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가장 특징적 차이는 <1>의 경우 ‘곱’에서 피치가 드러나지 않는 것에 비해 <2>의 경우는 피치가 나타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이는 <1>의 발음에 비해 <2>의 경우 더욱 거센 음성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한 예가 아닐까 생각한다. 또한 ‘다’의 경우 <1>에 비해 <2>는 어두음 ‘ㄷ’이 경음화되어 발음되고 있다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피치의 경우도 <2>의 경우는 고저의 차이가 뚜렷이 드러나 경남의 억양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위의 예에서 살펴보았듯이 같은 발음을 한다하더라도 지역적 방언의 특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의 스펙트로그램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경기도에 비해 경남의 방언은 피치에 있어서 높낮이가 뚜렷이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모음의 포만트 전이 양상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 발음을 한다하더라도 경기도에 비해 경남의 말은 더욱 쉽게 경음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지역적인 방언의 특성이 고스란히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음향분석을 통해서 각 언어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질, 또는 지역적인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 살펴보았듯이 같은 발음을 한다하더라도 지역적 방언의 특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의 스펙트로그램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경기도에 비해 경남의 방언은 피치에 있어서 높낮이가 뚜렷이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모음의 포만트 전이 양상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 발음을 한다하더라도 경기도에 비해 경남의 말은 더욱 쉽게 경음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지역적인 방언의 특성이 고스란히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음향분석을 통해서 각 언어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질, 또는 지역적인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통신언어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
광고언어의 사회학적 분석
광고 자료를 이용한 광고 언어의 특징 분석
젊은이들의 언어사용 실태와 원인 분석
국어과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 교육과정 해설 및 비교분석(8학년 문법)
유아문학의 종류에 대해 조사하고 그 중 한 가지의 작품에 대해 분석하시오
[한어][중국어][상고한어][상고중국어]한어(중국어)의 특징, 한어(중국어)의 실사와 실형태소...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분석
지역언어(방언, 사투리) 정의, 지역언어(방언, 사투리) 가치, 지역언어(방언, 사투리)교육 필...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제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강원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
(국어음운)한글 발음 인식과 표기의 변화 필요성
한 아동을 선택하여 그 아동의 개인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직접 관찰, 또는 간접 관찰(주양육...
한국어음운론_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