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한 규범적인 성격을 가진다. 반면, 학습은 행동변화 그 자체를 그대로 기술하는 사실적인 성격을 가진다.
교수 방법론에 대해서는 옛날부터 많은 교육학자들의 주장이 내려오고 있고,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규범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학습은 학습자가 배우게 된 내용 그 자체만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사실적인 것이다. 중등학교 수학 교과서 지침서를 보게 된 기회가 있었는데 각 과목의 교수 방법에 대한 서술이 대부분 교과서가 비슷한 것을 보고, 법률적이지는 않지만 관습처럼 규범적으로 정해져 있구나 하고 생각했다.
여섯째, 교수는 일의적(一義的) 이지만, 학습은 다의적(多義的)이다.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은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같으나, 이를 받아들이는 학생들은 제각기 다르게 받아들인다. 즉,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은 한가지이지만, 학생들은 이를 서로 다르게 배운다.
받아들이는 내용은 똑같으나 이것을 얼마나 자신만의 지식으로 만드는 능력이 학생마다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교사에게 배우는 학생들이 똑같은 시험을 쳐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즉, 학생마다 성취도가 다르기 때문에 학생마다 받아들이게 되는 내용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교수 방법론에 대해서는 옛날부터 많은 교육학자들의 주장이 내려오고 있고,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규범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학습은 학습자가 배우게 된 내용 그 자체만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사실적인 것이다. 중등학교 수학 교과서 지침서를 보게 된 기회가 있었는데 각 과목의 교수 방법에 대한 서술이 대부분 교과서가 비슷한 것을 보고, 법률적이지는 않지만 관습처럼 규범적으로 정해져 있구나 하고 생각했다.
여섯째, 교수는 일의적(一義的) 이지만, 학습은 다의적(多義的)이다.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은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같으나, 이를 받아들이는 학생들은 제각기 다르게 받아들인다. 즉,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은 한가지이지만, 학생들은 이를 서로 다르게 배운다.
받아들이는 내용은 똑같으나 이것을 얼마나 자신만의 지식으로 만드는 능력이 학생마다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교사에게 배우는 학생들이 똑같은 시험을 쳐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즉, 학생마다 성취도가 다르기 때문에 학생마다 받아들이게 되는 내용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