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시사망 추정과 배우자 대습상속
【 事實關係 】
【 訴訟의 經過 】
(1) 1심 판결
(2) 2심판결
【 大法院判決 】
【 硏 究 】
Ⅰ. 序論
Ⅱ. 代襲相續의 性質
1. 고유권설
2. 승계설(대위설)
3. 검토
Ⅲ. 代襲相續의 要件
1. 피대습자의 상속개시전의 사망과 동시사망
2. 배우자의 대습상속
Ⅳ. 結論
<Abstracts>
Presumed Simultaneous Death and the Spous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참고문헌]
【 事實關係 】
【 訴訟의 經過 】
(1) 1심 판결
(2) 2심판결
【 大法院判決 】
【 硏 究 】
Ⅰ. 序論
Ⅱ. 代襲相續의 性質
1. 고유권설
2. 승계설(대위설)
3. 검토
Ⅲ. 代襲相續의 要件
1. 피대습자의 상속개시전의 사망과 동시사망
2. 배우자의 대습상속
Ⅳ. 結論
<Abstracts>
Presumed Simultaneous Death and the Spous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서는 타당한 유일한 판단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형제자매의 상속과 제한 없는 피대습자의 배우자의 대습상속에는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습상속제도의 입법방향은 피상속인의 의사에도 부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현대의 가족관계를 고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형제간의 부모로부터의 혜택의 재분배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 두고 싶다.
주제어: 대습상속, 동시사망, 상속의 순위, 배우자의 상속순위.
Presumed Simultaneous Death and the Spous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is Case Comment deals with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2001.3.9, 99다 13157.
The plaintiffs of this case were the 3rd place inheritors according to Paragraph(1) of Article 1000 of the Korean Civil Codes, who were the brothers and sisters of the inheritee. The defendant, who was the son-in-law of the inheritee, achieved the ownership of real estate in place of his wife, who was the 1st place inheritor but had died, by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e plaintiffs claimed the inheritance should be invalid but it was not accepted by Supreme Court. In this case, what we should reconsider is that the inheritee and his daughter had died by the same accident in which the exact time and the order of two deaths are obscure.
It could be presumed that the time of deaths be the same by Article 30 of the Korean Civil Codes. On the other hand, Article 1003 says, "In the case mentioned in Article 1001, the spouse of the deceased or the disqualified person, before the commencement of inheritance, becomes a co-inheritor in the same order as the inheritors provided in the same Article. If there exists no inheritor, the spouse becomes the sole inheritor."
So the first issue here is that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by Article 1003' could be applied to the simultaneous death according to Article 30.
The 2nd issue is about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of spouse.
I speculates on those two issues reflecting the current Civil Codes and reaches on the conclusion that in the case of simultaneous death,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could be applied and Supreme Court's decision which admitted the sole inheritance of the son-in-law is justified.
[참고문헌]
곽동헌, “대습상속”, 아세아여성법학,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03.
곽윤직, 상속법, 박영사, 2004.
국회사무처, 제26회 국회정기회의 속기록, 제42호 부록.
권순한, “상속법의 미래의 과제”, 가족법연구, 한국가족법학회, 2000.
김기영, “대습상속원인으로서의 동시사망의 추정”, 연세법학연구 제7집, 제1권, 2000.
김주수, 친족상속법, 법문사, 2002.
김주수, 주석민법 상속(1), 한국사법행정학회, 2002.
김준원, “배우자의 대습상속에 관한 개선방안의 법적고찰”, 민사법의 실천적 과제, 법문사, 2000.
김준원, “대습상속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법행정, 1999, 11.
民議院 法制司法委員會 民法案審議小委員會, 民法案審議錄 (下) 親族編 相續編.
박동섭,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3.
배경숙최금숙, 친족상속법강의, 제일법규, 2004.
송덕수, 민법강의 (상), 박영사, 2004.
송흥섭, “구관습법상 사후양자의 유산상속권”, 대법원판례해설, 16호, 1992.
신유철, “21세기 한국민사법학의 과제”, 안암법학, 도서출판 고려, 2001.
신영호, “친족상속법의 개정방향”, 단국법학, 1996.
신영호, 공동상속론, 나남, 1987.
신영호, “피대습자의 배우자의 대습상속”, 금산법학, 세창출판사, 1998.
양수산, 친족상속법(가족법),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1998.
이경희, 가족법, 법원사, 2004.
이승우, “대습상속소고”,아세아여성법학,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04.
이영환, “대습상속에 관한 연구”, 육군 제3사관학교논문집 제47집, 1998.
이해일, “동시사망의 추정과 대습상속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논문집, 제10집, 1998.
정긍식, “배우자의 대습상속권”, 민사판례연구(25), 박영사, 2003.
최금숙, “현행민법상 상속인 규정에 관한 재검토”, 가족법 연구, 18집 1호, 가족법학회, 2004.
홍광표, “구관습법상의 유산의 상속”, 사법연구자료, 23집, 1996.
그러나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형제자매의 상속과 제한 없는 피대습자의 배우자의 대습상속에는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습상속제도의 입법방향은 피상속인의 의사에도 부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현대의 가족관계를 고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형제간의 부모로부터의 혜택의 재분배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 두고 싶다.
주제어: 대습상속, 동시사망, 상속의 순위, 배우자의 상속순위.
Presumed Simultaneous Death and the Spous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is Case Comment deals with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2001.3.9, 99다 13157.
The plaintiffs of this case were the 3rd place inheritors according to Paragraph(1) of Article 1000 of the Korean Civil Codes, who were the brothers and sisters of the inheritee. The defendant, who was the son-in-law of the inheritee, achieved the ownership of real estate in place of his wife, who was the 1st place inheritor but had died, by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e plaintiffs claimed the inheritance should be invalid but it was not accepted by Supreme Court. In this case, what we should reconsider is that the inheritee and his daughter had died by the same accident in which the exact time and the order of two deaths are obscure.
It could be presumed that the time of deaths be the same by Article 30 of the Korean Civil Codes. On the other hand, Article 1003 says, "In the case mentioned in Article 1001, the spouse of the deceased or the disqualified person, before the commencement of inheritance, becomes a co-inheritor in the same order as the inheritors provided in the same Article. If there exists no inheritor, the spouse becomes the sole inheritor."
So the first issue here is that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by Article 1003' could be applied to the simultaneous death according to Article 30.
The 2nd issue is about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of spouse.
I speculates on those two issues reflecting the current Civil Codes and reaches on the conclusion that in the case of simultaneous death,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could be applied and Supreme Court's decision which admitted the sole inheritance of the son-in-law is justified.
[참고문헌]
곽동헌, “대습상속”, 아세아여성법학,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03.
곽윤직, 상속법, 박영사, 2004.
국회사무처, 제26회 국회정기회의 속기록, 제42호 부록.
권순한, “상속법의 미래의 과제”, 가족법연구, 한국가족법학회, 2000.
김기영, “대습상속원인으로서의 동시사망의 추정”, 연세법학연구 제7집, 제1권, 2000.
김주수, 친족상속법, 법문사, 2002.
김주수, 주석민법 상속(1), 한국사법행정학회, 2002.
김준원, “배우자의 대습상속에 관한 개선방안의 법적고찰”, 민사법의 실천적 과제, 법문사, 2000.
김준원, “대습상속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법행정, 1999, 11.
民議院 法制司法委員會 民法案審議小委員會, 民法案審議錄 (下) 親族編 相續編.
박동섭,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3.
배경숙최금숙, 친족상속법강의, 제일법규, 2004.
송덕수, 민법강의 (상), 박영사, 2004.
송흥섭, “구관습법상 사후양자의 유산상속권”, 대법원판례해설, 16호, 1992.
신유철, “21세기 한국민사법학의 과제”, 안암법학, 도서출판 고려, 2001.
신영호, “친족상속법의 개정방향”, 단국법학, 1996.
신영호, 공동상속론, 나남, 1987.
신영호, “피대습자의 배우자의 대습상속”, 금산법학, 세창출판사, 1998.
양수산, 친족상속법(가족법),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1998.
이경희, 가족법, 법원사, 2004.
이승우, “대습상속소고”,아세아여성법학,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04.
이영환, “대습상속에 관한 연구”, 육군 제3사관학교논문집 제47집, 1998.
이해일, “동시사망의 추정과 대습상속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논문집, 제10집, 1998.
정긍식, “배우자의 대습상속권”, 민사판례연구(25), 박영사, 2003.
최금숙, “현행민법상 상속인 규정에 관한 재검토”, 가족법 연구, 18집 1호, 가족법학회, 2004.
홍광표, “구관습법상의 유산의 상속”, 사법연구자료, 23집, 1996.
추천자료
개정가족법에 대하여
시험 답안용 태아의 법적지위
권리의 주체
권리의 주체 (自然人)
권리의 주체( 민법상 人)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하여 논하시오
권리의 주체
정상과 비정상의 법률에 대한 발표PPT
민법 중요어문 조합
민법총칙(상)
A는 부모로부터 상당한 재산을 물려받았으나 소위 유명한 야타족이었다. A는 B와 결혼까지 하...
★태아의 권리능력★
[생활법률 공통] <문제 1>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가 이혼을 하면 신분과 재산, 자녀의 친권...
[생활법률 공통] (지문) A(남성, 30세)는 아내 B(여성, 30세), 아들 C(3세), 아버지 D(70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