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서점의 현 주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온라인 서점의 실태 분석

Ⅳ. 온라인 서점의 영향

Ⅴ. 결 론

본문내용

아직까지는 출판사에서 소비자 정가에 반영하지 않고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 반영할 수밖에 없죠.
즉 인터넷 업체가 과다할인을 하게 되면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가게 되어 있어요. 왜냐하면
예전에는 출판사의 마진이 일정하게 확보가 되었는데, 이제 온라인 매출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마진폭이 들쑥 날쑥해요. 결국 나중에는 출판사에서 그 부담을 다 안을 수 없기 때문에 도서
정가를 올릴 수밖에 없지요(출판경영자17, 남, 48세) 동아일보 , 2002년 6월 28일자.
이처럼 온라인 서점이 확대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수 있지만 도서정가제의 폐지가 결국에는 독자들에게 이득을 주지 못한다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었다. 점차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오프라인 서점의 경우에도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먼 산 불 보듯이’ 있을 것이 아니라 서점이라는 공간이 가질 수 있는 문화적 의미를 찾아야 할 때라고 하였다.
Ⅴ. 결 론
지금까지 온라인 서점의 유래와 종류에 대해 간략하게 짚어보고, 온라인 서점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오프라인 서점과의 갈등 해결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알아본 결과 온라인 서점의 성장을 단순히 가격할인을 통한 무임승차 결과 정도로 치부하는 일부의 시각에는 수정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인터넷 전자상거래라는 새로운 유통방식은 거스르기 힘든 대세임에 틀림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제는 어떻게 하면 온라인 서점이 기존 서적 유통산업의 취약한 유통구조와 영세성, 마케팅 능력 부족 등과 같은 제반 문제와 취약점을 보완하고 소비자의 이득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유통경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오프라인 서점들도 도서정가제만을 고집함으로써 온라인 서점의 발목을 잡으려 들기보다는 온라인 서점 이용자들이 전통적 서점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핌으로써 이용자들이 온-오프라인을 더불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자세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 참 고 문 헌 *
1.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민독서실태조사」, 한국출판연구소, 2006
2. 동아일보, 2002년 6월 28일자.
3. 대한출판문화협회, 「2006 한국출판연감」, 2006
4. 서연미, 「온-오프라인 서점갈등과 이용자 측면의 해결 방안」, 『정보통신정책』,
제13권 2호, 2001, pp.29~30 참조.
5. 이란주, 「인터넷 서점의 효과적인 웹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8권 1호(서울: 정보관리학회, 2001), pp.43~64 참조.
6. 이원준, 「출판시장에서의 Off-Line과 On-Line의 충돌-도서정가제」『정보통신정책』,
제12권 22호, 2000, pp.16~32 참조.
7. 인터넷 교보문고 사이트 〈http://www.kyobobook.co.kr〉 참조.
8. 하공명, 「YES24의 Performance Dashboard Analysis」, 『우수 인터넷 쇼핑몰 사례와 성공전략 세 미나』자료집(서울: 전자상거래연구조합, 2002) 참조.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4.0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