법 > 수업화법
- 좁은 의미의 교사화법은 어떤 교수 내용을 학생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교수, 학습 상의 언어 활동인 수업화법
- 넓은 의미의 교사화법은 수업화법, 교육화법을 포함하여 수업활동 이외에도 교육자의 모든 언어생활을 일컬는 교원화법
1) 수업대화의 본질
- 대부분 질문과 응답 같은 대화의 형식을 하고 있음.
-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의 구두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짐
(X) 주입식 강의 같은 교사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일방향성 의사소통
(O) 학생과 교사, 혹은 학생과 학생이 서로 생각과 느낌을 나누는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2) 수업대화의 변인
- 수업대화는 교사, 학생, 학습 과제라는 세가지 변인으로 구성 – 학습과제의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교사- 일방적 투입이 아닌 조정(management)을 함 - 학생으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해결 나갈 수 있도록 안내.
학생- 교사의 조정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보임.
학습 과제 - 해결해야 하는 대상, 교사와 학생이 의사소통에서 공유하는 공통점
(학습과제의 성격에 따라 대화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
3) 변인에 따른 수업 대화 방법
(1) 교사 입장
① 문자언어와 구두언어의 차이점 인식
구어 - 문어에 비해 정보의 양이 극히 적음.
- 문어에 비해 이해의 정확성이 부족함.
② 수업대화 조절(meta-communication)
대부분의 수업대화는 연극 각본과 같이 짜여져 질서 정연히 진행되어 역동성 부족
- 교사들의 수업을 이끄는 대화조절능력의 부족 때문
- 세대간 갈등, 권위에 복종하지 않는 것 등을 매우 불쾌하게 여기기 때문
③ 적절한 질문의 활용
-교사의 질문은 학생이 학습내용과 학습 방향을 제시함
-학생을 특정 행위, 특정 방향으로 인도함
1) 개념
- 교원(교사, 교수)의 교육활동에서 말하기와 듣기에 관련한 언어활동
-교육 상황에서 상호교섭적 의사소통의 원리, 과정, 방법 등을 다루는 학문
2. 교사 화법의 범주
교원화법 > 교육화법 > 수업화법
- 좁은 의미의 교사화법은 어떤 교수 내용을 학생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교수, 학습 상의 언어 활동인 수업화법
- 넓은 의미의 교사화법은 수업화법, 교육화법을 포함하여 수업활동 이외에도 교육자의 모든 언어생활을 일컬는 교원화법
1) 수업대화의 본질
- 대부분 질문과 응답 같은 대화의 형식을 하고 있음.
-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의 구두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짐
(X) 주입식 강의 같은 교사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일방향성 의사소통
(O) 학생과 교사, 혹은 학생과 학생이 서로 생각과 느낌을 나누는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2) 수업대화의 변인
- 수업대화는 교사, 학생, 학습 과제라는 세가지 변인으로 구성 – 학습과제의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교사- 일방적 투입이 아닌 조정(management)을 함 - 학생으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해결 나갈 수 있도록 안내.
학생- 교사의 조정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보임.
학습 과제 - 해결해야 하는 대상, 교사와 학생이 의사소통에서 공유하는 공통점
(학습과제의 성격에 따라 대화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
3) 변인에 따른 수업 대화 방법
(1) 교사 입장
① 문자언어와 구두언어의 차이점 인식
구어 - 문어에 비해 정보의 양이 극히 적음.
- 문어에 비해 이해의 정확성이 부족함.
② 수업대화 조절(meta-communication)
대부분의 수업대화는 연극 각본과 같이 짜여져 질서 정연히 진행되어 역동성 부족
- 교사들의 수업을 이끄는 대화조절능력의 부족 때문
- 세대간 갈등, 권위에 복종하지 않는 것 등을 매우 불쾌하게 여기기 때문
③ 적절한 질문의 활용
-교사의 질문은 학생이 학습내용과 학습 방향을 제시함
-학생을 특정 행위, 특정 방향으로 인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