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 및 사회 상황과 자연법과 실정법 등 모든 것을 고려해봤을 때 법이다 아니다를 결정하기는 어려운 문제이고 따라서 악법은 법인 동시에 아닌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악법이란 말 속에 법이 들어가 있는데 당연히 악법은 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람들의 악법에 대한 기준은 이념에 따라 또는 시대, 가치관이나 상황이나 처지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다. 시대에 따라서는 조선시대에 양반제도나 남녀차별 등이 오늘날에는 당연히 악법이고,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일들이 다른 나라에서는 엄연히 법으로 지정되어 있기도 한다. 또 부유층에게는 누진세나 상속세 등이 악법이 될 수도 있을 것 이다. 그러나 법은 인간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법이 우리를 보호하고 대변해 주지 못하고 오히려 우리를 억압한다면 더 이상 법으로서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악법은 당연히 개정되어야 하며 또 위헌법률 심판이나 청구권 등을 통해 악법을 개정하도록 요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법은 우리가 사회 속에서 지켜야 될 약속이고 악법 또한 잘못 되었다 해도 우리가 동의해서 만든 법이기 때문에 법이 아니다, 위반해도 된다 이런 생각보다는 악법을 고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철학:서양철학사-자연철학`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플라톤 사상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비교
[동양사상][서양사상]동양사상과 서양사상 분석 고찰(동양의 사상, 서양의 사상, 소크라테스,...
사회보호법상 보호감호제도의 실태 및 폐지논쟁
[고대][노예제도][음악][철학][교육][자연법][수학][아메리카대륙][아프리카대륙][이집트]고...
[카네기 인간관계론 독후감] - 카네기 인간관계론 줄거리 요약 및 분석, 대인관계의 변화발전...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피스트,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대화기법][학교][교사][어린이][자녀][해결중심][소크라테스]학교에서 대화기법, 교사의 마...
스토아의 철학(범신론적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설, 부동심, Apatheria. 자연법)
철학_소피스트_소크라테스_플라톤
[국제정치와한국] 비교정치론의 역사적 관점 - 그리스의 철학과 과학(플라톤의 국가와 사회, ...
사형제도 (데스노트를 통해 본 정의 실현과 법의 제도적 장치를 중심으로)
[고대그리스 교육사상] 그리스 시대의 교육사상가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