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설문지
2.연구모형 및 가설
3.신뢰성 분석
4.통계량에 의한 데이터 요약
5.기초 통계분석
군집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상관분석, 대응분석
6.가설검증
7.결론
2.연구모형 및 가설
3.신뢰성 분석
4.통계량에 의한 데이터 요약
5.기초 통계분석
군집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상관분석, 대응분석
6.가설검증
7.결론
본문내용
1.서비스 품질 (-서비스 품질 이외의 나머지 항목은 같은 분석 내용이므로 문항 제거 시 척도와 크론바하 알파계수만 설명함)
(1) 기술통계량
각 개별 항목들에 대한 기술통계량이 제시되어 있다. 분석대상이 되는 3변수들의 이름과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사례(케이스) 수가 나타나 있다. A3 변수의 표준편차가 1.0167 로 3개 변수 중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상관 및 공분산 행렬
3개 변수들간의 공분산행렬 및 상관행렬이 제시되어 있다. 3변수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0.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3변수가 서비스품질이라는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던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3) 스케일에 관한 통계량
1) Statistics for Scale : 분석변수를 하나로 간주한 가상변수인 스케일에 관한 평균, 분산, 표준편차, 변수의 수가 나타나 있다.
2) Item Means : 각 변수들의 평균의 평균, 평균값 중 최소-최대값, 평균의 범위, 최대평균과 최소 평균의 비율, 평균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3) Item Variances : 각 변수들의 분산의 평균, 분산값 중 최소-최대값, 분산의 범위, 최대분산과 최소 분산의 비율, 분산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4) Inter-item Covariances : 각 변수들의 공분산의 평균, 공분산값 중 최소-최대값, 공분산의 범위, 최대공분산과 최소 공분산의 비율, 공분산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5) Inter-item Correlations : 각 변수들의 상관계수의 평균, 상관계수값 중 최소-상관계수의 범위,최대상관계수와 최소 상관계수의 비율, 상관계수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4) 스케일과 각 변수의 관계
1) Scale Mean if Item Deleted : 해당하는 하나의 변수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했을 경우에 그 변수 이외의 변수들로 구성되는 스케일의 평균을 의미한다. A1을 제외하고 신뢰성 분석을 하면 스케일의 평균이 10.3137에서 6.5098으로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값은 스케일의 평균에서 a1의 평균을 뺀 값과 같다.
2) Scale Variance if Item Deleted : 해당하는 하나의 변수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했을 경우에 그 변수 이외의 변수들로 구성되는 스케일의 분산을 의미한다. a1을 제외한 분산이 3.3349으로서 가장 크다.
3) Corrected Item- otal Correlation : 각 개별 변수와 그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로 구성된 스케일과의 상관계수를 의미한다. a2와 a1,a3로 구성된 스케일과의 상관계수는 .7574 로 가장 크다.
4)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각 개별 변수를 제외하고 구성된 스케일이 전체 분산 중에서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나타낸다. a1을 목적변수로 하고 a2,a3를 설명변수로 하는 회귀식이 가지는 설명력은 .5425이다.
(1) 기술통계량
각 개별 항목들에 대한 기술통계량이 제시되어 있다. 분석대상이 되는 3변수들의 이름과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사례(케이스) 수가 나타나 있다. A3 변수의 표준편차가 1.0167 로 3개 변수 중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상관 및 공분산 행렬
3개 변수들간의 공분산행렬 및 상관행렬이 제시되어 있다. 3변수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0.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3변수가 서비스품질이라는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던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3) 스케일에 관한 통계량
1) Statistics for Scale : 분석변수를 하나로 간주한 가상변수인 스케일에 관한 평균, 분산, 표준편차, 변수의 수가 나타나 있다.
2) Item Means : 각 변수들의 평균의 평균, 평균값 중 최소-최대값, 평균의 범위, 최대평균과 최소 평균의 비율, 평균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3) Item Variances : 각 변수들의 분산의 평균, 분산값 중 최소-최대값, 분산의 범위, 최대분산과 최소 분산의 비율, 분산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4) Inter-item Covariances : 각 변수들의 공분산의 평균, 공분산값 중 최소-최대값, 공분산의 범위, 최대공분산과 최소 공분산의 비율, 공분산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5) Inter-item Correlations : 각 변수들의 상관계수의 평균, 상관계수값 중 최소-상관계수의 범위,최대상관계수와 최소 상관계수의 비율, 상관계수의 분산들을 나타낸다
(4) 스케일과 각 변수의 관계
1) Scale Mean if Item Deleted : 해당하는 하나의 변수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했을 경우에 그 변수 이외의 변수들로 구성되는 스케일의 평균을 의미한다. A1을 제외하고 신뢰성 분석을 하면 스케일의 평균이 10.3137에서 6.5098으로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값은 스케일의 평균에서 a1의 평균을 뺀 값과 같다.
2) Scale Variance if Item Deleted : 해당하는 하나의 변수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했을 경우에 그 변수 이외의 변수들로 구성되는 스케일의 분산을 의미한다. a1을 제외한 분산이 3.3349으로서 가장 크다.
3) Corrected Item- otal Correlation : 각 개별 변수와 그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로 구성된 스케일과의 상관계수를 의미한다. a2와 a1,a3로 구성된 스케일과의 상관계수는 .7574 로 가장 크다.
4)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각 개별 변수를 제외하고 구성된 스케일이 전체 분산 중에서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나타낸다. a1을 목적변수로 하고 a2,a3를 설명변수로 하는 회귀식이 가지는 설명력은 .5425이다.
추천자료
텍스트 의미 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관한 연구
[글로벌마케팅] 홉스테드의 문화모형이론 및 사례 적용 연구(한국과 영국)
영어교과를 위한 도서관 활용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부신뢰도]정부신뢰도(정부신뢰성)의 개념과 정부신뢰도(정부신뢰성)의 요인, 정부신뢰도(...
현장교육연구의 정의와 특징, 현장교육연구의 특수성과 자세, 현장교육연구의 주제선정과 연...
[현장연구][현장연구의 방법][현장연구와 일반연구의 비교]현장연구의 개념, 현장연구의 종류...
현장교육연구의 정의, 현장교육연구의 목적, 현장교육연구의 성격, 현장교육연구의 역사적 연...
[경영정보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성공한 기업(CRM을 통한 백화점의 마케팅 ...
실험연구의 예를 찾아 수업시간에 공부한 내용이 잘 반영되었는지 분석 : 실험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