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폭력 - 학교 폭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차 ]
1.청소년 학교폭력의 개념

2.학교폭력에 관한 이론

3.학교폭력의 특성

4.학교폭력의 유형

5.학교폭력의 발생요인

6. 학교폭력의 현황

7. 우리나라의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체계

8.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방안

9. 외국의 주요 대처 사례

10. 관련 기사 및 동영상

11. 결론

본문내용

스트레스가 적어지고 놀 시간이 충분하다면 지금보다 친구들과 덜 싸우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친구를 무시하거나 괴롭히는 이유에 대해서는 '특별한 이유 없이 그 애를 보면 기분이 나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35.2%로 가장 많았고, '공부를 못하기 때문'(17.4%), '차림이 지저분하기 때문'(14.7%), '선생님께 자주 혼나기 때문'(13.1%), '못생겼기 때문'(11.3%), '장애가 있기 때문'(4/7%) 등순으로 나타났다.
전교조 충북지부 관계자는 "최근 학교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따돌림 사건이나 친구들과의 싸움, 나아가 학교 폭력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이들의 과도한 스트레스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며 "어린이들에게 자유롭게 삶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와 놀 권리 등을 보장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늘부터 3개월간 학교폭력 집중단속
[YTN TV 2007-03-12 13:14]
정부는 '학교폭력 추방의 날'인 오늘부터 6월 11일까지 석 달 동안을 학교폭력 자진 신고와 집중단속 기간으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오늘 오후 2시 이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취재 기자를 연결합니다. 박상남 기자!
정부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오늘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구요?
[리포트]
오늘은 정부가 정한 '학교폭력 추방의 날'입니다.
정부는 오늘부터 6월 11일까지 석 달 동안을 '학교폭력 자진 신고기간'으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 기간 동안 학교 폭력서클을 구성하거나 가입하는 행위, 교내ㆍ외에서 폭력을 행사하거나 다른 학생의 현금 등을 빼앗는 행위에 대해 신고를 받고 집중 단속 활동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또 학교 폭력 서클 가입을 권유받은 학생이나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의 자진 신고도 받습니다.
정부는 자진신고 가해 학생에게는 선도 교육을 이수하는 조건으로 '불입건' 등 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선처할 방침입니다.
그러나 가해 학생이 자신신고 후 선도 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엔 다시 형사 입건토록 할 예정입니다.
피해 신고 학생에 대해서는 철저히 비밀을 보장하기로 했으며, 보복 우려 때문에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호자 동의하에 담당경찰과 여경 등으로 서포터를 지정 운영해 2차 피해를 방지하기로 했습니다.
경찰청은 이번 자진신고 기간에 '학교폭력 동영상 유포'와 관련한 신고 코너를 사이버 경찰청에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한 지난달 26일 발표한 학교폭력 대책에 따라 이번 신고 기간 중 학교 폭력이 빈발한 학교와 학교폭력 발생이 우려되는 학교 가운데 거점학교를 선정해 비(非) 상주 '학교폭력 전담 경찰관제'를 시범운영할 계획입니다.
김신일 교육부총리는 잠시 뒤인 오늘 오후 2시 '학교폭력 자진신고와 집중단속 기간 운영'에 즈음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교육부에서 YTN 박상남입니다.
10. 결론
최근의 청소년 학교폭력은 그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선행연구 자료와 관련학회 자료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최근 발생한 소년범죄의 82.4%가 재학생에 의하여 저질러지고 있다는 사실과 한 해 동안 고등학생의 57%가 학교폭력을 경험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잘 일깨워 주고 있으며 표류하고 있는 청소년 교육의 현주소를 실감케 해주고 있다. 그리고 최근 학교폭력의 양상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특성이 단순한 탈선의 차원을 넘어서 심각한 범죄의 단계에 이르고 있다는 점, 자신의 폭력행위에 대해 죄의식이나 책임감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점, 일부 비행 청소년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청소년 일반에게 보편화 되고 있다는 점, 흉포화조직화집단화 되고 고도로 지능화되고 있다는 점, 그 연령대가 낮아져 초등학교에서도 적지 않게 행해지고 있다는 점, 남학생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학교 폭력이 여학생들 또한 가해자 또는 피해자로서 대거 등장하고 일탈 행위에서도 남학생들 못지않게 잔인해지고 있다는 점, 일반적인 폭력과 금품갈취 이외에도 집단적인 따돌림과 놀림, 시험지 보여주기 강요나 숙제 빼앗기 등 심리적 폭력형태로 음습화되고 있다는 점, 잠재적인 불만과 스트레스를 해소라거나 혹은 그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 등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특별한 인과관계를 찾아볼 수 없는 무차별적이고 충동적인 폭력의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생의 80% 이상이 스스로도 그 심각성을 의식하고 있다고 응답해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이러한 학교폭력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이다. 학교폭력의 문제는 가해피해학생 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유관단체, 지역사회 그리고 정부에 이르기 까지 모두가 일정한 책임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학교지역사회정부의 각 방면에서 청소년 문제나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을 갖고 상호협력하면서 지속적이고도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대처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참 고 자 료 ]
윤태민. 2006. 『청소년의 학교폭력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지순덕. 2005. 『청소년 학교폭력 현황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행정대학원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 5개년 기본계획
( 동영상 )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055&article_id=0000067270&menu_id=115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052&article_id=0000145010&menu_id=115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214&article_id=0000026890&menu_id=115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8.08.28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