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 제기
1. 부재자를 위한 민법상의 제도
2. 사망(간주)시기 이후에 법률행위에 대한 효력
Ⅱ.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의 권한 범위
1.부재자 재산관리인의 지위
①지위
②권한
2.소유권 이전 등기의 효력
①을의 권한 병의 행위인지 여부
②표현대리 성립여부
Ⅲ. 사망(간주)시기와 소급효
1.학설
①제1설
②제2설
2.판례
Ⅳ. 결론
1. 부재자를 위한 민법상의 제도
2. 사망(간주)시기 이후에 법률행위에 대한 효력
Ⅱ.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의 권한 범위
1.부재자 재산관리인의 지위
①지위
②권한
2.소유권 이전 등기의 효력
①을의 권한 병의 행위인지 여부
②표현대리 성립여부
Ⅲ. 사망(간주)시기와 소급효
1.학설
①제1설
②제2설
2.판례
Ⅳ. 결론
본문내용
한 선임 결정이 취소되기 전에 재산관리인의 처분행위에 기하여 경료된 등기는 법원의 처분허가 등 모든 절차를 적법하게 경료된 것으로 추정된다.(대판 1991.11.26. 91다11810)
법원의 결정으로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에 선임된 자는 그 부재자의 사망이 확인된 후라 할지라도 그 선임결정이 취소되지 않는 한 관리인으로서 권한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며 취소된 경우에도 그 취소의 효력은 장래에 향하여서만 생기므로 취소 전의 부재자 재산관리인의 적법한 권한행사의 효과는 이미 사망한 그 부재자의 재산상속인에게 미친다.(대판 1970.1.27. 69다719)
따라서 위 사안에서 부재자 재산관리인 을의 법률행위에 효과는 유효한 것이 되고 상속인 정은 피상속인의 임야 A를 상속받을 수 없으며 그 주장은 무효가 된다.
CASE 1 목차
Ⅰ. 문제 제기
1. 부재자를 위한 민법상의 제도
2. 사망(간주)시기 이후에 법률행위에 대한 효력
Ⅱ.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의 권한 범위
1.부재자 재산관리인의 지위
①지위
②권한
2.소유권 이전 등기의 효력
①을의 권한 병의 행위인지 여부
②표현대리 성립여부
Ⅲ. 사망(간주)시기와 소급효
1.학설
①제1설
②제2설
2.판례
Ⅳ. 결론
법원의 결정으로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에 선임된 자는 그 부재자의 사망이 확인된 후라 할지라도 그 선임결정이 취소되지 않는 한 관리인으로서 권한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며 취소된 경우에도 그 취소의 효력은 장래에 향하여서만 생기므로 취소 전의 부재자 재산관리인의 적법한 권한행사의 효과는 이미 사망한 그 부재자의 재산상속인에게 미친다.(대판 1970.1.27. 69다719)
따라서 위 사안에서 부재자 재산관리인 을의 법률행위에 효과는 유효한 것이 되고 상속인 정은 피상속인의 임야 A를 상속받을 수 없으며 그 주장은 무효가 된다.
CASE 1 목차
Ⅰ. 문제 제기
1. 부재자를 위한 민법상의 제도
2. 사망(간주)시기 이후에 법률행위에 대한 효력
Ⅱ.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의 권한 범위
1.부재자 재산관리인의 지위
①지위
②권한
2.소유권 이전 등기의 효력
①을의 권한 병의 행위인지 여부
②표현대리 성립여부
Ⅲ. 사망(간주)시기와 소급효
1.학설
①제1설
②제2설
2.판례
Ⅳ. 결론
추천자료
명의신탁 부동산 처분행위의 가벌성에 대한 판례의 태도 및 비판점
법학-소유권 정리(의의,성질,부동산,취득,공동소유,명의신탁)
부당이득계산
익명조합
아이템의 현금거래에 대한 법적고찰
[초상권][초상권침해][정보화사회]초상권의 정의, 정보화사회의 초상권침해와 초상권침해의 ...
친족기말레포트
부동산중개이론 중간고사 정리
사회복지법인설립허가서류견본
[부동산공시제도] 부동산공시제도의 개념, 종류 및 개선방안 -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중요...
펀드투자상담사 합격서브노트
사회복지법제론 - 사회복지주체에 대한 법적 검토(국가와 수급자의 법률관계-공적 사회복지주...
2015년 1학기 채권법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