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막증 case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수막증 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반적 사항
Ⅱ. 간호력
Ⅲ. 질병에 대한 고찰
Ⅳ. 경구, 비경구 투약 및 수분전해질
Ⅴ. 진단검사
Ⅵ. 간호과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하
/HPF
참고치
결과치
임상적 의의
APPT
28.0~45.0
28,6
PT
11.6~15.5
12.4
Act%
73.0~126.0
104
INR
0.87~1.24
0.98
PT/APTT_Em
Electrolyte Battery
참고치
결과치
임상적 의의
Sodium
136~145mEq/ℓ
144
Potassium
3.5~5.1mEq/ℓ
3.8
chloride
98~110mEq/ℓ
105
기타 검사
4/17 Br. CT (POST op) 4/17
4/18 Br. CT
MRI ; piffusin (post op)↑
4/18 Br. CT(post op)
4/19 Br. LT
4/21, 25 Br. LT
4/27 Br. CT
《 사례환자의 질병과정 》
상기환자는 특이 과거력 없던 분으로 1년전부터 Lt. ear tinnitus와 face에 이상 감각있어 local에서 MRI후 본원신경외과에서 evaluation결과 Lt. CPA meningioma Dx받고 4월 18일 tumor removal, EVD 시행하였고 5월 3일에 SICU에서 전실 왔다. 잦은 설사로 GI consult를 한 결과 큰 이상은 없어서 수술이나 약의 부작용 때문 인거 같아 계속적으로 Obs하고 있다. 16일부터 안구건조로 인한 양측 눈에 통증이 있어서 안연고를 계속적으로 적용시키고 있으며 5월 18일과 21일에 OP site에 fluid collection 모여 needle Aspiration하였다.
Ⅵ. 간호과정
간호진단 1 : 수술 후 감염과정 및 뇌부종과 관련된 조직 관류의 변화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 수술 후 fluid collection가 보이고 5월 18일과 21일에 needle aspiration을 시행함.
Intake 1880, Output 1200+stool #1
BT가 14~18일 사이 높게 나옴
간호계획
및 수행
(R:합리적근거)
장기목표: 조직관류변화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체온 36.5~37.0의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대상자의 I&0가 균형을 이룬다.
<진단적 계획>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R: 감염의 징후를 알기 위함이다)
의식상태, 신경계상태를 자주 사정한다.(R: 뇌관류 증진을 알기 위함이 다.)
<치료적 계획>
두개내압을 하강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고체온을 예방 (R:뇌대사의 변화를 예방)
<교육적 계획>
두개내압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피하도록 교육 (기침, 복압 상승 행위, 동통, 체온 상승)
수분 섭취를 많이 하지 않도록 교육
과호흡을 유도(호흡이 저하되면 저산소증과 과탄산혈증으로 인해 뇌혈 관 확장을 일으켜 뇌 혈량을 증가시키고 뇌압을 상승 시키므로)
=>수행
4시간간격으로 활력징후 측정하고 있다.
20%mannitol (100ml), Cerol (500ml)을 하루에 3번 투여.
병실을 서늘하게 유지하고 담요를 덮지 않게 함
수분섭취를 최대한 줄이고 처방된 대로 수액을 주입하며 과부담이 되지 않게 함.
호흡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평가
의식수준(명료)로 조직관류변화의 증상을 보이지 않음.
체온 21일 36.8℃ 22일 36.6℃로 정상범위 내로 유지.
Intake 1400, Output 1350+stool #2으로 I & O가 균형을 이룸
간호진단 2 : 수술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자료수집
객관적 자료: - MCV가 74.9로 정상치(80~100)보다 낮은 수치가 유지 됨.
- 환자가 혼자서는 잘 움직이질 못해서 신체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주관적 자료: “물리치료는 받지만 몸에 힘도 없어서 움직이질 못 하겠어 요”
간호계획
및 수행
(R:합리적근거)
장기목표: 환자는 정상적으로 근골격 기능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환자는 스스로 식사 등의 작은 일들을 혼자서 수행할 수 있 다.
<진단적 계획>
대상자의 근골격 상태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적어도 하루에 2번씩 모든 관절에 대해 능동적 관절운동을 실시하고 관 찰한다.
만약 능동적 운동이 불가능하다면 수동적인 관절 운동(ROM)을 수행한 다.
<교육적 계획>
자기 간호활동을 격려한다.
간단한 저항 운동을 교육한다.
활동 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수행
물리치료 이외에 간단한 ROM을 하루에 2번씩 시행하였다.
최대한 환자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관절 운동과 자기 간화활동을 교육한대로 꾸준히 시행하였고
5월22일에 자기 스스로 숟가락을 들고 식사를 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물리치료를 받으려 갈 때도 최대한 스스로 휠체어를 타려는 모습이 관찰 되어짐.
간호진단 3 : 환경과 통증에 관련된 수면장애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통증이 심해서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어요”
-“옆 병실 할머니가 밤새 시끄러워서 잠을 잘 수 가 없어요”
· 객관적 자료:
- 밤에 수면시간이 4~5시간정도 임
간호계획
및 수행
(R:합리적근거)
장기목표: 대상자는 충분한 수면으로 피로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되어 적절한 수면을 취한다.
2.대상자는 수면시간 7~8시간 정도 푹 잔다.
-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 (소등하고 텔레비전 볼륨을 낮춤)
- 귀마개와 안대를 제공
- 소음을 일으키는 요인의 제거 (옆 병실의 할머니께 양해를 구함)
- 낮잠을 줄이도록 교육
- 취침 전 심각한 일, 가정문제를 다루는 것은 삼가
- 조용한 활동을 권함 (독서, 조용한 음악)
- 취침 전 배뇨, 편안한 잠옷, 적절한 체위를 권함
- 통증이 심해서 수면을 취하지 못할 시에는 간호사에게 즉시 알린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피로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통증이 심할 때 대상자는 즉시 간호사에게 알렸으며 22일 이후 적절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참고문헌
기본간호학 하권, 손영희 외, 2003, 현문사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병원, 2003, 서울대학교 출판부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이광옥 외, 1997, 현문사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2002, 수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4.0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2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