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 노동자, 혼혈아 등 소외 받는 사람들이 그에 해당하지 않을까? 단지 소외 받는 사람을 구제하기 위해서 만이 아니라 그런 사회제도나 분위기를 만들 어가는 잘못된 지식인들, 고정 관념에 대한 반발로서도 작용한 것 같다. 그리고 홍길동이라는 인물을 내세워 이런 혼탁한 정치의 이상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관직에 대해서 미련도 남기지 않은 허균이지만, 그의 실력 때문에 계속해서 다시 등용이 되는 것은 정말 그만큼의 자기가 실력이 되고 능력이 되는 선비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또 정치적으로 ‘호민론’을 내세운 것으로 보아 당시 권력층들에게 당하는 민중들을 불쌍히 여겨 그들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희망의 매세지를 주려고 한 것은 아닐까? 라고 생각해 본다. 현대에서는 요즘 민중들이 나라의 주인이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도 주위에는 소외된 사람들이 많이 있다. 가난하다는 이유로 억압을 받는 이들도 포함해서 말이다. 나도 이런 이들에게 무엇인가 해주고 싶어진다. 항상 측은하게는 생각되지만.. 막상 발벗고 나선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이번을 계기로 무슨 일이든 내 생각이 옳다고 생각되면 바로잡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부당한 대우를 받는 주위 사람들에게 작은 도움이 나마 줄 수 있는 기회에도 동참 해 볼 것이다. 이 허균이라는 인물! 어떻게 보면 부정적으로도 보여 질 수 있는 인물이다. 하지만 나는 허균의 좋은 모습만을 바라보고 싶다. 만약 지금 이 시대에 허균이 살아 있었다면 그는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소외된 사람들을 바라보라!!” 라고 외치지 않았을까?
<참고문헌>
이미화 "허균“ (한길사)
<참고문헌>
이미화 "허균“ (한길사)
추천자료
전통문화가 여가문화에 끼치는 교육적 기능-전통문화체험기 포함
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애민사상과 민중시의 전통
금오신호의 기원과 금오신화의 작품을 분석 평가
덕수궁에 관하여
[고전소설강독]이태준의 황진이와 홍석중의 황진이 비교분석 및 춘향전과의 영향관계 분석
고추장의 유래와 종류 제조방법 및 단백질과 미생물 측정
한국한시속의 삶과 의식<<책속의 최경창 요약본
한국한시속의 삶과 의식<<책속의 최경창 본문
소설의 기원, 고전소설 시대의 소설관, 소설의 본질
문학이 주는 텍스트의 즐거움
삼당시인
[국문학] 삼당시인의 등장과 배경
영화 『광해 (光海 / Masquerade)』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