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⑶ 실험ㆍ실습 방법과 절차에 따른 실험ㆍ실습 능력, 도구나 용구를 바르게 사용하는 능력
⑷ 학습 내용을 실생활에 적극적으로 실천해 보려는 태도
나. 실험ㆍ실습, 실기 등의 평가는 평가 항목을 세목화, 단계화하여 평가 기준을 작성, 활용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과정 평가는 가급적 수업 시간내에 실시하고 평가하여 가정 학습 과제로 연장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다. 수업 중 활동 내용을 평가할 경우, 교사 평가 이외에 학생들의 동료 평가, 자기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참여 의식을 높인다.
<평가 결과의 활용>
가. 평가 결과는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 계획 등에 반영하도록 하며, 학습자의 자기 진단을 위한 자료 및 진로 지도에 활용하도록 한다.
가정 과학
성격
: 7차 교육과정에서 가정 과학의 성격을 사회를 이루는 기본 요소의 하나인 가정의 본질은 이해하고,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개인과 가정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나아가서 국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목이다.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성격은 개인과 가족생활의 복지에 기초가 되는 가정의 본질은 이해하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식, 능력, 태도를 길러주며 가정, 직업, 사회생활을 조화롭게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는 과목이다. 라고 바뀌어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그리고 가정경영의 차원에서 가족의 문제 해결을 통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합리적인 생활 관리에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길러준다 라는 것이 기술가정 교과를 바탕으로 저 출산과 고령화, 다양한 가족형태의 출현 등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가정의 중요성을 재해석함으로써 가족 친화적이고 양성 평등적인 가치관을 형성, 가족구성원이 협력하여 가정생활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길러준다 라고 개정되어 저 출산고령화 문제를 기술가정교과에 이어 가정 과학에서도 다루어졌다.
목표
: 가족소비식의주생활에 관한 기초적인 능력을 습득하여 가정생활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목표가 변화하는 가정생활의 전반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고 바뀌었다. 또한 준비할 수 있다는 목표가 자질을 함양한다는 내용으로 모두 바뀌어 좀 더 유용하도록 바뀌었다.
내용
: 다섯 개의 영역인 가족생활소비생활식생활의생활주생활이 인간 발달과 가족가정 자원과 소비자식품과 영양의복과 패션주거와 환경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그리고 그 세부적인 내용들은 명칭이 조금씩 바뀌었지만 내용은 큰 변화는 없다.
편재 : 크게 달라진 것 없음.
교수학습방법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며 실험실습 중에서 폐기물을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다룰 수 있다는 것을 환경 친화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바꾸었다.
평가: 단순하고 지엽적인 내용의 평가를 지양하고, 기본적인 개념이나 원리의 이해. 문제 해결 능력, 의사 결정 능력, 응용력, 실천적 태도 등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라는 항목만 없어진 것 외에는 다른것 없음.
⑷ 학습 내용을 실생활에 적극적으로 실천해 보려는 태도
나. 실험ㆍ실습, 실기 등의 평가는 평가 항목을 세목화, 단계화하여 평가 기준을 작성, 활용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과정 평가는 가급적 수업 시간내에 실시하고 평가하여 가정 학습 과제로 연장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다. 수업 중 활동 내용을 평가할 경우, 교사 평가 이외에 학생들의 동료 평가, 자기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참여 의식을 높인다.
<평가 결과의 활용>
가. 평가 결과는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 계획 등에 반영하도록 하며, 학습자의 자기 진단을 위한 자료 및 진로 지도에 활용하도록 한다.
가정 과학
성격
: 7차 교육과정에서 가정 과학의 성격을 사회를 이루는 기본 요소의 하나인 가정의 본질은 이해하고,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개인과 가정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나아가서 국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목이다.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성격은 개인과 가족생활의 복지에 기초가 되는 가정의 본질은 이해하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식, 능력, 태도를 길러주며 가정, 직업, 사회생활을 조화롭게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는 과목이다. 라고 바뀌어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그리고 가정경영의 차원에서 가족의 문제 해결을 통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합리적인 생활 관리에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길러준다 라는 것이 기술가정 교과를 바탕으로 저 출산과 고령화, 다양한 가족형태의 출현 등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가정의 중요성을 재해석함으로써 가족 친화적이고 양성 평등적인 가치관을 형성, 가족구성원이 협력하여 가정생활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길러준다 라고 개정되어 저 출산고령화 문제를 기술가정교과에 이어 가정 과학에서도 다루어졌다.
목표
: 가족소비식의주생활에 관한 기초적인 능력을 습득하여 가정생활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목표가 변화하는 가정생활의 전반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고 바뀌었다. 또한 준비할 수 있다는 목표가 자질을 함양한다는 내용으로 모두 바뀌어 좀 더 유용하도록 바뀌었다.
내용
: 다섯 개의 영역인 가족생활소비생활식생활의생활주생활이 인간 발달과 가족가정 자원과 소비자식품과 영양의복과 패션주거와 환경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그리고 그 세부적인 내용들은 명칭이 조금씩 바뀌었지만 내용은 큰 변화는 없다.
편재 : 크게 달라진 것 없음.
교수학습방법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며 실험실습 중에서 폐기물을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다룰 수 있다는 것을 환경 친화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바꾸었다.
평가: 단순하고 지엽적인 내용의 평가를 지양하고, 기본적인 개념이나 원리의 이해. 문제 해결 능력, 의사 결정 능력, 응용력, 실천적 태도 등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라는 항목만 없어진 것 외에는 다른것 없음.
소개글