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복지후생(복리후생)의 기능
1. 노동력확보 및 정착기능
2. 노사관계의 안정기능
3. 노동의욕향상 기능(F. Herzberg)
4. 노동능률증진기능
Ⅲ. 복지후생(복리후생)의 연혁
1. 복지후생의 생성기(18세기 말 - 1880)
2. 복지후생의 발전기(1881 - 1919)
3. 복지후생의 모색기(1920 - 1945)
4. 복지후생의 성숙기(1945 - )
Ⅳ. 복지후생(복리후생)의 현황
1. 퇴직금 및 휴가
2. 기타보조 및 지원제도
Ⅴ. 복지후생(복리후생)의 사례
1. 단체보험 가입 사례
2. 주택자금 대출 사례
Ⅵ. 결론
참고문헌
Ⅱ. 복지후생(복리후생)의 기능
1. 노동력확보 및 정착기능
2. 노사관계의 안정기능
3. 노동의욕향상 기능(F. Herzberg)
4. 노동능률증진기능
Ⅲ. 복지후생(복리후생)의 연혁
1. 복지후생의 생성기(18세기 말 - 1880)
2. 복지후생의 발전기(1881 - 1919)
3. 복지후생의 모색기(1920 - 1945)
4. 복지후생의 성숙기(1945 - )
Ⅳ. 복지후생(복리후생)의 현황
1. 퇴직금 및 휴가
2. 기타보조 및 지원제도
Ⅴ. 복지후생(복리후생)의 사례
1. 단체보험 가입 사례
2. 주택자금 대출 사례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활보장을 위해 적립식 상해보험에 가입하되 구체적인 내용은 조합과 협의한다.
2. 주택자금 대출 사례
농어촌진흥공사 노동조합
제 63조(주택자금 및 주택조합 지원)
공사는 직원이 주택을 임차하거나 구입할 경우 그 재원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그 자금의 일부를 대여하여야 하며, 그 지급기준에 관하여는 보충협약으로 처리한다.
공사는 무주택 직원이 주택조합을 설립 추진코자 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서 정한 지원등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대한송유관공사 노동조합
제 4조()
주택자금의 이자율은 연 2%에서 7%로 상향 조정한다.(복지후생규정 관련)
인천국제공항공사 노동조합
제 119조(주택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지원)
-공단은 조합과 합의하여 조합원의 주거안정을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한다.
-공단은 주택자금 대여제도를 마련하여 무주택 조합원이 주택을 구입하거나 임차하는 경우 및 생활안정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거나, 금융기관의 저리융자를 알선한다.
-공단은 퇴직적립금의 범위내에서 주택자금 및 생활안정자금을 융자할 수 있다.
-공단은 무주택 조합원이 주택조합을 설립하여 주택을 건설하고자 할 때에는 이를 적극 지원하여야 한다.
-주택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지원에 관한 세부사항은 노사합의로 정한다.
한국감정원 노동조합
제 76조(주택구입자금대출)
-감정원은 직원이 주택마련을 위해 필요한 자금의 대출을 신청한 때에는 무주택자에 한하여 1인당 50,000,000원의 범위 내에서 대출할 수 있다.
-전항에 의한 주택구입자금 대출은 횟수에 상관없이 대여잔액을 대여기간 동안 재대여 할 수 있다.
-주택구입자금 대출의 조건 및 상환방법등에 관하여는 별도의 노사협의회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 ( 주택구입자금의 대출금리 조정에 관하여는 추후 노사협의한다.)
COEX 노동조합
제 49조(주택융자)
주택구입 및 임차자금 대여 금액 한도는 2,000만원으로 하고 이자율은 년리 2%로 한다.
Ⅵ. 결론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의 발달이 미비한 가운데 기업내 복리후생제도가 많은 노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는 사회복지제도의 열악함에 기인한 측면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의 임금억제방침에 따른 우회적인 임금인상의 연장선이자 80년대 중반 이후 노사간의 힘관계를 반영한 때문이기도 했다. 예컨대 여러 가지 복리후생제도들 가운데 급식·통근편의 제공 중의 일부라고 볼 수 있는 중식보조비, 출퇴근보조비, 그리고 체력단련비, 개인연금 등 단체보험 등은 사실상 소득보전용으로서 임금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복리후생제도가 추가적인 임금인상의 역할을 일정정도 담당하다 보니 기업의 지불능력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노동부의 기업체노동비용조사결과에 따르면 임금을 제외한 30~99인 기업의 노동비용을 100이라고 했을 때 대기업의 노동비용은 87년에 104.1로 차이가 없었으나 154.1로 그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이러한 기업규모간 복리후생의 차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간의 분리를 낳고 노동자연대와 단결을 저해하는 요소이므로 기업의 지불능력에 의존하는 기업내 복리후생제도는 앞으로 사회복지제도의 보완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참고문헌
* 구본장, 박계홍(2003), 인적자원관리론, 형설출판사
* 김명환(2006), 선택적 복리후생 제도의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구, 중앙대 국제경영대학원
* 김식현(2007), 인사관리론. 무역경영사
* 박경문, 최승욱(2001), 신인적자원관리론, 무역경영사
* 유규창, 조규성(1999), 선택적 복리후생제도, 한국노동연구원
* 이헌수(1998) 행정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과 태도
* 이선우(1997) 공무원 후생복지제도의 개선방안 모색
2. 주택자금 대출 사례
농어촌진흥공사 노동조합
제 63조(주택자금 및 주택조합 지원)
공사는 직원이 주택을 임차하거나 구입할 경우 그 재원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그 자금의 일부를 대여하여야 하며, 그 지급기준에 관하여는 보충협약으로 처리한다.
공사는 무주택 직원이 주택조합을 설립 추진코자 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서 정한 지원등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대한송유관공사 노동조합
제 4조()
주택자금의 이자율은 연 2%에서 7%로 상향 조정한다.(복지후생규정 관련)
인천국제공항공사 노동조합
제 119조(주택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지원)
-공단은 조합과 합의하여 조합원의 주거안정을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한다.
-공단은 주택자금 대여제도를 마련하여 무주택 조합원이 주택을 구입하거나 임차하는 경우 및 생활안정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거나, 금융기관의 저리융자를 알선한다.
-공단은 퇴직적립금의 범위내에서 주택자금 및 생활안정자금을 융자할 수 있다.
-공단은 무주택 조합원이 주택조합을 설립하여 주택을 건설하고자 할 때에는 이를 적극 지원하여야 한다.
-주택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지원에 관한 세부사항은 노사합의로 정한다.
한국감정원 노동조합
제 76조(주택구입자금대출)
-감정원은 직원이 주택마련을 위해 필요한 자금의 대출을 신청한 때에는 무주택자에 한하여 1인당 50,000,000원의 범위 내에서 대출할 수 있다.
-전항에 의한 주택구입자금 대출은 횟수에 상관없이 대여잔액을 대여기간 동안 재대여 할 수 있다.
-주택구입자금 대출의 조건 및 상환방법등에 관하여는 별도의 노사협의회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 ( 주택구입자금의 대출금리 조정에 관하여는 추후 노사협의한다.)
COEX 노동조합
제 49조(주택융자)
주택구입 및 임차자금 대여 금액 한도는 2,000만원으로 하고 이자율은 년리 2%로 한다.
Ⅵ. 결론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의 발달이 미비한 가운데 기업내 복리후생제도가 많은 노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는 사회복지제도의 열악함에 기인한 측면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의 임금억제방침에 따른 우회적인 임금인상의 연장선이자 80년대 중반 이후 노사간의 힘관계를 반영한 때문이기도 했다. 예컨대 여러 가지 복리후생제도들 가운데 급식·통근편의 제공 중의 일부라고 볼 수 있는 중식보조비, 출퇴근보조비, 그리고 체력단련비, 개인연금 등 단체보험 등은 사실상 소득보전용으로서 임금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복리후생제도가 추가적인 임금인상의 역할을 일정정도 담당하다 보니 기업의 지불능력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노동부의 기업체노동비용조사결과에 따르면 임금을 제외한 30~99인 기업의 노동비용을 100이라고 했을 때 대기업의 노동비용은 87년에 104.1로 차이가 없었으나 154.1로 그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이러한 기업규모간 복리후생의 차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간의 분리를 낳고 노동자연대와 단결을 저해하는 요소이므로 기업의 지불능력에 의존하는 기업내 복리후생제도는 앞으로 사회복지제도의 보완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참고문헌
* 구본장, 박계홍(2003), 인적자원관리론, 형설출판사
* 김명환(2006), 선택적 복리후생 제도의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구, 중앙대 국제경영대학원
* 김식현(2007), 인사관리론. 무역경영사
* 박경문, 최승욱(2001), 신인적자원관리론, 무역경영사
* 유규창, 조규성(1999), 선택적 복리후생제도, 한국노동연구원
* 이헌수(1998) 행정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과 태도
* 이선우(1997) 공무원 후생복지제도의 개선방안 모색
추천자료
선택적복지후생
[인사관리연구]한국의 복지후생과 향후 개선과제 및 방향
부가급여 (복지후생)
복지후생제도
복지후생제도의 필요성과 우수사례보고(CJ의 복지후생제도의 상세한 분석과 개선점)
복지후생관리
[공무원후생복지][재원조달][운영방식][공무원][후생복지][복지운영][복지정책][여건분석]공...
한화(한화그룹)의 회장(김승연), 한화(한화그룹)의 인사제도, 한화(한화그룹)의 기업분할, 한...
현대해상화재보험의 인사제도,채용정보,복리후생,연봉자료 정리
현대미포조선의 인사제도,채용정보,복리후생,연봉자료 정리
Fly, better fly JINAIR 진에어 - 진에어 현황 (기업소개 , 취항노선 ), 로고, 승무원 유니폼...
관광인적자원관리론_ 복지후생에 관하여,P&G사례,그린텍 시스템,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포스코 (POSCO) 기업현황(연혁,사명,경영목표,경영전략,문화,SWOT 분석) & 인적자원(인재...
호텔경영론 - 리츠칼튼 호텔, 호텔 리츠칼튼 서울 ( 소개, 위치, 시설, 4P, SWOT분석, STP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