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관
2. 학생관
3. 지도관
4. 단원의 지도목표
5. 지도상의 유의점
6. 안전사항
7. 본시학습흐름
8. 자료개발
< 학습 활동지 >
2. 학생관
3. 지도관
4. 단원의 지도목표
5. 지도상의 유의점
6. 안전사항
7. 본시학습흐름
8. 자료개발
< 학습 활동지 >
본문내용
: 모래와 물
② 실험 시 주의할 점
ㆍ온도계는 너무 깊지 않게(약 1cm) 깊이로 넣습니다.
ㆍ모래는 잘 마른 것을 사용합니다.
◎ 예상하기
ㆍ모래와 물의 온도 중 어느 쪽이 더 빨리 변하는지 예상한다.
◎ 실험활동
- 모래와 물의 온도 변화 조사 실험
① 비커 두 개에 각각 마른 모래와 물을 넣는다.
② 온도계의 끝이 지면과 수면으로부터 약 1cm 정도 묻히도록 스탠드에 고정시킨다.
③ 전등2개를 각각 모래와 물 앞에 놓아둔다.
④ 지면과 수면의 처음 온도를 측정한 후 5분 간격으로 5회 온도를 측정한다.
⑤ 측정한 결과치를 활동지에 기록한다.
⑥ 기록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래프를 그린다.
◎ 실험 결과
처음
5분 후
10분 후
15분 후
20분 후
25분 후
물
28℃
29℃
31℃
32.5℃
34℃
35℃
모래
28.5℃
29℃
31.5℃
34℃
36.5℃
39℃
- 모래가 물보다 더 빨리 가열됩니다.
◎ 자료 탐색
< 하룻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알아보기 >
- 29쪽의 그래프를 보고 알 수 있는 점에 대해서 자유롭게 토의하기
· 하룻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 하루 중 기온이 가장 높을 때와 낮을 때
· 하루 중 지면과 수면의 온도차가 가장 심할 때 등
- 그래프 해석하기
· 지면과 수면의 최고온도와 최저온도 찾기
·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한 곳이 어디인지 찾기
◎ 개념정리
- 지면의 온도가 수면의 온도보다 빨리 변한다.
- 똑같은 양의 햇빛을 받더라도 지면이 수면보다 빨리 데워지고 빨리 식기 때문에
◎ 학습정리
- 모래와 물의 온도변화 정리
- 지면과 수면 위의 공기의 온도 변화 추리하기
◎ 적용
- 여름철에 맨발로 흙이나 모래를 밟으면 뜨겁지만, 물에 들어가면 시원한 까닭은?
(모래가 물보다 먼저 데워지기 때문에)
8. 자료개발
◎ 학습에서 심화할 내용
< 지면이 수면보다 빨리 데워지는 이유 >
① 물은 투명하여 태양빛이 깊이 투과되어 큰 부피의 물에 흡수되지만, 흙은 빛이 얕게 투과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표면에만 흡수된다.
② 물을 가열하면 물이 증발되면서 열을 소모하므로
온도가 쉽게 올라가지 않는다.
③ 물은 흐르거나 파도에 의해서 아래와 위의 물이 잘 섞이게 된다. 따라서, 햇빛을 받아 따뜻해진 물이 그 아래의 차가운 물과 섞이게 되므로 물이 흙보다 빨리 데워지지 않는다.
< 학습 활동지 > 3. 기온과 바람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알아보기
처음
5분후
10분후
15분후
20분후
25분후
모래
물
※ 5분간격으로 5회동안, 모래와 물의 온도변화를 기록해봅시다. (처음 온도도 기록할 것)
※ 기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봅시다. (모래는 빨간색으로, 물은 파란색으로)
※ 다음은 하룻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고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1. 지면의 온도가 수면의 온도보다 높은 때와 낮은 때는 언제인가요?
① 높은 때 : ② 낮은 때 :
2. 밤에는 지면의 온도보다 수면의 온도가 더 ( )
3. 낮에는 지면의 온도보다 수면의 온도가 더 ( )
② 실험 시 주의할 점
ㆍ온도계는 너무 깊지 않게(약 1cm) 깊이로 넣습니다.
ㆍ모래는 잘 마른 것을 사용합니다.
◎ 예상하기
ㆍ모래와 물의 온도 중 어느 쪽이 더 빨리 변하는지 예상한다.
◎ 실험활동
- 모래와 물의 온도 변화 조사 실험
① 비커 두 개에 각각 마른 모래와 물을 넣는다.
② 온도계의 끝이 지면과 수면으로부터 약 1cm 정도 묻히도록 스탠드에 고정시킨다.
③ 전등2개를 각각 모래와 물 앞에 놓아둔다.
④ 지면과 수면의 처음 온도를 측정한 후 5분 간격으로 5회 온도를 측정한다.
⑤ 측정한 결과치를 활동지에 기록한다.
⑥ 기록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래프를 그린다.
◎ 실험 결과
처음
5분 후
10분 후
15분 후
20분 후
25분 후
물
28℃
29℃
31℃
32.5℃
34℃
35℃
모래
28.5℃
29℃
31.5℃
34℃
36.5℃
39℃
- 모래가 물보다 더 빨리 가열됩니다.
◎ 자료 탐색
< 하룻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알아보기 >
- 29쪽의 그래프를 보고 알 수 있는 점에 대해서 자유롭게 토의하기
· 하룻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 하루 중 기온이 가장 높을 때와 낮을 때
· 하루 중 지면과 수면의 온도차가 가장 심할 때 등
- 그래프 해석하기
· 지면과 수면의 최고온도와 최저온도 찾기
·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한 곳이 어디인지 찾기
◎ 개념정리
- 지면의 온도가 수면의 온도보다 빨리 변한다.
- 똑같은 양의 햇빛을 받더라도 지면이 수면보다 빨리 데워지고 빨리 식기 때문에
◎ 학습정리
- 모래와 물의 온도변화 정리
- 지면과 수면 위의 공기의 온도 변화 추리하기
◎ 적용
- 여름철에 맨발로 흙이나 모래를 밟으면 뜨겁지만, 물에 들어가면 시원한 까닭은?
(모래가 물보다 먼저 데워지기 때문에)
8. 자료개발
◎ 학습에서 심화할 내용
< 지면이 수면보다 빨리 데워지는 이유 >
① 물은 투명하여 태양빛이 깊이 투과되어 큰 부피의 물에 흡수되지만, 흙은 빛이 얕게 투과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표면에만 흡수된다.
② 물을 가열하면 물이 증발되면서 열을 소모하므로
온도가 쉽게 올라가지 않는다.
③ 물은 흐르거나 파도에 의해서 아래와 위의 물이 잘 섞이게 된다. 따라서, 햇빛을 받아 따뜻해진 물이 그 아래의 차가운 물과 섞이게 되므로 물이 흙보다 빨리 데워지지 않는다.
< 학습 활동지 > 3. 기온과 바람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알아보기
처음
5분후
10분후
15분후
20분후
25분후
모래
물
※ 5분간격으로 5회동안, 모래와 물의 온도변화를 기록해봅시다. (처음 온도도 기록할 것)
※ 기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봅시다. (모래는 빨간색으로, 물은 파란색으로)
※ 다음은 하룻동안의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고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1. 지면의 온도가 수면의 온도보다 높은 때와 낮은 때는 언제인가요?
① 높은 때 : ② 낮은 때 :
2. 밤에는 지면의 온도보다 수면의 온도가 더 ( )
3. 낮에는 지면의 온도보다 수면의 온도가 더 ( )
추천자료
초등학교 5학년 과학 전기회로 꾸미기 지도안(교수-학습 과정안)
초등1)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말 58~59 쪽(2/4)차시)> 5.생각을 펼쳐요 - ...
초등1)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 쓰기50-52 ( 3 / 4)차시)> 4. 아, 재미있구나! ...
초등2) <(바른생활)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72-75쪽/생&#8228;길 66-67쪽 ( 1/4 )차...
초등3)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P. 114-115(실47) (12/14)> 3. 동물의 한살이 - ...
초등3)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P. 50~53 (1-2/3)> 6. 상상 표현 - 상상의 세계 ...
초등3)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86~87 / 익힘책 : 96~97> 6.곱셈 - 십의 자리...
초등3)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82-87 ( 1/3 )차시> 5. 예절바른 우리 - 상대방에...
초등3)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음악 22~23> 7. 리듬악기 노래. - 듣고 부르기를 ...
초등3)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90-93 ( 1/9 )차시> 7. 분수 - 똑같이 나누어 봅...
초등3)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104~105쪽(6/10차시)> III. 경쟁활동 2. 요리조리...
초등3)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92~93쪽)> III. 경쟁활동 - 술래의 이동 경로 파...
초등5,6) <(재량)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나에게 소중한 것 - 내 삶의 중요한 부분들의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