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쁘다.
“이 나라가 친일파의 조형물을 뒤집어썼는데, 이런 나라에서 독립이 되었다 해방이 되었다, 경축식이다.....선열들이 노할 일이고 알면 욕할 일입니다.” 라고 담담하고도 결연하게 말하는 조문기씨의 마지막 기록에서 책 전반을 통해 받았던 충격, 감동과 같은 느낌을 고스란히 한 번 더 받았다. 마치 역사의 연속성을 깨닫지 못하고 그냥 반세기 전의 아픈 역사쯤으로 이해할 우리들을 향한 따끔한 일침 같이 느껴졌다. 815 해방의 기쁨으로 시작한 책의 마지막을 “아직 우리는 광복이 된 게 아닙니다” 로 마무리 한 것이 그저 우연한 편집상의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믿고 싶다.
《참고문헌》
문제안 외 39명, 『8.15의 기억 : 해방공간의 풍경, 40인의 역사체험 』
서울 : 한길사, 2005.
“이 나라가 친일파의 조형물을 뒤집어썼는데, 이런 나라에서 독립이 되었다 해방이 되었다, 경축식이다.....선열들이 노할 일이고 알면 욕할 일입니다.” 라고 담담하고도 결연하게 말하는 조문기씨의 마지막 기록에서 책 전반을 통해 받았던 충격, 감동과 같은 느낌을 고스란히 한 번 더 받았다. 마치 역사의 연속성을 깨닫지 못하고 그냥 반세기 전의 아픈 역사쯤으로 이해할 우리들을 향한 따끔한 일침 같이 느껴졌다. 815 해방의 기쁨으로 시작한 책의 마지막을 “아직 우리는 광복이 된 게 아닙니다” 로 마무리 한 것이 그저 우연한 편집상의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믿고 싶다.
《참고문헌》
문제안 외 39명, 『8.15의 기억 : 해방공간의 풍경, 40인의 역사체험 』
서울 : 한길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