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배경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참고문헌
2. 배경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톨루엔을 중크롬산염 ·황산으로 산화하면 생기는데, 공업적으로는 주로 프탈산무수물이나 벤조트리클로리드로부터 제조한다. 식품위생법에 의하여 허가된 방부제의 일종으로 간장에 쓰이는 외에, 매염제(媒染劑)로도 사용하고 있다. 나트륨염은 방부제 ·거담제(去淡劑)로 쓰이는 외에, 해열제로서 급성관절류머티즘 ·방광염 ·만성기관지염의 치료에 쓰인다. 또, 벤조산나트륨-카페인의 조제에도 사용된다. 또한 벤조산에스테르는 향료의 보류제나 용제로 사용한다.
2) 여과지
: 여과지는 흔히 거름종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용액 속에 들어 있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 특히 어떤 용매에 대해 용해도가 서로 현격하게 다른 두 물질을 분리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소금과 모래가 함께 섞여 있어 소금만 분리해내기가 힘들 때, 여과지를 이용하면 모래를 걸러내고 소금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소금과 모래가 섞여 있는 혼합물을 물에 넣으면 소금은 물에 잘 녹아 아주 작은 이온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반면 모래는 물에 녹지 않고 큰 알갱이들이 물 밑에 가라앉은 채로 존재한다. 이 용액을 여과지에 거르면, 물과 소금은 여과지 속의 구멍을 통과해 밑으로 내려가고, 모래는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지 위에 남게 된다. 여과지를 통과한 용액을 가열하면서 물을 증발시키면 소금을 얻을 수 있다.
여과지는 섬유들이 뒤엉켜 있는 종이로, 지름 0.005∼0.006㎜정도의 작은 구멍이 굉장히 많이 뚫려 있다. 물과 같은 용매, 그리고 용매에 녹아 있는 용질은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지만 크기가 큰 용질은 그 구멍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물 분자와, Na+, Cl-는 매우 작아 여과지의 구멍을 통과할 수 있지만 모래알갱이는 그 크기가 커서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
여과지를 사용할 때는 원 모양의 여과지를 반으로 접어 반원 모양이 되게 만들고, 또 다시 반으로 접어 1/4원을 만든다. 그후 가운데를 열어 원뿔 모양이 되게 만들고 이를 깔때기 안에 넣는다. 이때 용매를 약간 부어 깔때기와 여과지가 서로 잘 달라붙게 하는 것이 좋다. 또 여과지 선 위로 용액이 넘치면 여과지를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내려갈 수 있으므로 여과지의 선을 넘지 않도록 용액을 적당량 조절해 가면서 부어주는 것이 좋다.
4. 실험 방법
1) benzoic acid 농도 50%인 용액 1ℓ를 만든다(용액의 무게를 달 것.)
2) 용해하지 않으면 가열비등한다.
3) 용액의 양이 10%정도 줄어들도록 한 다음, 그 무게를 측정하여 증발된 수분 양으로부터 용액의 농도를 [wt%]로 계산한다.
4) 이 용액을 미리 가온된 beaker에 20g씩 취하여 급냉하면서, 결정이 석출하는 모양을 관찰한다.
5) 나머지는 아주 서서히 자연 냉각하면서 결정이 석출하는 모양을 살피되, 일단결정이 석출하면 온도계로서 용액의 온도변화를 시간에 대하여 기록한다.
6) 용액의 온도가 20℃가 되면 여과 건조한 다음 평량한다.
5. 참고문헌
1) 홍석우, 켐 스터디 화학 실험도서, 탐구당, p.17~21
2) 박창호, 김우식, 정인식, 물질전달 및 분리공정, 지인당, 1999
3) 김학준, 단위조작실험,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4) Warren L. McCabe, Julian C. Smith, Peter Harriott, 단위조작, 한국맥그로힐, 2001
5) The Physical and Theoretical Chemistry Laboratory Oxford University
http://physchem.ox.ac.uk/MSDS/
6)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톨루엔을 중크롬산염 ·황산으로 산화하면 생기는데, 공업적으로는 주로 프탈산무수물이나 벤조트리클로리드로부터 제조한다. 식품위생법에 의하여 허가된 방부제의 일종으로 간장에 쓰이는 외에, 매염제(媒染劑)로도 사용하고 있다. 나트륨염은 방부제 ·거담제(去淡劑)로 쓰이는 외에, 해열제로서 급성관절류머티즘 ·방광염 ·만성기관지염의 치료에 쓰인다. 또, 벤조산나트륨-카페인의 조제에도 사용된다. 또한 벤조산에스테르는 향료의 보류제나 용제로 사용한다.
2) 여과지
: 여과지는 흔히 거름종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용액 속에 들어 있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 특히 어떤 용매에 대해 용해도가 서로 현격하게 다른 두 물질을 분리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소금과 모래가 함께 섞여 있어 소금만 분리해내기가 힘들 때, 여과지를 이용하면 모래를 걸러내고 소금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소금과 모래가 섞여 있는 혼합물을 물에 넣으면 소금은 물에 잘 녹아 아주 작은 이온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반면 모래는 물에 녹지 않고 큰 알갱이들이 물 밑에 가라앉은 채로 존재한다. 이 용액을 여과지에 거르면, 물과 소금은 여과지 속의 구멍을 통과해 밑으로 내려가고, 모래는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지 위에 남게 된다. 여과지를 통과한 용액을 가열하면서 물을 증발시키면 소금을 얻을 수 있다.
여과지는 섬유들이 뒤엉켜 있는 종이로, 지름 0.005∼0.006㎜정도의 작은 구멍이 굉장히 많이 뚫려 있다. 물과 같은 용매, 그리고 용매에 녹아 있는 용질은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지만 크기가 큰 용질은 그 구멍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물 분자와, Na+, Cl-는 매우 작아 여과지의 구멍을 통과할 수 있지만 모래알갱이는 그 크기가 커서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
여과지를 사용할 때는 원 모양의 여과지를 반으로 접어 반원 모양이 되게 만들고, 또 다시 반으로 접어 1/4원을 만든다. 그후 가운데를 열어 원뿔 모양이 되게 만들고 이를 깔때기 안에 넣는다. 이때 용매를 약간 부어 깔때기와 여과지가 서로 잘 달라붙게 하는 것이 좋다. 또 여과지 선 위로 용액이 넘치면 여과지를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내려갈 수 있으므로 여과지의 선을 넘지 않도록 용액을 적당량 조절해 가면서 부어주는 것이 좋다.
4. 실험 방법
1) benzoic acid 농도 50%인 용액 1ℓ를 만든다(용액의 무게를 달 것.)
2) 용해하지 않으면 가열비등한다.
3) 용액의 양이 10%정도 줄어들도록 한 다음, 그 무게를 측정하여 증발된 수분 양으로부터 용액의 농도를 [wt%]로 계산한다.
4) 이 용액을 미리 가온된 beaker에 20g씩 취하여 급냉하면서, 결정이 석출하는 모양을 관찰한다.
5) 나머지는 아주 서서히 자연 냉각하면서 결정이 석출하는 모양을 살피되, 일단결정이 석출하면 온도계로서 용액의 온도변화를 시간에 대하여 기록한다.
6) 용액의 온도가 20℃가 되면 여과 건조한 다음 평량한다.
5. 참고문헌
1) 홍석우, 켐 스터디 화학 실험도서, 탐구당, p.17~21
2) 박창호, 김우식, 정인식, 물질전달 및 분리공정, 지인당, 1999
3) 김학준, 단위조작실험,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4) Warren L. McCabe, Julian C. Smith, Peter Harriott, 단위조작, 한국맥그로힐, 2001
5) The Physical and Theoretical Chemistry Laboratory Oxford University
http://physchem.ox.ac.uk/MSDS/
6)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