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사상인가? 팔상인가?
1. 체질의학은 왜 필요한가?
2. 체질의학의 적용분야
3. 이제마의 체질구분
4. 사상체질이 팔상체질로 세분화되는 이유
제 2 장 외모로 본 팔상 체질
1. 사초(四焦)란 무엇인가?
2. 체질별 신체구조상의 특징
(1) 소음성태양인 (열성태양인)
(2) 소양성태양인 (한성태양인)
(3) 태양성소양인 (열성소양인)
(4) 태음성소양인 (한성소양인)
(5) 소양성태음인 (열성태음인)
(6) 소음성태음인 (한성태음인)
(7) 태음성소음인 (열성소음인)
(8) 태양성소음인 (한성소음인)
제 3 장 누구나 할 수 있는 체질감별법
1. 체질감별의 문제점
2. 신체 부위별 특징을 보는 요령
(1) 전체적 인상
(2) 눈의 특징
(3) 머리, 얼굴형
(4) 머리칼
(5) 피부
(6) 비만의 정도
3. 외모에 의한 체질감별법
(1) 소양성과 소음성 판별
제 4 장 나에게 맞는 것들 - 8가지 체질별
(1) 생리∙병리 현상
(2) 나에게 맞는 음식
(3) 내 몸에 좋은 운동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5) 반지를 끼는 방법
1. 체질의학은 왜 필요한가?
2. 체질의학의 적용분야
3. 이제마의 체질구분
4. 사상체질이 팔상체질로 세분화되는 이유
제 2 장 외모로 본 팔상 체질
1. 사초(四焦)란 무엇인가?
2. 체질별 신체구조상의 특징
(1) 소음성태양인 (열성태양인)
(2) 소양성태양인 (한성태양인)
(3) 태양성소양인 (열성소양인)
(4) 태음성소양인 (한성소양인)
(5) 소양성태음인 (열성태음인)
(6) 소음성태음인 (한성태음인)
(7) 태음성소음인 (열성소음인)
(8) 태양성소음인 (한성소음인)
제 3 장 누구나 할 수 있는 체질감별법
1. 체질감별의 문제점
2. 신체 부위별 특징을 보는 요령
(1) 전체적 인상
(2) 눈의 특징
(3) 머리, 얼굴형
(4) 머리칼
(5) 피부
(6) 비만의 정도
3. 외모에 의한 체질감별법
(1) 소양성과 소음성 판별
제 4 장 나에게 맞는 것들 - 8가지 체질별
(1) 생리∙병리 현상
(2) 나에게 맞는 음식
(3) 내 몸에 좋은 운동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5) 반지를 끼는 방법
본문내용
중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5. 소양성태음인 (열성태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평소에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로서 땀이 잘 나야 건강하다.
- 살이 가장 잘 찌는 체질이지만 초비만은 되지 않는다.
- 기관지, 폐가 약하므로 천식, 폐렴, 폐암, 감기, 고혈압, 당뇨병에 특히 잘 걸린다.
- 대변이 묽어야 건강하다.
- 심장이 약하여 심장질환에 잘 걸린다.
- 피부가 약하여 손발이 잘 트고 피부질환에도 잘 걸린다.
- 이 체질의 여성은 신장, 방광이 약하여 신장염, 방광염, 자궁병에 잘 걸린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식성이 좋아서 무슨 음식이든 가리지 않고 먹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식도락가들이 많다. 건강을 위하여 음식을 가려먹는 것이 필수적이며 음식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육류 중에는 돼지고기, 닭고기는 해롭지만 소고기는 이로운 음식이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근육의 발달도 좋고 힘이 좋으며 상체나 하체가 다 강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운동에 적합하다. 건강을 위해서는 아무래도 상체를 주로 쓰는 운동을 해야 한다. 등산은 이 체질의 건강에 가장 좋은 운동이며 골프, 야구, 배구, 역도 등의 운동도 건강에 유익하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목욕탕에서 땀을 제일 많이 빼야 하는 체질이 바로 이 체질이다. 이열표한(裏熱表寒) 체질이므로 목욕을 할 때에는 뜨거운 물에 들어가서 충분히 땀을 빼는 것이 좋다. 한증막 같은 것은 바로 이 체질을 위한 목욕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가을이 시작되면 갑자기 땀구멍이 막히게 되어 건강이 매우 나빠진다. 이때 뜨거운 물에서 땀을 쭉 빼고 나면 건강이 회복된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폐허체질이므로 항상 약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엄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6. 소음성태음인 (한성태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간 기능이 왕성하여 간음이 태과 되면 심장을 자극하여 심번이 오고 이것은 불면 으로 이어져 수년씩 불면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 대변은 설사로 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변이 굳어야 건강하다.
- 피부가 약하여 손발이 잘 트고 피부질환에도 잘 걸린다.
- 이 체질은 신기능이 강하여 생리통이나 월경 장애가 적으며 출산장애도 적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비위 기능은 약한 편이지만 역시 태음인이어서 대식가가 많다. 이 체질은 채식이 별로 의미가 없으며 특히 배우나 상치 계통의 채소를 날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허약한 대장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요구르트를 매일 먹는 것이 좋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근육을 발달시키면 웅장한 하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체는 약하므로 상체를 보강하는 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투포환, 창던지기, 철봉 등은 건강에 좋은 운동이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이 체질은 표한이열(表寒裏熱) 체질이기 때문에 목욕을 할 때에는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한증막 같은 것은 이 체질에 유익하다. 열성태음인처럼 가을이 되면 건강이 나빠지므로 뜨거운 물에 몸을 담가 땀구멍을 열어 주도록 해야 한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간실체질이므로 엄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약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7. 태음성소음인 (열성소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비위가 가장 약하고 차기 때문에 소화 장애가 잘 생기는데 소화가 잘 된다면 건 강한 것이다.
- 찬 음식을 먹으면 설사를 잘 하는데 이것은 장이 나빠서가 아니라 위가 약해서 생기는 설사이다.
- 소음인은 땀을 많이 흘려서는 안 되며 땀을 많이 흘리면 건강이 나빠진다.
- 비위 기능이 약하여 멀미도 잘하며 멀미는 이 체질에서 가장 심하다.
- 배설 기관이 양호하여 비만증이 되는 일은 없다.
- 여자의 경우 월경의 시작이 빠르고 폐경은 늦으며 출산 장애가 적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체력이 약하고 무엇보다 비위 기능이 가장 약하여 식성이 까다로우며 음식 소화가 항상 문제가 되는 체질이다. 그러므로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주로 섭취해야 하며 과식이나 폭식은 금물이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체력이 약하므로 땀을 흘리며 장시간 운동을 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따라서 가벼운 배구 같은 운동이 건강에 좋다. 건강을 위해서는 상체를 쓰는 철봉운동이나 실내에서 하는 탁구도 이 체질에 유익하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이 체질은 표열이한(表熱裏寒) 체질이기 때문에 목욕을 할 때에는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한증막 같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라리 찬물로 샤워를 하거나 냉수마찰이 좋을 수도 있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비허체질이므로 중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약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8. 태양성소음인 (한성소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몸이 가장 냉하기 쉬운 체질이며 위가 약하고 차기 때문에 소화 장애가 잘 생긴 다.
- 감기나 병에 걸렸을 때에도 땀을 내도록 하는 치료를 해서는 안 되며 결코 발한 제를 써서는 안 된다.
- 변은 변비에 가까우리만치 딱딱해야 건강한 것이다.
- 뼈대가 튼튼하므로 골다공증이 잘 안 걸린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소화 기능은 태음성소음인보다는 좋은 편이어서 흡수가 좀 더 잘 되므로 살이 약간 찐다. 그러나 다른 체질에 비해서는 살이 없는 편이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이 체질은 체력이 약하여 운동을 하면 건강에 유익할까 하여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어깨가 넓은 편이어서 근육이 발달할 수 있지만 무리하게 힘을 쓰면 쉽게 지치게 되므로 적당하게 운동을 해야 한다. 스케이트 같은 운동에서 세계 기록 보유자는 이 체질에서 나온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이 체질은 이한표열(裏寒表熱) 체질이기 때문에 목욕을 할 때에는 약간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따뜻한 물로 샤워하거나 온천욕이 좋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신실체질이므로 소지(다섯째 손가락)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중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5. 소양성태음인 (열성태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평소에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로서 땀이 잘 나야 건강하다.
- 살이 가장 잘 찌는 체질이지만 초비만은 되지 않는다.
- 기관지, 폐가 약하므로 천식, 폐렴, 폐암, 감기, 고혈압, 당뇨병에 특히 잘 걸린다.
- 대변이 묽어야 건강하다.
- 심장이 약하여 심장질환에 잘 걸린다.
- 피부가 약하여 손발이 잘 트고 피부질환에도 잘 걸린다.
- 이 체질의 여성은 신장, 방광이 약하여 신장염, 방광염, 자궁병에 잘 걸린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식성이 좋아서 무슨 음식이든 가리지 않고 먹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식도락가들이 많다. 건강을 위하여 음식을 가려먹는 것이 필수적이며 음식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육류 중에는 돼지고기, 닭고기는 해롭지만 소고기는 이로운 음식이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근육의 발달도 좋고 힘이 좋으며 상체나 하체가 다 강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운동에 적합하다. 건강을 위해서는 아무래도 상체를 주로 쓰는 운동을 해야 한다. 등산은 이 체질의 건강에 가장 좋은 운동이며 골프, 야구, 배구, 역도 등의 운동도 건강에 유익하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목욕탕에서 땀을 제일 많이 빼야 하는 체질이 바로 이 체질이다. 이열표한(裏熱表寒) 체질이므로 목욕을 할 때에는 뜨거운 물에 들어가서 충분히 땀을 빼는 것이 좋다. 한증막 같은 것은 바로 이 체질을 위한 목욕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가을이 시작되면 갑자기 땀구멍이 막히게 되어 건강이 매우 나빠진다. 이때 뜨거운 물에서 땀을 쭉 빼고 나면 건강이 회복된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폐허체질이므로 항상 약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엄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6. 소음성태음인 (한성태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간 기능이 왕성하여 간음이 태과 되면 심장을 자극하여 심번이 오고 이것은 불면 으로 이어져 수년씩 불면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 대변은 설사로 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변이 굳어야 건강하다.
- 피부가 약하여 손발이 잘 트고 피부질환에도 잘 걸린다.
- 이 체질은 신기능이 강하여 생리통이나 월경 장애가 적으며 출산장애도 적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비위 기능은 약한 편이지만 역시 태음인이어서 대식가가 많다. 이 체질은 채식이 별로 의미가 없으며 특히 배우나 상치 계통의 채소를 날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허약한 대장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요구르트를 매일 먹는 것이 좋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근육을 발달시키면 웅장한 하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체는 약하므로 상체를 보강하는 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투포환, 창던지기, 철봉 등은 건강에 좋은 운동이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이 체질은 표한이열(表寒裏熱) 체질이기 때문에 목욕을 할 때에는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한증막 같은 것은 이 체질에 유익하다. 열성태음인처럼 가을이 되면 건강이 나빠지므로 뜨거운 물에 몸을 담가 땀구멍을 열어 주도록 해야 한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간실체질이므로 엄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약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7. 태음성소음인 (열성소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비위가 가장 약하고 차기 때문에 소화 장애가 잘 생기는데 소화가 잘 된다면 건 강한 것이다.
- 찬 음식을 먹으면 설사를 잘 하는데 이것은 장이 나빠서가 아니라 위가 약해서 생기는 설사이다.
- 소음인은 땀을 많이 흘려서는 안 되며 땀을 많이 흘리면 건강이 나빠진다.
- 비위 기능이 약하여 멀미도 잘하며 멀미는 이 체질에서 가장 심하다.
- 배설 기관이 양호하여 비만증이 되는 일은 없다.
- 여자의 경우 월경의 시작이 빠르고 폐경은 늦으며 출산 장애가 적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체력이 약하고 무엇보다 비위 기능이 가장 약하여 식성이 까다로우며 음식 소화가 항상 문제가 되는 체질이다. 그러므로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주로 섭취해야 하며 과식이나 폭식은 금물이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체력이 약하므로 땀을 흘리며 장시간 운동을 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따라서 가벼운 배구 같은 운동이 건강에 좋다. 건강을 위해서는 상체를 쓰는 철봉운동이나 실내에서 하는 탁구도 이 체질에 유익하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이 체질은 표열이한(表熱裏寒) 체질이기 때문에 목욕을 할 때에는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한증막 같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라리 찬물로 샤워를 하거나 냉수마찰이 좋을 수도 있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비허체질이므로 중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약지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8. 태양성소음인 (한성소음인)
(1) 생리병리 현상
- 몸이 가장 냉하기 쉬운 체질이며 위가 약하고 차기 때문에 소화 장애가 잘 생긴 다.
- 감기나 병에 걸렸을 때에도 땀을 내도록 하는 치료를 해서는 안 되며 결코 발한 제를 써서는 안 된다.
- 변은 변비에 가까우리만치 딱딱해야 건강한 것이다.
- 뼈대가 튼튼하므로 골다공증이 잘 안 걸린다.
(2) 나에게 맞는 음식
소화 기능은 태음성소음인보다는 좋은 편이어서 흡수가 좀 더 잘 되므로 살이 약간 찐다. 그러나 다른 체질에 비해서는 살이 없는 편이다.
(3) 내 몸에 좋은 운동
이 체질은 체력이 약하여 운동을 하면 건강에 유익할까 하여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어깨가 넓은 편이어서 근육이 발달할 수 있지만 무리하게 힘을 쓰면 쉽게 지치게 되므로 적당하게 운동을 해야 한다. 스케이트 같은 운동에서 세계 기록 보유자는 이 체질에서 나온다.
(4) 목욕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이 체질은 이한표열(裏寒表熱) 체질이기 때문에 목욕을 할 때에는 약간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따뜻한 물로 샤워하거나 온천욕이 좋다.
(5) 반지를 끼는 방법
신실체질이므로 소지(다섯째 손가락)에 은반지를 끼고 다니며 가끔씩 중지에 금반지를 끼고 다니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추천자료
설득을 위한 대화의 기술
경락맛사지와 비만과의 관계
웰빙 식품산업의 동향과 전망
드라마 ‘대장금’을 통한 음식 치료 사례
고혈압과한의학
우울증의 원인과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 및 예방법과 소아, 청소년 우울증과 가면 우울증에 대...
[물리치료학] 음양오행(陰陽五行) - 한방에서 보는 음양오행론에 대해서
우울증
우리나라 여성의 무분별한 다이어트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 조사 연구
한방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성격이론] 성격의 유형론, 특성론, 발달론(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후유증 환자에 대한 시령탕 투여 1례
[동서협진과 CASE] 요로성 패혈증을 주소로 하는 뇌경색 남환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