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 문제점 나의 의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운하의 정의 및 종류
- 운하의 정의
- 운하의 종류
- 내륙 수로

2. 한반도 대운하
- 대운하의 추진연혁
- 한반도 대운하 목적
- 대운하 구체적 계획

3. 한반도 대운하 문제점

4. 나만의 의견

본문내용

한다지만 이 경우 매일 2백만 톤의 식수가 부족하게 돼 약 6백만 명의 시민들이 식수난 초래 위험.
4. 한국의 자연조건에 대한 적합성
→ 사면이 바다인 영국에도 운하가 있다고 주장하며 운하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영국운하는 산업혁명기인 17-18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며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의 운하도 17-18세기에 만들어진 것을 보안 및 확충하여 활용성을 증가시킴.
→ 삼면이 바다이고 철도 해운 항만이 발달한 나라에서 운하는 시대흐름에도 맞지 않음.
→ 우리나라는 동고서저 산악 국가이기 때문에 지형적으로 운하는 부적합함.
→ 라인 강과 도나우 강의 운하는 내륙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던 400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구축됐고 유럽운하는 유럽생태 역사의 산물로서 우리의 여건과는 상이함.
출처 - 네이버 지식인
Ⅳ. 나만의 의견.
요즘은 광우병 문제로 조금 묻힌 대운하 문제이긴 하지만 맨 처음 강의실에서 대운하에 관해 토론을 할 때 만해도 사회의 이슈로 대두되었던 문제였다.
사실 내 소견을 말하자면 일단 반대. 이 과제가 주어지고 몇일 지나지 않아 티비에 대운하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나왔는데 그것이 반대에 대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티비란것이 일방적인 것을 보기만 하는 것이어서 그 내용에 관한 반대의 의견은 알 수 없지만 사실적인 근거를 제시로 하는 그 다큐멘터리에선 환경적인 문제도 굉장히 많았고 대운하라는 거대한 국가 정책을 집행하기에는 어려운 요소가 많아보였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국가발전을 바라지 않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운하를 반대하는 사람도 찬성하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 나 역시도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나라의 국가경제에 도움과 이바지가 되는 제대로된 정책이라면 끊임없이 지지하고 응원을 보내고 싶다. 하지만 여러 의견을 종합해본 결과 대운하는 개인적인소견으로 어려움이 아직은 많아 보인다. 국가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이 쉽게 내지는 않았을 테고 나라에서 내로라하는 전문적인 인재들이 모여 대운하라는 국가정책을 내렸을 테지만 좀 더 지금보다는 빈틈을 메꿔 반대입장도 찬성으로 만들 수 있는 근거와 사실들을 제시하여 대운하라는 나라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갔으면 좋겠다.
<목차 >
1.운하의 정의 및 종류
- 운하의 정의
- 운하의 종류
- 내륙 수로
2. 한반도 대운하
- 대운하의 추진연혁
- 한반도 대운하 목적
- 대운하 구체적 계획
3. 한반도 대운하 문제점
4. 나만의 의견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05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